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초등학교문화의 이해 = 13
제1절 문화의 개념 = 15
제2절 문화의 속성 = 17
제3절 교육학에서의 문화연구 = 20
제4절 초등학교문화의 이해 = 22
1. 학교문화의 개념 = 22
2. 초등학교의 일상문화 = 25
제5절 초등학교문화의 연구과제 = 27
제2장 초등학교문화 그려내기 : 문화기술적 연구 = 33
제1절 문화기술적 연구방법(Ethnography) = 35
1.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의 발전 과정 = 37
2.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의 특징 = 41
제2절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의 절차 및 전략 = 45
1. 연구주제 정하기 = 47
2. 연구물음 = 48
3. 연구기간 = 48
4. 사회적 위치 잡기 = 49
5. 자료수집 = 50
6. 자료기록 = 52
7. 자료분석 = 52
제3절 초등학교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54
제4절 맺는 말 = 57
제3장 초등학교의 수업문화 : 조건과 연구과제 = 59
제1절 수업의 속성 : 민감한 활동 = 61
제2절 수업의 조건들 = 63
1. 직접적 조건 = 63
2. 간접적 조건 = 67
제3절 수업조건으로서 교육성과 효율성 = 69
제4절 초등학교 수업연구의 연구과제 = 71
1. 초등학교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의 동향 = 71
2. 초등학교 수업연구의 과제 = 74
제5절 맺는 말 = 75
제4장 초등학교 구성원문화 : 관계의 의미와 형태 = 79
제1절 관계의 의미 = 81
제2절 초등학교 구성원간 관계의 형태 = 83
1.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 = 84
2. 동료교사들과의 관계 = 87
3. 교사와 학교장과의 관계 = 89
4. 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 = 91
5. 학생들 상호간의 관계 = 94
6. 학교구성원과 상급기관(교육청)과의 관계 = 95
제3절 관계 형성의 사회·문화적 조건 = 97
제4절 맺는 말 = 99
제5장 초등교사의 직업문화 = 103
제1절 교직문화 = 106
1. 교직문화의 개념 = 106
2. 교직문화에 대한 연구 = 107
제2절 초등학교 교직문화의 실제 = 109
1. 초등학교 교사의 업무 = 110
2. 초등학교 교사의 인간관계 = 114
3. 초등학교 교사업무의 특징 = 123
제3절 초등학교 교직문화의 특징 = 125
1. 전문적 기술문화의 부재 = 126
2. 개인주의 = 129
3. 현재주의 = 131
4. 보수주의 = 133
5. 교직의 이중성 = 135
제4절 초등학교 교직문화 형성의 사회·문화적 조건 = 136
제5절 맺는 말 = 138
제6장 초등교사-학생간 관계 : 학급통제 = 143
제1절 열린학교와 전통학교간 학생통제의 차이 = 145
제2절 시간의 통제 = 153
제3절 공간의 통제 = 159
제4절 활동의 통제 = 163
1. 수업형태별 수업시간에서의 활동통제 = 164
2. 수업관련 활동에서의 통제 = 168
3. 수업시간 이외의 활동 통제 = 169
제5절 맺는 말 = 170
제7장 초등학생 상호간 관계 : 집단따돌림 현상에 대한 이해 = 173
제1절 초등학교 학생들의 집단따돌림 현상 = 176
1. 집단따돌림 형성기 = 178
2. 집단따돌림의 변화기 = 182
3. 집단따돌림의 정착기 = 190
제2절 집단따돌림의 원인 = 193
1. 교사의 차별적 상호작용 = 193
2. 학교·학급행사 = 195
3. 자리배치 = 198
4. 미성숙한 대인관계 = 200
제3절 집단따돌림에 대한 대응전략 = 202
1. 집단따돌림에 대한 교사들의 대응전략 = 204
2. 집단따돌림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전략 = 205
제4절 맺는 말 = 210
제8장 초등학교장의 결합기제 = 213
제1절 학교장의 결합기제 : 개념과 선행연구 = 218
제2절 인터넷을 활용한 학교장의 결합기제 = 221
1. 의사소통 = 222
2. 학교 의사결정에의 교사 참여 = 233
제3절 맺는 말 = 235
제9장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관계 : 콜맨의 사회자본에 대한 이해 = 239
제1절 사회자본 = 241
제2절 사회자본과 교육과의 관계 = 245
제3절 가정내의 사회자본 = 251
제4절 학교내의 사회자본 = 257
제5절 지역사회내의 사회자본 = 260
제6절 가정-학교-지역사회 관계 = 265
1. 가정과 학교관계 = 265
2. 학교와 지역사회 관계 = 271
3. 가정-학교-지역사회간의 관계 = 273
제7절 맺는 말 = 276
제10장 새 학교문화의 창조 = 281
제1절 새 학교문화 창조의 조건 = 282
제2절 새 학교문화 창조의 과제 = 284
1. 연구과제 = 285
2. 실천과제 = 287
제3절 새 학교문화 창조의 방향 = 291
1. 새 학교문화 창조의 목표 = 293
2. 새 학교문화 창조의 내용 = 297
3. 새 학교문화 창조의 과정 = 299
제4절 맺는 말 = 300
참고문헌 = 303
찾아보기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