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313camccc200385 k 4500 | |
001 | 000045333199 | |
005 | 20100805094153 | |
007 | ta | |
008 | 060501m20052006ulka b 001c kor | |
020 | ▼a 8981055734 ▼g 94670(v.1) | |
020 | ▼a 8981055742 ▼g 94670(v.2) | |
020 | ▼a 8981055750 ▼g 94670(v.3) | |
020 | ▼a 8981055769 ▼g 94670(v.4) | |
020 | ▼a 8981055777 ▼g 94670(v.5) | |
020 | ▼a 8981055785 ▼g 94670(v.6) | |
020 | 1 | ▼a 8981055726(세트) |
020 | ▼a 9788981055738(v.1) | |
020 | ▼a 9788981055745(v.2) | |
020 | ▼a 9788981055752(v.3) | |
020 | ▼a 9788981055769(v.4) | |
020 | ▼a 978981055776 (v.5) | |
020 | ▼a 9788981055783(v.6) | |
020 | 1 | ▼a 9788981055721(세트) |
035 | ▼a (KERIS)BIB000010325936 | |
040 | ▼a 211044 ▼c 211044 ▼d 211009 | |
082 | 0 4 | ▼a 780.9 ▼2 22 |
090 | ▼a 780.9 ▼b 2005f | |
245 | 2 0 | ▼a (음악세계)서양음악사 / ▼d 音樂世界. |
260 | ▼a 서울 : ▼b 音樂世界 , ▼c 2005-2006. | |
300 | ▼a 책 : ▼b 삽도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505 | 0 0 | ▼n 1, ▼t 중세 음악 / ▼d 박을미 지음. - ▼n 2, ▼t 르네상스 음악 / ▼d 이영민 지음. - ▼n 3, ▼t 17세기 음악 / ▼d 이남재 지음. - ▼n 4, ▼t 18세기 음악 / ▼d 이남재 , ▼e 김용환 지음 - ▼n 5, ▼t 19세기 음악 / ▼d 김용환 지음. - ▼n 6, ▼t 20세기 음악 |
710 | ▼a 음악세계 , ▼e 편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2005f 1 | Accession No. 11140544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2005f 1 | Accession No. 11140544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 Call Number 780.9 2005f 2 | Accession No. 11140544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 Call Number 780.9 2005f 2 | Accession No. 11140544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 Call Number 780.9 2005f 3 | Accession No. 1114075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 Call Number 780.9 2005f 4 | Accession No. 1114093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7 |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 Call Number 780.9 2005f 5 | Accession No. 1114110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8 |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 Call Number 780.9 2005f 5 | Accession No. 1114110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9 |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 Call Number 780.9 2005f 6 | Accession No. 1114158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박을미(지은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에서도 수학했다. 