
000 | 01058camccc200337 k 4500 | |
001 | 000045338895 | |
005 | 20100805105048 | |
007 | ta | |
008 | 070201s2006 ggka b 001c kor | |
020 | ▼a 8959641472 ▼g 93370 | |
020 | ▼a 9788959641475 | |
035 | ▼a (KERIS)BIB000010795430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0.1 ▼2 22 |
090 | ▼a 370.1 ▼b 2006s | |
100 | 1 | ▼a Cleverley, John F. ▼0 AUTH(211009)74021 |
245 | 2 0 | ▼a (쉽게 풀어 쓴)유아교육철학 / ▼d J. 클리버리, ▼e D.C. 필립스 지음 ; ▼e 김태오, ▼e 김병희 옮김. |
246 | 1 9 | ▼a Visions of childhood : influential models from Locke to Spock |
260 | ▼a 파주 : ▼b 양서원 , ▼c 2006. | |
300 | ▼a 272 p. : ▼b 삽도 ; ▼c 25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Education ▼x Philosophy ▼x History. |
650 | 0 | ▼a Children ▼x Social conditions. |
650 | 0 | ▼a Child rearing ▼x History. |
650 | 0 | ▼a Child rearing. |
700 | 1 | ▼a Phillips, D. C. ▼q (Denis Charles) , ▼d 1938- ▼0 AUTH(211009)53815 |
700 | 1 | ▼a 김태오 , ▼e 역 ▼0 AUTH(211009)95091 |
700 | 1 | ▼a 김병희 , ▼e 역 ▼0 AUTH(211009)13542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 2006s | 등록번호 1114066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 2006s | 등록번호 1114066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J.클리버리(지은이)
<아동교육관의 철학적 조명>
D.C. 필립스(지은이)
김태오(옮긴이)
경력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박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한국교육철학회 회장, 편집위원장, 학술이사. 안동대학교 사범대학 교직부 교수(현재). 저서 『아동교육의 철학적 탐구』(2001). 『다시 생각하는 실사구시 교육철학」(2007). 『교육의 역사와 철학』(2015): 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퇴계의 매화 사랑: 오래된 교육의 새 길』: 2018 우수 콘텐츠 도서(한국출판진흥원). 역서 『아동교육관의 철학적 조명』(1994). 『유아교육철학』(2006). 공저 『위대한 교육사상가들』(2002). 『고등학교 교육학』(2014). 논문 「Pragmatism의 진리관과 교육」(1982). 「J. Habermas의 의사소통적 합리성과 그 교육적 의미」(1991). 「추사의 실사구시설의 교육철학적 논의」(1999). 「공자의 온고지신의 교사관」(2002). 「화엄경 보현행의 교육적 함의」(2006). 「퇴계의 매화사랑과 매화시의 교육적 함의」(2013). 「퇴계 시교의 오래된 미래로서의 교육적 가치」(2017): 한국교육철학회 2017년 논문상.
김병희(옮긴이)
<교육사상사>

목차
목차 머리말 = 3 옮긴이의 말 = 6 제1장 역사 속에 나타난 아동관 = 15 1. 아동관의 인식론적 패러다임 = 17 2. 예술 속에 나타난 아동관 = 20 3. 패러다임과 아동관 = 22 4. 아동관의 전환 = 26 5. 새로운 패러다임 = 30 제2장 아동과 환경 = 35 1. 젠센의 유전주의 교육모형 = 37 2. 로크의 아동모형 = 40 3. 엘베시우스의 교육모형 = 44 4. 실물교수의 강조 = 48 5. 형식도야론 = 51 6. 환경주의와 유전주의의 대립 = 55 제3장 자유로운 아동과 강요받는 아동 = 59 1. 웨슬리의 아동교육관 = 61 2. 아놀드의 아동교육관 = 64 3. 오늘날의 성악설적 아동교육관 = 67 4. 루소의 아동교육관 = 70 5. 루소주의자의 교육실천 = 73 6. 니일의 자유교육 = 76 7. 러셀의 아동교육관 = 79 제4장 아동과 인류 = 83 1. 다윈의 진화론과 폰 바에르의 발생반복론 = 85 2. 스펜서의 진화론적 아동교육론 = 88 3. 홀의 아동연구운동 = 92 4. 듀이의 아동관에 있어 발생반복론 = 98 제5장 순진무구성의 상실 = 101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 103 2. 아동의 성본능 = 106 3. 외디푸스 콤플렉스 = 109 4. 꿈의 상징성 = 111 5. 순진무구성이란 신화 = 113 6. 정신의 역동적 구성과 불안 = 117 7. 좋은 가정 = 120 8. 아동의 자위행위 = 124 9. 적절한 성교육 = 126 10. 전통적 아동관의 침식 = 129 11. 양성적 존재로서 아동이해 = 131 12. 정신분석학의 학교교육에의 적용 = 134 13. 정신분석학적 아동교육의 한계와 전망 = 139 제6장 인간의 발달단계 = 141 1. 아동성장 연구의 활성화 = 143 2. 티드만과 프레이어의 아동관 비교 = 145 3. 다윈의 아동발달관 = 148 4. 피아제와 에릭슨의 발달이론의 한계 = 150 5. 아동발달연구에서의 반박 가능성 = 158 6. 스포크의 아동양육관 검토 = 163 제7장 사회에 적합한 교육 = 169 1. 헤겔의 변증법적 사고방식 = 171 2. 젊은 날의 마르크스 = 173 3. 마르크스의 사회분석 = 175 4. 19세기 영국 노동계급의 아동기 = 177 5. 마르크스의 사회주의적 아동교육관 = 182 6. 아동교육론에서의 사회적 노동 = 185 7. 듀이의 사회적 학교교육론 = 188 8. 듀이의 아동교육 개혁방안 = 193 제8장 조건형성된 아동 = 199 1. 행동주의적 아동양육모형의 전망 = 201 2. 왓슨의 결정론적 아동양육모형 = 204 3. 행동주의적 아동모형의 토대 = 211 4. 스키너의 행동주의적 아동모형의 확장 = 214 5. 결정론과 자유의지론을 넘어서 = 221 제9장 사고하는 기계 = 225 1. 컴퓨터 시대의 아동모형 = 227 2. 데카르트와 헉슬리의 인간기계론 = 228 3. 튜링의 인간기계론 = 231 4. 컴퓨터모형을 적용한 아동교육관 = 234 제10장 맺음말 = 241 1. 아동기모형의 역동성 = 243 2. 아동모형의 선택 근거와 개발 = 244 3. 문학과 예술작품에서 아동기 모형 = 248 4. 아동이해의 반성적 접근 = 250 지은이 주 모음 = 251 찾아보기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