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ⅲ
제1편 시장의 효율성 = 1
제1부 서론 = 3
제1장 미시경제학의 이해 = 5
1-1 합리적 선택과 기획비용 = 7
1. 희소한 자원과 합리적 선택 = 7
2. 기회비용 = 9
1-2 경제문제와 경제체제 = 12
1. 상충관계와 경제문제 = 12
2. 경제체제 = 14
1-3 경제모형 = 19
1-4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 = 25
1-5 미시적 경제분석과 거시적 경제분석 = 26
1-6 미시적 경제분석과 현실설명력 = 27
제2장 수요공급이론 = 37
2-1 서론 = 39
2-2 수요 = 40
1. 수요, 수요함수, 수요량 = 40
2. 수요의 변화와 수요량의 변화 = 43
3. 개별수요와 시장수요 = 44
4. 수요변화의 요인 = 45
2-3 공급 = 49
1. 공급, 공급함수, 공급량 = 49
2. 공급의 변화와 공급량의 변화 = 50
3. 개별공급과 시장공급 = 51
4. 공급변화의 요인 = 51
2-4 균형 = 53
1. 균형 = 53
2. 균형의 변화 = 56
2-5 탄력성 분석 = 60
1. 탄력성 = 60
2. 소득탄력성과 교차탄력성 = 64
3.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 = 65
4.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 = 66
2-6 판매세의 효과 = 67
1. 판매세의 두 가지 형태 = 67
2. 단위세의 경제적 효과 = 67
3. 소비자가 납부하는 단위세 = 69
4. 종량세와 종가세 = 70
2-7 시장기구와 가격 = 71
1. 수요공급이론과 시장기구 = 71
2. 가격의 역할 = 71
부록: 판매세의 효과분석 = 92
제2부 소비자이론 = 95
제3장 소비자 선택이론 = 97
3-1 예산선 = 99
1. 예산선의 정의 = 99
2. 예산선의 변화 = 102
3-2 소비자선호 = 104
1. 무차별곡선 = 104
2. 선호체계와 효용함수 = 108
3. 효용함수와 무차별곡선 = 111
3-3 최적소비선택 = 113
제4장 수요이론 = 129
4-1 소득변화와 최적소비선택 = 131
4-2 가격변화와 최적소비선택 = 134
4-3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138
4-4 수요곡선의 이동 = 142
4-5 시장수요곡선 = 143
4-6 소비자잉여 = 144
제5장 소비자이론의 확장 = 169
5-1 쌍대관계 = 171
1. 간접효용함수 = 171
2. 지출함수 = 174
3. 쌍대관계 = 176
5-2 후생분석 = 178
1. 개요 = 178
2. 통상수요곡선과 보상수요곡선 = 180
3. 보상변화와 대등변화 = 183
5-3 부존량모형 = 189
1. 최적소비선택 = 189
2. 균형분석 = 191
5-4 요소공급곡선 = 194
1. 노동공급 = 194
2. 자본공급 = 197
5-5 경제적 지대 = 200
5-6 현시선호이론 = 202
1. 개요 = 202
2. 현시선호 = 203
3. 현시선호공리 = 205
4. 현시선호이론과 무차별곡선 = 208
제3부 생산자이론 = 223
제6장 생산이론 = 225
6-1 개관 = 227
6-2 단기와 장기 = 228
6-3 생산함수 = 230
1. 기술적 효율 = 230
2. 생산함수 = 231
6-4 단기분석 = 233
1. 총생산, 평균생산, 한계생산 = 233
2. 생산의 3단계 = 235
6-5 장기분석 = 236
1. 등생산량곡선 = 237
2. 등생산량곡선의 특징 = 238
3. 요소의 대체탄력성 = 241
4. 규모에 대한 수익 = 244
제7장 비용이론 = 257
7-1 비용의 의미 = 259
7-2 비용함수 = 263
7-3 단기분석 = 264
1. 단기비용곡선의 유도 = 264
2. 총비용, 평균비용 및 한계비용 = 266
7-4 장기분석 = 269
1. 장가비용곡선의 유도 = 269
2. 장기비용곡선의 특성 = 272
7-5 단기비용곡선과 장기비용곡선의 관계 = 275
제8장 이윤극대화 = 291
8-1 생산량 결정과 요소투입량 결정 = 293
1. 생산요소가 하나일 경우 = 293
2. 생산요소가 둘일 경우 = 297
8-2 이윤극대화와 한계원리 = 298
1. 시장지배력 = 298
2. 한계원리 = 302
8-3 수요곡선과 한계수입곡선 = 305
8-4 요소공급곡선과 요소한계비용곡선 = 311
제4부 일반경쟁균형과 후생 = 323
제9장 완전경쟁시장이론 = 325
9-1 완전경쟁 = 327
9-2 단기경쟁균형 = 329
1. 기업의 단기균형 = 329
2. 기업의 단기공급곡선 = 333
3. 산업의 단기공급곡선 = 335
9-3 장기경쟁균형 = 338
1. 기업의 장기균형 = 338
2. 기업의 장기공급곡선 = 341
3. 산업의 장기공급곡선 = 343
9-4 요소시장이론 = 348
1. 개요 = 348
2. 완전경쟁과 요소수요 = 349
3. 요소시장의 균형 = 353
4. 불완전경쟁과 요소시장 = 355
제10장 일반균형이론 = 383