이후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석사(현악 교수법),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박사(음악학)를 거쳤다. STANLEY J. KHARL AWARD를 수상했으며, 세계여성 인명록 에 등재되기도 했다. 2008년에는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연구교수로, 현재는 부산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 및 저서] “INTROITS WITH MODAL AMBIGUITY IN REGINO'S DE HARMONICA INSTITUTIONE"(1990년 STANLEY J. KAHRL AWARD 수상), “DE PRECEPTIS ARTIS MUSICAE OF GUILIELMUS MONACHUS : A NEW EDI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PH. D 논문), “중세 서양음악의 기보발전사”(서양고전학연구, 1995), “ARS ANTIQUA의 리듬에 관한 연구”(미학, 1995), “비례 기보법에 관한 논의”(낭만음악, 1996), "MODAL CLASSIFICATION IN A 'PRE-NOTATIONAL' AGE : SCRIBAL AND THEORETICAL TREATMENTS OF PROBLEMATIC INTROITS IN REGINO'S DE HARMONICA INSTITUTIONE"(THE JOURNAL OF MUSICOLOGICAL RESEARCH, 1996), “트루바두르-트루베르 음악의 리듬이론 : 모드리듬론과 자유리듬론”(이화음악논집, 1997), “음악이론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예술문화연구, 1997), “중세 단성세속음악 연주에서 악기 참여의 문제 :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 음악을 중심으로”(음악논단, 1999), “정량기보의 발전사 : ‘프랑코니안’ 기보법에서 ‘혼합기보법’까지”(음악과 민족, 2000), “귈레무스의 포부르동과 김멜 이론에 관한 재연구”(음악논단, 2001) , “노트르담 오르가눔의 제3양식 ‘코풀라’에 관한 논의” (음악논단, 2006), “16세기 류트 타블라춰에 관한 연구 :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의 타블라춰를 중심으로” (이화음악논집, 2007), “클라우줄라 ‘SUSTINERE,’ 또는 ‘POTARE’로부터 모테트까지” (음악연구, 2007), “15세기와 16세기의 비례기호 이론에 관한 논의” (이화음악논집, 2010), 중세음악 (음악세계, 2006)

Table of Contents
[volume. vol.1]---------- 목차 서문 = 8 제1장 중세 음악의 배경 = 11 1. 중세와 교회 = 11 2. 중세의 대학과 자유학예 = 13 3. 그리스 음악론 = 15 3.1. 수와 음악 = 16 3.2. 에토스론 = 17 4. 보에티우스와 중세의 음악관 = 18 제2장 단성 교회음악 = 22 1. 성무일도 = 22 2. 미사 = 25 2.1. 미사 통상문 = 29 2.2. 미사 고유문 = 34 3. 그레고리오 성가 = 38 3.1. 교회 선법 = 41 3.2. 성가 기보법 = 43 3.3. 귀도 다레초 = 50 3.4. 헥사코드 체계와 '귀도의 손' = 52 4. 성가의 후기 발전 = 54 4.1. 트로프 = 54 4.2. 시퀀스 = 56 5. 전례극 = 59 제3장 단성 세속음악 = 65 1. 골리아드 = 66 2. 단성 콘둑투스 = 67 3.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 = 68 4. 종글뢰르 = 76 5. 민네징거와 마이스터징거 = 77 6.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지방어 노래 = 80 제4장 중세의 기악음악 = 83 1. 중세 시대의 악기 = 84 1.1. 현악기 = 84 1.2. 관악기 = 85 1.3. 타악기 = 86 1.4. 건반악기 = 87 2. 기악음악의 종류 = 88 2.1. 즉흥음악 = 88 2.2. 성악곡의 기악적 연주 = 88 2.3. 