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안보와 북한의 전략

한국안보와 북한의 전략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신용도 문영세 정병호 김연수
Corporate Author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편
Title Statement
한국안보와 북한의 전략 / 신용도 [외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國防大學校 安保問題硏究所,   2006  
Physical Medium
279 p. : 삽도 ; 27 cm
Series Statement
안보연구시리즈 ;제7집 1호(2006)
ISBN
9788989226376
General Note
공저자: 문영세, 정병호, 김연수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337702
005 20221025165759
007 ta
008 070321s2006 ulka b CC 000c kor
020 ▼a 9788989226376 ▼g 9339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5.03 ▼2 23
085 ▼a 355.03 ▼2 DDCK
090 ▼a 355.03 ▼b 2000b ▼c 7.1
245 0 0 ▼a 한국안보와 북한의 전략 / ▼d 신용도 [외저]
260 ▼a [서울] : ▼b 國防大學校 安保問題硏究所, ▼c 2006
300 ▼a 279 p. : ▼b 삽도 ; ▼c 27 cm
440 0 0 ▼a 안보연구시리즈 ; ▼v 제7집 1호(2006)
500 ▼a 공저자: 문영세, 정병호, 김연수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신용도 ▼0 AUTH(211009)43405
700 1 ▼a 문영세
700 1 ▼a 정병호
700 1 ▼a 김연수
710 ▼a 국방대학교. ▼b 안보문제연구소, ▼e▼0 AUTH(211009)89207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3 2000b 7.1 Accession No. 1114044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발간사


목차


국가안보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신용도 5


I. 서론 7


II. 안보력의 정의 및 구성요소에 관한 개념적 논의 9


III. 안보지수 관련 선행연구 검토 16


IV. 안보지수 개발을 위한 접근방법 및 분석틀 40


V. 안보지수 개발을 위한 구성요인 및 관련지표 분석 46


VI. 결론 69


참고문헌 71


국방개혁 모니터링 및 성과평가 모형 개발 / 문영세 73


I. 서론 75


II. 국방개혁 추진 체계 78


III. 국방개혁 2020의 내용 86


IV. 평가 모형 및 평가 이론 104


V. 국방개혁 2020 평가를 위한 전제 113


VI. 국방개혁 2020 평가 모형 개발 118


VII. 결론 및 정책적 제언 148


참고문헌 157


북한의 한반도 평화체제 접근전략 / 정병호 163


I. 서론 165


II. 평화체제의 개념과 구성요소 168


III. 북한의 평화체제 접근 전략 176


IV. 북한 전략의 문제점 190


V. 평화체제 관련 쟁점 198


VI. 한국의 전략 205


VII. 결론 221


참고문헌 225


북한의 대남전략 변화 여부 및 향후 전개방향 / 김연수 227


I. 서론 229


II. 북한의 대남전략의 특징 231


III. 6. 15 남북공동선언의 대남전략에의 함의 240


IV. ''6. 15 남북공동선언'' 이후 북한의 대남전략 변화상 245


V. 북한의 대남전략 변화의 구조 요인 분석 255


VI. 향후 북한의 대남전략 전개방향 전망 271


VII. 우리의 정책적 대응방향 277


VIII. 결론 280


참고문헌 282


판권기


국가안보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신용도 5


〈표 3-1〉 국력의 구성요소 25


〈표 3-2〉 IMD 국가경쟁력 평가요소 28


〈표 3-3〉 IMD 평가요소 가중치 (2001년 이전) 29


〈표 3-4〉 WEF 국가경쟁력 평가요소 30


〈표 3-5〉 WEF 평가요소 가중치(1996-1999) 31


〈표 3-6〉 성장잠재력지수(GCI) 하위지수별 가중치(2002) 32


〈표 3-7〉 미시경쟁력지수(MICI) 평가요소 33


〈표 3-8〉 IPS 평가요소(2002년 기준) 35


〈표 3-9〉 IPS 평가요소 가중치 35


〈표 3-10〉 세계평화지수 구성요소 37


북한의 한반도 평화체제 접근전략 / 정병호 163


〈표 2-1〉 조약의 종류 및 성격 170


〈표 2-2〉 평화협정과 불가침조약의 차이 172


〈표 3-1〉 북한의 상호무력불행사 제의 사례 177


〈표 3-2〉 북한의 남북평화협정 주장 사례 178


〈표 3-3〉 북한의 남북 불가침 관련 제안 181


〈표 3-4〉 북한의 대미 평화체제구축 관련 제안 183


〈도표 1〉 합참의 기능 강화 및 합동성 향상 87


〈도표/표 2〉 상비군 및 예비전력 감축 계획 88


〈도표 3〉 중간계층 단축 및 부대 수 축소로 완전성 보장 89


〈도표 4〉 육군 부대구조의 변경 계획 90


〈도표 5〉 육군 군단의 개혁에 따른 작전반경의 변화 90


〈도표 6〉 육군 사단의 개혁에 따른 작전반경의 변화 91


〈도표 7〉 해군의 부대구조 변경계획 92


〈도표 8〉 해병대 부대구조 변경계획 93


〈도표 9〉 공군의 부대구조 변경계획 94


〈도표 10〉 타격능력(PGM) 향상 계획 95


〈도표 11〉 군 구조 및 전력체계의 추진 단계 96


〈도표 12〉 결과 중시 M&E 절차 모형 10단계 110


〈도표 13〉 국방개혁 기간 중 주요 지표 및 소요 재원 확보 방안 (조원, %) 113


〈도표 14〉 연도별 국방개혁 재원조달 계획 114


〈도표 15〉 국방개혁의 추진 전략 117


〈도표 16〉 정책의 구조 119


〈도표 17〉 국방개혁 2020의 목표 체계 120


〈도표 18〉 국방개혁의 기대효과 121


〈도표 19〉 국방개혁 목표체계의 수준 123


〈도표 20〉 상비/예비전력 감축 계획 131


〈도표 21〉 부대 수 축소 계획 132


〈도표 22〉 정책활동, 하위목표, 관심대상결과 간의 연계 141


〈도표 23〉 국방개혁 2020 평가의 통합모형 143


〈그림 3-1〉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형과 IPS의 9-Factor 모형 34


〈그림 4-1〉 안보력의 생성과정 43


〈그림 4-2〉 안보력의 구성영역 4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