10-1 부분균형과 일반균형 = 385
10-2 교환경제의 일반균형 = 385
10-3 생산경제의 일반균형 = 389
제11장 후생경제이론 = 405
11-1 경쟁시장에서의 사회적 후생 = 407
1. 소비자잉여 = 407
2. 생산자잉여 = 411
3. 사회적 후생 = 413
4. 최고가격제의 후생적 효과 = 413
11-2 파레토최적 = 415
1. 배분과 파레토우월 = 415
2. 파레토최적 = 416
11-3 교환과 생산의 파레토최적 = 417
1. 교환의 파레토최적 = 417
2. 생산의 파레토최적 = 420
3. 생산과 교환의 파레토최적 = 422
11-4 일반경쟁균형과 효율성 = 424
11-5 사회후생함수 = 428
제2편 시장실패 = 453
제5부 불완전 경쟁 = 455
제12장 독점이론 = 457
12-1 기본모형 = 459
1. 독점의 존재이유 = 459
2. 기초분석 = 460
3. 독점균형 = 462
4. 독점의 후생손실 = 463
5. 장기독점균형의 성격 = 464
6. 독점기업의 공급곡선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 = 466
12-2 자연독점 = 466
12-3 독점적 가격차별 = 469
1. 한계수입균등화 원리 = 469
2. 제3급 가격차별 = 470
3. 제2급 가격차별 = 471
4. 제1급 가격차별 = 472
5. 단순독점자와 가격차별 독점자의 차이 = 474
6. 가격차별의 다른 유형들 = 475
12-4 복수공장소유 독점기업과 카르텔 = 481
1. 복수공장소유 독점기업 = 481
2. 카르텔 = 484
12-5 독점규제와 경쟁촉진정책 = 487
제13장 과점 및 독점적 경쟁이론 = 515
13-1 시장구조와 시장지배력 = 517
13-2 시장지배력을 얻기 위한 방법 = 518
1. 기업결합(Mergers) = 519
2. 약탈적 가격 = 523
3. 재판매가격유지 = 525
13-3 과점이론: 추측변이모형 = 527
1. 쿠르노모형 = 528
2. 버트란드-에지워스모형 = 535
3. 굴절수요곡선모형 = 537
13-4 과점이론: 결합이윤극대화 모형 = 539
1. 챔벌린의 비판 = 539
2. 지배적 기업 가격주도모형 = 540
3. 준거적 가격주도모형 = 540
13-5 독점적 경쟁모형 = 542
1. 단기균형 = 545
2. 장기균형 = 546
3. 과잉설비와 독점적 경쟁 = 548
제14장 게임이론 = 563
14-1 기본개념 = 565
1. 게임이론의 개괄 = 565
2. 기본개념 = 567
14-2 전개형 게임과 정상형 게임 = 568
1. 전개형 게임 = 568
2. 정상형 게임 = 574
14-3 게임의 해 = 575
1. 우월전략균형 = 575
2. 내쉬균형 = 579
3. 완전균형 = 582
14-4 게임의 예 = 586
1. 죄수의 딜레마 = 586
2. 성의 대결 = 594
14-5 게임이론의 응용 = 600
1. 신규진입 = 600
2. 신뢰할 만한 위협과 공약 = 604
제6부 시장의 부재 = 625
제15장 시장실패와 정부 = 627
15-1 시장실패 = 629
15-2 공공재 = 629
1. 공공재의 특성 = 629
2. 공공재의 최적생산 = 630
3. 공공재생산의 재원조달 = 632
15-3 외부효과 = 634
1. 외부효과의 개념 = 634
2. 외부효과와 경제적 효율성 = 634
3. 외부효과의 해결: 전통적 방법 = 636
4. 외부효과의 해결: 코즈정리 = 637
15-4 정부실패 = 641
1. 정보의 부족 = 641
2. 관료제도의 문제 = 642
제16장 불확실성하에서의 선택 = 675
16-1 불확실성하에서의 선택 = 677
1. 이론의 필요성 = 677
2. 선택의 대상 = 679
16-2 기대효용이론 = 682
1. 불확실성하에서의 합리적인 선택기준 = 682
2. 기대효용이론 = 684
3. 위험에 대한 태도 = 687
4. 확정동등치와 위험프리미엄 = 690
5. 위험회피도 = 691
16-3 보험시장에서의 선택 = 694
16-4 상태조건부 재화분석 = 697
1. 상태조건부 재화 = 697
2. 확실성선과 등기대치선 = 698
3. 무차별곡선 = 699
4. 보험 = 704
제17장 정보경제학 = 713
17-1 불완전정보의 중요성 = 715
1. 문제의 제기 = 715
2. 비대칭적 정보의 상황 = 716
17-2 역선택 = 719
1. 중고차시장에서의 역선택 = 719
2. 보험시장에서의 역선택 = 727
3. 금융시장에서의 역선택 = 728
17-3 역선택의 해결 = 730
1. 선별 = 730
2. 신호발송 = 732
3. 강제집행 = 733
4. 평판 = 734
17-4 도덕적 해이 = 735
1. 주대리인의 문제 = 735
2. 보험시장에서의 도덕적 해이 = 737
3. 노동시장에서의 도덕적 해이 = 741
4. 상품시장에서의 도덕적 해이 = 743
17-5 탐색 = 744
부록: 정보경제학의 대표적 모형 = 746
1. 로스차일드-스티글리츠의 보험시장분석 = 746
2. 스펜스의 신호모형 = 753
참고문헌 = 773
색인 = 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