춤곡 = 89 제5장 초기 다성음악의 발전 = 94 1. 초기 오르가눔 = 95 2. 자유 오르가눔 = 98 3. 다음적 오르가눔 = 100 제6장 노트르담 악파와 13세기 음악 = 103 1. 레오냉 = 104 2. 페로탱 = 108 3. 리듬선법과 모드 기보법 = 111 4. 다성 콘둑투스 = 115 5. 모테트 = 117 6. 프랑코식 모테트 = 121 6.1. 프랑코 기보법과 페트루스 기보법 = 122 7. 페트루스식 모테트 = 126 8. 호케투스 = 129 제7장 프랑스 아르스 노바 = 131 1. 필립 드 비트리와 아르스 노바 = 134 2. 아르스 노바 기보법 = 135 3. 〈Roman de Fauvel〉(포벨의 이야기) = 138 4. 14세기 모테트와 아이소리듬 기법 = 140 5. 기욤 드 마쇼 = 143 5.1. 'Messe de Notre Dame(노트르담 미사)' = 146 5.2. 기욤 드 마쇼의 세속노래 = 151 6. 무지카 픽타 = 158 제8장 이탈리아 트레첸토 음악 = 161 1. 이탈리아 트레첸토 기보법 = 162 2. 마드리갈 = 167 3. 카치아 = 169 4. 발라타 = 173 5. 프란체스코 란디니 = 174 6. 14세기 말의 프랑스와 이탈리아 음악 = 182 참고문헌 = 183 색인 = 188 [volume. vol.2]---------- 목차 서문 = 9 제1장 르네상스 음악 문화의 배경과 음악적 특징 = 13 1. 르네상스의 개념 = 14 2. 15세기 초 유럽의 지역적 구도와 종교적 배경 = 14 3. 백년전쟁 = 15 4. 음악의 후원 = 17 5. 인문주의 = 20 6. 고대 음악에 관한 인문주의적 연구 = 21 7. 악보 인쇄의 발달 = 24 8. 르네상스 음악의 전반적 특징 = 27 제2장 15세기의 흐름 = 31 1. 영국 음악 = 32 1.1. 〈올드 홀 필사본〉 = 34 1.2. 레오넬 파워 = 36 1.3. 존 던스터플 = 38 1.4. 캐럴 = 40 2. 부르고뉴 지역의 음악 = 42 2.1. 선구자: 요한네스 치코니아와 니콜라 그르농 = 44 2.2. 기욤 두 파이 = 45 2.2.1. 두 파이의 미사곡 = 48 2.2.2. 두 파이의 모테트와 기타 교회 음악 = 51 2.2.3. 두 파이의 세속 노래 = 56 2.3. 질 뱅슈아 = 58 3. 프랑스-플랑드르-네덜란드 악파 = 62 3.1. 요한네스 오케겜 = 62 3.1.1. 오케겜의 미사곡 = 65 3.1.2. 오케겜의 모테트 = 70 3.1.3. 오케겜의 세속 노래 = 70 3.2. 앙투안 뷔누아 = 72 3.3. 조스캥 데 프레 = 74 3.3.1. 조스캥의 미사곡 = 77 3.3.2. 조스캥의 모테트 = 80 3.3.3. 조스캥의 세속 노래 = 83 3.4. 야콥 오브레히트: 조스캥의 동시대 음악가 = 84 3.4.1. 오브레히트의 미사곡 = 86 3.4.2. 오브레히트의 모테트와 세속 노래 = 88 3.5. 하인리히 이작: 조스캥의 동시대 음악가 = 89 3.6. 조스캥 시대의 다른 음악가들 = 92 3.6.1. 알렉산더 아그리콜라 = 92 3.6.2. 루아제 콩페르 = 93 3.6.3. 피에르 드 라 뤼 = 95 3.6.4. 장 무통 = 97 제3장 16세기의 흐름 = 99 1. 조스캥 이후의 프랑스-플랑드르-네덜란드 악파 = 1OO 1.1. 니콜라 공베르 = 100 1.2. 아드리안 빌라르트 = 104 1.3. 야코부스 클레멘스 논 파파 = 108 2. 민족적 양식의 생성과 발달 = 111 2.1. 이탈리아 = 112 2.1.1. 라우다 = 112 2.1.2. 프로톨라 = 114 2.1.3. 칸토 카르나샬레스코 = 117 2.1.4. 빌라넬라 = 120 2.1.5. 마드리갈 = 121 2.1.6. 그밖의 이탈리아 세속 노래 = 151 2.2. 프랑스 = 154 2.2.1. 파리 샹송 = 154 2.2.2. 네덜란드 샹송 = 158 2.2.3. 보드빌과 에르 드 쿠르 = 158 2.2.4. 정률 음악 = 159 2.3. 영국 = 160 2.3.1. 영국 마드리갈 = 161 2.3.2. 류트 노래 또는 에어 = 164 2.3.3. 콘소트 노래 = 166 2.4. 독일어권 지역 = 168 2.4.1. 마이스터리트 = 168 2.4.2. 다성 리트 = 168 2.4.3. 송가 = 169 2.4.4. 쿼들리벳 = 169 2.4.5. 루드비히 젠플 = 169 2.5. 스페인 = 172 2.5.1. 비얀시코 = 173 2.5.2. 로만세 = 174 3. 종교개혁과 그 이후의 교회 음악 = 174 3.1. 루터교의 음악 = 175 3.1.1. 루터교의 성립 = 175 3.1.2. 