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1. 영어의 말소리 = 11
1.1 말소리의 연구 = 11
1.2 음성학의 갈래 = 11
1.3 발음 기제(Speech Mechanism) = 13
1.3.1 기류 기제(Airstream Mechanism) = 13
1.3.2 발성 과정(Phonation) = 14
1.3.3 조음 조직(The Articulatory System) = 16
1.4 말소리의 기술 = 20
1.4.1 분절음(Segments) = 21
1.4.2 음성 표기(Phonetic Transcription) = 24
2. 영어의 자음 (1) = 27
2.1 자음의 기술(Description of Consonants) = 27
2.1.1 성문의 상태(State of the Glottis) = 27
2.1.2 조음점(Point of Articulation) = 29
2.1.3 조음방식(Manner of Articulation) = 36
2.1.4 어려운 발음의 구별 = 50
3. 영어의 자음 (2) = 59
3.1 비음(Nasals) = 59
3.2 유음(Liquids) = 62
3.2.1 설측음(Lateral)과 권설음(Retroflex) = 63
3.2.2 설탄음(Flap, Tap) = 68
3.3 전이음(Glides) = 70
4. 영어의 자음 (3) = 73
4.1 2차 조음(Secondary Articulation) = 73
4.2 동시 조음(Coarticulation) = 75
4.3 음장의 변이(Variation in Length) = 76
4.4 간이 표기와 정밀 표기(Broad and Narrow Transcriptions) = 77
5. 영어의 모음 (1) = 81
5.1. 기본모음(Cardinal Vowels) = 81
5.2. 모음의 기술(Description of Vowels) = 82
5.2.1 전설 모음(Front Vowels) = 84
5.2.2 중설 모음(Central Vowels) = 89
5.2.3 후설 모음(Back Vowels) = 92
5.2.4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Tense and Lax Vowels) = 97
6. 영어의 모음 (2) = 101
6.1 이중 모음(Diphthongs) = 101
6.2 모음의 길이(Vowel Length) = 105
6.3 그 밖의 모음 체계 = 107
7. 음소 = 111
7.1 음소(Phoneme)와 이음(Allophone) = 111
7.2 음소의 식별(Identification of Phonemes) = 112
7.3 음소의 심리적 실재 = 118
7.4 음소 분석의 문제점 = 120
7.4.1 음운 중복(Phonemic Overlapping) = 121
7.4.2 층위의 혼동(Level Mixing) = 125
7.5 그후의 변화 = 128
7.5.1 형태 음소(Morphophoneme) = 129
7.6 체계적 음소(Systematic Phoneme) = 131
8. 소리의 특성 = 137
8.1 일반론 = 137
8.2 표준 자질 이론 = 138
8.2.1 이분법(Binarity) = 138
8.2.2 음운 자질(Phonological Features) = 139
8.3 자연군(Natural Class)과 간결성 척도(Simplicity Metric) = 148
9. 음운 과정 = 151
9.1 동화(Assimilation) = 151
9.2 이화(Dissimilation) = 155
9.3 탈락(Deletion, Elision) = 156
9.4 삽입(Insertion, Epenthesis) = 159
9.5 음위 전환(Metathesis) = 161
9.6 기타 음운 변화(Other Phonologial Changes) = 161
9.6.1 중화(中和, Neutralization) = 161
9.6.2 융합(融合, Coalescence) = 162
9.6.3 공명음 성절화(Sonorant Syllabification) = 163
9.6.4 이완 모음화(Laxing) = 164
10. 음운분석 = 167
10.1 자료의 분석 = 167
10.1.1 형태소의 분리 및 교체형의 연결 = 167
10.1.2 기저형의 설정 = 169
10.2 논증 방법 = 172
10.3 실질적 증거 = 177
11. 음운 규칙 = 181
11.1 표기 규약(Notational Conventions) = 181
11.1.1 규칙의 형태(The Form of Rules) = 181
11.1.2 그 밖의 표기 방식 = 184
11.1.3 규칙의 수의성(Optionality) = 187
11.2 규칙순(Rule Ordering) = 188
11.3 급여(Feeding)와 출혈(Bleeding) = 190
11.4 SPE 이후 = 195
12. 영어의 음절 구조 = 199
12.1 음절(Syllable) = 199
12.2 음절의 성분 구조 = 203
12.2.1 음절 무게(Syllable Weight) = 206
12.3 음절 나누기(Syllable Division) = 207
12.4 음소 배열 제약(Phonotactic Constraints) = 210
12.4.1 영어의 자음군(English Consonant Clusters) = 212
13. 영어의 강세 = 221
13.1 강세란 무엇인가? = 221
13.2 합성어 및 구절 강세 = 222
13.2.1 SPE 분석 = 223
13.2.2 율격 이론(Metrical Theory) = 229
13.3 단어 강세(Word Stress) = 234
13.3.1 영어 강세 규칙(English Stress Rule) = 235
13.3.2 음운 순환(Phonological Cycle) = 247
14. 영어의 리듬과 억양 = 251
14.1 영어의 리듬(The Rhythm of English) = 251
14.1.1 강형(Strong Forms)과 약형(Weak Forms) = 251
14.1.2 문장 강세(Sentence Stress) = 254
14.1.3 영어의 리듬 규칙(The Rhythm Rule of English) = 258
14.2 영어의 억양(Intonation) = 263
14.2.1 억양 곡선(Intonation Contours) = 264
14.2.2 비종결 억양(Nonfinal Intonation) = 266
14.2.3 억양의 기능(Functions of Intonation) = 272
15. 영어의 주요 방언들 = 277
15.1 표준 영어(Standard British/American English) = 277
15.2 미국 영어(American English) = 279
15.2.1 동부 방언(Eastern American) = 280
15.2.2 남부 방언(Southern American) = 283
15.3 영국 영어(British English) = 284
15.3.1 스코틀랜드 방언(Scottish Standard English) = 287
15.3.2 런던 방언(London English) = 288
『물음』의 힌트와 모범답 = 291
참고 문헌 = 307
찾아보기(영한) = 319
찾아보기(한영) =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