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11n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334355 | |
005 | 20101008111120 | |
007 | ta | |
008 | 070307s2005 ulka 000c kor | |
020 | ▼a 8952745167 ▼g 93600 | |
020 | 1 | ▼a 8952701313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 |
082 | 0 4 | ▼a 700.9519 ▼2 22 |
085 | ▼a 700.953 ▼2 DDCK | |
090 | ▼a 700.953 ▼b 1999a ▼c 6 | |
245 | 0 0 | ▼a 한국현대예술사대계. ▼n 6 , ▼p 1990년대 / ▼d 한국예술연구소 엮음 |
246 | 0 3 | ▼a 한국현대예술의 기술과 보고 |
260 | ▼a 서울 : ▼b SIGONGART, ▼c 2005 | |
300 | ▼a 395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집필자: 김낙호, 김미도, 김정희, 방민호, 안창호, 이명인, 이재복, 정헌이, 홍용희, 이영미 | |
710 | ▼a 한국예술종합학교. ▼b 한국예술연구소, ▼e 편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 청구기호 700.953 1999a 6 | 등록번호 1114054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 청구기호 700.953 1999a 6 | 등록번호 1114054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00.953 1999a 6 | 등록번호 1512903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 청구기호 700.953 1999a 6 | 등록번호 1114054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 청구기호 700.953 1999a 6 | 등록번호 1114054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00.953 1999a 6 | 등록번호 1512903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예술종합학교의 '한국예술연구소'에서 펴내고 있는 이 책은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한국현대예술사를 정리하고 있다. 1999년부터 1년에 한 권씩, 전 6권으로 묶어낼 계획이다. 2004년 완간. 현재 출간된 1권은 해방이후 한국전쟁까지, 2권은 전후의 1950년대를 다루고 있으며, 각 권은 총론, 문학, 연극, 영화, 미술, 음악, 무용, 만화, 건축의 아홉개 장으로 이루어진다.
40세 전후의 젊은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어 집필했으며, 가능한 한 해당 시기, 해당 분야 전공자들로 선정하여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매 시기 집필자를 바꾸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고 한다. 젊은 연구자들의 열의가 엿보이는 기획이다. 시기별로 여러 장르를 함께 대비해서 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고, 특히 기존의 예술사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던 만화나 건축 분야의 연구가 소중하다.
정보제공 :

목차
머리말 총론/ 이영미 1. 이야기를 시작하며 2. 단절과 새로움의 역사적 의미 3. 문화의 시대 4. 대중의 시대 5. 21세기의 초엽에서 문학/ 방민호. 홍용희. 이재복 1. 개관 2. 소설 3. 시 4. 비평 연극/ 김미도 1. 개관 2. 주요 변화 및 흐름 3. 주요 경향 및 작품 4. 한국연극의 새로운 패러다임-결어를 대신하여 영화/ 이명인 1. 1990년대 특성 2. 1990년대적 지각변동 3. 정책과 산업 4. 감독과 장르 5. 맺음말 혹은 ''1990년대적 2000년대'' 미술/ 정헌이 1. 개관 2. 1960년대를 넘어서 3. 제도기관의 확장 4. 비엔날레 시대의 세계화와 지역성 5. 1990년대의 미술 6. 맺으며: 1990년대 미술이 남긴 과제 음악/ 김정희 1. 개관 2. 한국음악의 근대화와 후근대화 그리고 공공의 문제 3. 1990년대 문화양상과 음악 4. 창작 분야의 장르적 안정과 변화 5. 음악, 서양화의 문제로부터 6. 나오면서 만화. 애니메이션/ 김낙호 1. 개관: 1990년대적 현상의 시작 2. 1990년대의 만화. 애니메이션 환경 3. 1990년대의 작품 경향 4. 새로운 방향성의 예고 5. 맺음말: 1990년대. 체질 변환 실험 건축/ 안창모 1. 탈군사정권 시대의 건축 2. 주거문화의 전환점 3. 역사. 문화도시로의 전환 4. 세계화와 IMF 그리고 건축계의 구조변화 5. 건축문화의 해 6. 건축가와 건축교육 7. 건축 이슈와 이벤트 그리고 건축가 8. 변화와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