루터교의 전례와 음악 = 175 3.1.3. 코랄 = 177 3.1.4. 다성 코랄과 코랄 모테트 = 178 3.2. 칼뱅교의 음악 = 179 3.2.1. 칼뱅교의 성립 = 179 3.2.2. 칼뱅교의 시편가 = 180 3.3. 영국 성공회의 음악 = 182 3.3.1. 16세기 초 영국의 교회 음악 = 182 3.3.2. 영국의 종교개혁과 성공회 음악 = 184 3.3.3. 서어비스와 앤덤 = 185 3.3.4. 토마스 탈리스와 월리엄 버드의 교회 음악 = 188 3.4. 반동종교개혁과 가톨릭 음악 = 192 3.4.1. 트리엔트 공의회 = 192 3.4.2.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의 가톨릭 음악 = 193 3.4.3. 조반니 피에를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 = 195 3.4.4. 토마스 루이스 데 빅토리아 = 204 3.4.5. 오를란도 디 랏소 = 208 4. 기악의 발달 = 217 4.1. 르네상스의 악기 = 218 4.1.1. 관악기 = 220 4.1.2. 현악기 = 221 4.1.3. 건반 악기 = 224 4.1.4. 타악기 = 226 4.2. 연주 실제와 조율 = 227 4.3. 기악곡 장르 = 230 4.3.1. 성악곡의 편곡 = 230 4.3.2. 칸초나 = 233 4.3.3. 리체르카레 = 236 4.3.4. 교육용 기악곡 = 238 4.3.5. 춤곡 = 240 4.3.6. 변주곡 = 244 4.3.7. 즉흥적 양식의 작품: 토카타, 프렐류드, 판타지아 = 247 4.3.8. 소나타 = 250 5. 베네치아 악파와 다수합창 양식 = 253 참고문헌 = 259 색인 = 264 [volume. vol.3]---------- 목차 서문 = 8 제1장 17세기 음악의 일반적 고찰 = 11 1. '바로크' 의 어원과 그 의미의 변천 = 12 2. 반동종교개혁 = 13 3. 30년 전쟁 = 15 4. 새로운 질서에의 요구 = 16 5. 과학 정신의 발현 = 17 6. 새로운 세계관과 음악 수사학 = 17 7. '감정 이론' = 19 8. 아카데미와 플로렌틴 카메라타 = 21 9. 음악의 후원자들 = 22 제2장 음악적 양식의 발전 = 23 1. 선언들 = 23 2. '새로운 양식'과 바소 콘티누오 = 25 3. 모노디 = 26 4. 양식의 다양성 = 27 5. 제1 작법과 제2 작법: 몬테베르디와 마드리갈 = 28 6. 마드리갈 = 30 7. 마드리갈의 시와 대본들 = 31 8. 마드리갈과 독창곡 = 32 9. 몬테베르디: '감정(affections)'의 표현 = 34 제3장 이탈리아의 혁신: 오페라, 기악 및 종교음악 = 37 1. 오페라의 탄생 = 37 2. 피렌체와 만투아의 오페라: 페리의 〈에우리디체〉와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 = 40 3. 로마 오페라: 궁정의 후원과 웅대한 장관(壯觀) = 47 4. 베네치아의 오페라: 몬테베르디, 카발리, 체스티 = 50 5. 이탈리아의 기악 형식들의 발전 = 55 6. 프레스코발디 = 56 7. 춤곡 = 58 8. 춤곡 모음곡 = 59 9. 프로베르거 = 60 10. 바이올린의 발전과 초기 소나타 = 61 11. 교회 음악: 옛 스타일과 새 스타일: 다중 합창 = 63 제4장 17세기 독일 음악: 루터교 코랄과 이탈리아의 뛰어난 기교의 결합 = 66 1.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은 작곡가들: 프레토리우스, 샤인, 샤이트 = 67 2. 쉿츠의 생애와 종교 음악 = 73 3. 쉿츠와 동시대의 작곡가들 = 83 4. 콘티누오 리트 = 84 5. 독일의 기악음악 = 85 6. 국가별 양식: 프로베르거와 그의 동시대인들 = 86 7. 로젠뮐러, 쉬멜처, 비버 = 88 제5장 '위대한세기'의 프랑스 음악 = 91 1. 바이프의 '음악과 시 아카데미' = 92 2. 궁정 발레 = 92 3. 궁정 노래 = 93 4. 프랑스 음악에 끼친 이탈리아의 영향 = 95 5. 륄리 = 96 6. 프랑스 오페라와 륄리의 독점 = 100 7. 륄리의 '음악비극' 또는 '서정 비극', 그리고 레치타티보 = 101 8. 궁정의 음악 조직 = 105 9.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프랑스식 서곡 = 106 10. 륄리의 후계자들과 샤르팡티에의 오페라 = 107 11. 프랑스 종교 음악 = 108 12. 뒤몽과 들라랑드의 그랑 모테트 = 109 13. 샤르팡티에의 종교 음악 = 111 14. 17세기 프랑스의 기악 음악 = 12 14.1. 류트 = 112 14.2. 오르간 = 112 14.3. 하프시코드 = 113 15. 기악 합주 음악 = 117 제6장 17세기 후반의 이탈리아: 오라토리오, 칸타타, 소나타, 콘체르토 = 119 1. 오라토리오 = 119 2. 카릿시미와 오라토리오 〈입다〉 = 121 3. 그 후의 오라토리오와 스트라델라 = 124 4. 칸타타 = 125 5. 스카를라티의 생애와 칸타타, 세레나타 = 128 6. 소나타 = 130 7. 코렐리의 소나타와 합주 협주곡 = 136 8. 토렐리의 협주곡들 = 140 제7장 17세기 영국궁정 및 공화정의 음악 = 141 1. 마드리갈과 류트 송 = 141 2. 마스크 = 142 3. 후기 마스크: 헨리와 윌리엄 로우스 = 143 4. 공화정의 여흥 = 145 5. 영국 기악 음악 = 145 6. 종교 음악: 초기 바로크 앤섬 = 147 7. 왕정복고 이후의 궁정 음악 = 148 8. 펠럼 험프리, 존 블로우 그리고 벌스 앤섬 = 149 9. 퍼셀의 생애 및 종교 음악과 찬가 = 149 10. 영국 세미 오페라 = 151 11. 오페라 퍼셀의 〈디도와에네아스〉와 블로우의 〈비너스와아도니스〉 = 152 12. 퍼셀의 기악 음악 = 153 참고문헌 = 155 색인 = 157 [volume. vol.4]---------- 목차 서문 = 10 제1부 제1장 18세기 전반기 이탈리아의 오페라와 기악 음악 = 13 1. 메타스타시오와 오페라 세리아 = 14 2. 하세 = 17 3. 알비노니와 베네치아의 협주곡 = 20 4. 알레산드로와 베네데토 마르첼로 = 22 5. 비발디 = 23 5.1. 비발디의 오페라, 칸타타, 세레나타 = 25 5.2. 비발디의 종교음악 = 27 5.3. 비발디의 협주곡 = 31 6. 비발디의 동시대 작곡가들: 타르티니 = 35 7. 도메니코 스카를라티의 생애와 하프시코드 소나타 = 37 제2장 18세기 전반기의 프랑스: 쿠프랭부터 라모까지 = 42 1. 쿠프랭 = 43 1.1. 종교 성악 음악 = 46 1.2. 하프시코드 음악 = 47 2. 프랑스의 실내 칸타타 = 50 3. 프랑스 소나타와 협주곡: 르클레어, 몽동비유 = 54 4. 하프시코드, 플루트, 베이스 비올을 위한 음악 = 57 5. 오페라-발레 = 60 6. 라모 = 62 6.1. 라모의 실내 칸타타와 18세기의 그랑 모테트 = 66 6.2. 라모의 오페라와 발레 = 68 7. 계몽주의와 바로크 시대의 마무리 = 74 제3장 18세기 전반기의 독일: 음악적 종합 = 78 1. 북독일의 협주곡 = 80 2. 독주 기악음악 = 82 3. 종교음악: 북스테후데와 루터교의 칸타타 = 85 4. 바흐 = 88 4.1. 초기 생애와 바이마르 시기(1708-17) = 88 4.2. 쾨텐 시기(1717-23):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의 작곡과 악기 수집 = 94 4.3. 라이프치히 시기(1723-50) = 97 4.3.1. 칸타타, 수난곡, 오라토리오 = 37 4.3.2. 짧은 미사, 모테트, 성모찬가(Magnificat) = 102 4.3.3. 라이프치히 콜레기움 무지쿰 = 105 4.3.4. 바흐의 만년(晩年) = 106 5. 텔레만 = 109 제4장 18세기 전반기의 영국: 헨델 시대의 음악적 다양성 = 116 1. 오페라의 성장 = 119 2. 헨델 = 120 2.1. 어린시절 = 120 2.2. 이탈리아 체류 = 121 2.3. 헨델의 첫 런던 오페라 〈리날도〉 = 123 2.4. 헨델의 아카데미 오페라들 = 125 2.5. 도전받는 오페라 세리아 = 127 2.6. 헨델의 두 번째 아카데미 = 128 2.7. 헨델과 영국 오라토리오 = 129 2.8. 헨델의 관현악 작품 = 135 2.9. 헨델의 협주곡들 = 137 3. 마스크와 목가극 = 139 4. 헨델의 동시대 작곡가들 = 140 제2부 제1장 18세기의 일반적 사항 = 143 1. 18세기 음악사의 시기구분(음악사로서의 18세기) = 143 2. 새로운 장르의 탄생 = 145 3. 18세기의 양식 개념 = 146 3.1. 갈랑 양식 = 146 3.2. 다감 양식 = 148 3.3. 전고전주의 = 148 3.4. 슈트름 운트 드랑 = 149 3.5. 음악적 고전주의 = 149 4. 계몽주의와 음악 = 152 5. 국가양식ㆍ혼합취향ㆍ보편적 양식 = 153 6. '공공연주회'의 활성화 = 155 7. 출판 및 음악저널리즘의 성행 = 156 제2장 오페라 = 159 1. 18세기 후반기의 이탈리아 오페라: 오페라 부파 = 159 1.1. 페르골레시 = 160 1.2. 골도니의 대본 개혁 = 162 1.3. 치마로사와 파이젤로 = 163 1.4. 오페라 부파의 음악적 특징 = 164 2. 18세기 후반기의 프랑스 오페라 = 165 2.1. 오페라 코미크 = 165 2.1.1. 그레트리 = 166 2.2. 글룩의 오페라 개혁 = 168 3. 영국의 발라드 오페라 = 170 4. 독일의 징슈필 = 170 제3장 기악음악 = 172 1. 교향곡의 탄생과 발전 = 172 1.1. 이탈리아 = 172 1.1.1. 오페라 서곡으로서의 '신포니아' = 172 1.1.2. 연주회용 서곡 = 173 1.2. 베를린 = 176 1.3. 런던 = 177 1.4. 중부 독일: 만하임 오케스트라 = 178 1.5. 빈 = 182 1.6. 뵈멘 = 182 1.7. 파리 = 183 1.8. 그 외의 지역 = 183 2. "전고전주의"의 기악협주곡 = 184 3. 실내악 = 187 3.1. 하이든 이전까지의 실내악 = 187 3.1.1. 현악4중주 = 188 3.2. 보케리니의 실내악 = 189 3.3. 디베르티멘토와 세레나데 = 192 4. 피아노 음악 = 192 4.1. 일반적 사항 = 192 4.2. 18세기 중엽 무렵의 피아노 음악 = 194 4.2.1. 이탈리아 = 195 4.2.2. 파리 = 197 4.3.3. 북부 독일 = 198 4.2.4. 남부 독일 & 빈 = 200 제4장 리트 = 202 1. 리트에 대한 18세기의 이론과 미학 = 202 2. 제1베를린 리트악파 = 206 제5장 "빈 고전주의" 양식의 성숙Ⅰ: 하이든 = 207 1. 생애 = 207 2. 교향곡 = 208 3. 기악협주곡 = 217 4. 실내악 = 219 4.1. 현악4중주 = 219 4.2. 그 밖의 실내악 = 224 5. 피아노(클라비어) 음악 = 225 6. 종교음악 = 228 6.1. 오라토리오 = 228 6.2. 미사곡 = 230 7. 오페라 = 231 8. 리트 = 231 제6장 "빈 고전주의" 양식의 성숙Ⅱ: 모차르트 = 233 1. 생애 = 233 2. 교향곡 = 238 3. 기악협주곡 = 243 3.1. 모차르트 협주곡의 형식적 특징 = 244 3.2.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 246 4. 실내악 = 250 4.1. 현악4중주 = 250 4.2. 그 밖의 실내악 = 253 5. 피아노 음악 = 256 6. 오페라 = 258 7. 종교음악 = 264 제7장 새로운 시대로의 전환 = 266 1. 프랑스 혁명과 음악 = 266 2. 슈베르트 이전의 예술가곡 = 268 2.1. 제2베를린 리트악파 = 268 2.2. 슈바벤 악파 = 269 2.3. 빈의 클라비어리트 = 270 3. 클레멘티와 그 밖의 동시대 피아니스트들 = 270 참고문헌 = 275 색인 = 280 [volume. vol.5]---------- 목차 서문 = 11 제1장 19세기의 일반적 사항 = 15 1. 시대 상황 = 15 1.1. 인구의 증가와 도시의 발달 = 17 2. 19세기 음악사의 시기 구분(음악사로서의 19세기) = 18 3. 시기적 특징 = 20 3.1. 19세기는 "낭만주의" 시기일까? = 20 3.2. 동시대인들의 음악에 대한 평가 = 20 3.3. 음악개념-문화영역-양식 = 21 3.4. 장르 = 22 3.5. 시민계급의 음악문화 = 23 3.6. 음악가의 지위변화: 궁정음악가에서 인류의 천재로 = 23 3.7. 공공연주회의 활성화 = 24 3.8. 음악의 기관 및 조직: 출판사-콘서바토리-음악비평 = 26 3.9. 음악발전의 중심지: 세력의 분산 = 26 4. 19세기 음악에서의 다양한 경향 = 28 4.1. 낭만주의 = 28 4.1.1.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관계 = 33 4.1.2. "낭만적" 개념에 포함된 주요 사항 = 34 4.2. 비더마이어(Biedermeier) = 34 4.3. 사실주의(Realismus) = 37 4.4. 역사주의(Historismus) = 38 4.5. 국민주의(Nationalismus) = 39 제2장 기악음악 = 40 1. 교향곡 = 40 1.1. 일반적 특징 = 40 1.1.1. 19세기 초의 교향곡의 위치 = 40 1.1.2. "대연주회"에서 "교향곡연주회"로 = 41 1.1.3. 관현악법의 발달 = 42 1.2. 19세기 전반기의 주요 작곡가 = 42 1.2.1. 루드비히 반 베토벤 = 42 1.2.2. 베토벤의 동시대 작곡가: 에베를ㆍ슈포르 = 59 1.2.3. 프란츠 슈베르트 = 60 1.2.4. 펠릭스 멘델스존 바르톨디 = 62 1.2.5. 로베르트 슈만 = 64 1.2.6. 그외 = 68 1.2.7. 엑토르 베를리오즈: 드라마틱(프로그램) 교향곡의 탄생 = 68 1.3. 19세기 후반기의 주요 작곡가 = 77 1.3.1. 교향곡의 위기(1850-70) = 77 1.3.2. 프란츠 리스트: 교향시의 탄생 = 77 1.3.3. 교향곡의 부활(1870-97) = 84 1.3.3.1. 요하네스 브람스 = 84 1.3.3.2. 안톤 브루크너 = 90 1.3.3.3. 표트르 차이코프스키 = 93 1.3.3.4. 알렉산더 보로딘 = 94 1.3.3.5. 안톤 드보르작 = 95 1.3.3.6. 1870년 이후 프랑스에서의 교향곡: 생상스ㆍ프랑크ㆍ댕디 = 97 1.3.4. 리스트 이후의 교향시 = 99 2. 서곡ㆍ연극음악ㆍ모음곡 외 = 101 2.1. 서곡 = 101 2.2. 연극음악 = 103 2.3. 모음곡 = 104 2.4. 자유로운 형식의 관현악곡 = 106 3. 기악협주곡 = 106 3.1. 일반적 특징 = 106 3.1.1. "화려한 협주곡" & "비르투오소 협주곡" = 107 3.1.2. 교향악적 협주곡 = 109 3.1.3. 콘체르트슈틱의 탄생 = 110 3.2. 19세기 전반기의 주요 작곡가 = 112 3.2.1. 베토벤 = 112 3.2.2. 베토벤의 동시대 작곡가: 슈포르ㆍ베버 = 122 3.2.3. 쇼팽 = 124 3.2.4. 멘델스존 = 125 3.2.5. 슈만 = 129 3.2.6. 그외 = 134 3.3. 19세기 후반기의 주요 작곡가 = 134 3.3.1. 리스트 = 135 3.3.2. 브람스 = 138 3.3.3. 그외 = 140 4. 피아노 음악 = 143 4.1. 일반적 특징 = 143 4.1.1. 연주곡의 종류와 연주장소 = 144 4.1.2. 주요장르: 소나타ㆍ성격소품ㆍ판타지ㆍ변주곡 외 = 147 4.2. 주요 작곡가 = 150 4.2.1. 베토벤 = 150 4.2.2. 베토벤의 동시대 작곡가 = 157 4.2.2.1. 베버 = 158 4.2.2.2. 슈베르트 = 159 4.2.3. 멘델스존 = 161 4.2.4. 쇼팽 = 162 4.2.5. 슈만 = 165 4.2.6. 리스트 = 168 4.2.7. 브람스 = 172 4.2.8. 국민악파의 피아노 음악 = 175 5. 오르간 음악 = 178 6. 실내악 = 180 6.1. 일반적 특징 = 180 6.2. 19세기 전반기의 주요작곡가 = 182 6.2.1. 베토벤 = 182 6.2.2. 슈베르트 = 190 6.2.3. 멘델스존 = 194 6.2.4. 슈만 = 195 6.3. 19세기 후반기의 주요 작곡가 = 197 6.3.1. 브람스 = 198 6.3.2. 동유럽의 실내악 = 204 6.3.3. 프랑스의 실내악 = 207 제3장 오페라와 음악극 = 209 1. 이탈리아 오페라 = 209 1.1. 일반적 사항 = 209 1.2. 주요 작곡가 = 210 1.2.1. 지오악키노 로시니 = 210 1.2.2. 가에타노 도니제티 = 212 1.2.3. 빈센초 벨리니 = 216 1.2.4. 그외 = 219 1.2.5. 19세기 후반: 주세페 베르디 = 220 2. 프랑스 오페라 = 225 2.1. 일반적 사항 = 225 2.2. 프랑스 오페라의 장르 및 주요 작곡가 = 226 2.2.1. 스폰티니의 '영웅 오페라' = 226 2.2.2. 오페라 코믹크(Op$$\acute e$$ ra comique) = 228 2.2.3. 그랑 오페라(Grand Op$$\acute e$$ ra) = 229 2.2.3.1. 자코모 마이어베어 = 230 2.2.3.2. 알레비 = 232 2.2.3.3. 베를리오즈 = 232 2.2.4. 오페라 부프 혹은 오페레타 = 233 2.2.5. 드라마 리릭크 혹은 서정 오페라 = 234 3. 독일의 낭만 오페라와 음악극 = 237 3.1. 일반적 사항(19세기 전반기) = 237 3.2. 19세기 전반기의 주요 작곡가 = 239 3.2.1. 칼 마리아 폰 베버 = 239 3.2.2. 하인리히 마르슈너 = 241 3.3. 독일의 음악극(19세기 후반): 리하르트 바그너 = 242 3.3.1. 바그너의 유산 = 252 4. 영국의 오페라 = 253 5. 러시아의 오페라 = 254 5.1. 글링카와 다르고미슈스키 = 254 5.2. 러시아 5인조 = 255 5.3. 차이코프스키 = 257 6. 동구유럽의 오페라 = 258 제4장 리트와 합창음악 = 260 1. 예술가곡 = 260 1.1. 일반적 특징 = 260 1.1.1. 민요에서 예술가곡으로 = 260 1.2. 독일어권의 주요 작곡가 = 264 1.2.1. 베토벤 = 264 1.2.2. 슈베르트 = 265 1.2.3. 멘델스존 = 268 1.2.4. 슈만 = 268 1.2.5. 브람스 = 272 1.2.6. 리스트 = 274 1.2.7. 바그너 = 274 1.2.8. 후고 볼프 = 274 1.3. 독일어권 이외의 리트(국민주의 악파의 리트) = 276 1.3.1. 프랑스 = 276 1.3.2. 러시아 = 278 1.3.3. 그외 = 278 2. 합창음악 = 280 2.1. 파트송ㆍ칸타타ㆍ세속적 합창음악 = 280 2.2. 교회음악 = 283 2.2.1. 가톨릭 교회음악 = 283 2.2.2. 개신교 교회음악 = 288 2.3. 오라토리오 = 289 2.3.1. 종교적 오라토리오 = 289 2.3.2. 세속적 오라토리오 = 291 2.3.3. 프랑스의 오라토리오 = 293 제5장 한 시대의 종말과 새 시대의 도래 = 295 참고문헌 = 301 색인 = 306 [volume. vol.6]---------- 목차 서문 = 10 제1장 20세기 음악의 연구와 새로운 시각 = 13 1. 20세기 음악사의 시간적 범위와 구분 = 14 2. 20세기 음악을 대변하는 총체적 개념: 모더니즘-신음악-아방가르드-포스트모더니즘 = 15 2.1. 모더니즘-신음악 = 16 2.2. 모더니즘-아방가르드-포스트모더니즘 = 17 제2장 예술사조, 작곡기법을 통해보는 1945년 이전 음악의 전반적 흐름 = 19 1. 후기낭만 = 19 2. 인상주의 = 20 3. 표현주의 = 22 4. 미래주의 = 24 5. 다다이즘 = 26 6. 신고전주의 = 28 7. 신즉물주의 = 29 8. 민속주의/이국주의 = 30 9. 무조성 = 32 10. 12음기법 = 33 제3장 작곡가와 장르를 중심으로 보는 1945년 이전 음악의 흐름 = 35 1. 20세기로의 전환기 = 35 1.1. 성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35 1.1.1. 오페라와 음악극: 바그너 후계자와 그로부터의 해방 = 35 1.1.2. 합창음악: 실용음악에 대한 요구와 모더니즘 = 41 1.1.3. 세속적 성악음악: 예술가곡과 관현악 노래 = 47 1.2.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50 1.2.1. 1900년대 모더니즘의 관현악과 실내악 = 50 1.2.2. 협주곡: 19세기 솔로협주곡의 장르미학적 지속 = 62 1.2.3. 피아노 음악의 전망 = 66 1.2.3.1. 무조로의 걸음-쇤베르크 = 66 1.2.3.2. 드뷔시와 라벨 = 66 1.2.3.3. 스크리야빈의 신비화음과 조성의 위기 = 70 2. 표현주의와 민족주의 = 71 2.1. 성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71 2.1.1. 제2빈악파와 바르톡의 오페라와 음악극 = 71 2.1.2. 세속적 합창음악 = 74 2.1.3. 20세기 초반의 가곡의 다양성 = 75 2.2.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79 2.2.1. 무조음악에 의한 관현악과 실내악 장르사의 무너짐 = 79 2.2.2. 독일을 제외한 국가들 그리고 독일 속에서의 낭만주의적 관현악과 실내악의 지속 = 81 2.2.3. 협주곡: 19세기 솔로협주곡의 장르미학적인 지속 = 87 2.2.4. 피아노 음악의 전망 = 90 2.2.4.1. 제2 빈악파와 무조성의 피아노 음악 = 90 2.2.4.2. 실험적 음향 생성-미국: 아이브스와 카웰 = 91 2.2.4.3. 리듬의 해방 = 94 3. 12음기법과 신고전주의 = 98 3.1. 성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98 3.1.1. 오페라에서 보여주는 새로움과 다양함 = 98 3.1.2. 세속적 그리고 종교적 합창음악 = 104 3.1.3. 표현주의 미학을 벗어난 예술가곡 = 110 3.2.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112 3.2.1. 12음기법에 의한 관현악과 실내악의 새로운 흐름 = 112 3.2.2. 신고전주의 관현악과 실내악의 흐름 = 120 3.2.3. 신고전주의와 모더니즘 안에서의 협주곡의 새로운 시작 = 129 3.2.4. 12음기법과 신고전주의적 사고 속에서의 피아노 음악 = 140 4. 정치적인 격동기의 음악(1932-1945) = 147 4.1. 성악음악의 전반적인 흐름 = 147 4.1.1. 파시즘과 오페라 = 147 4.1.2. 12음기법에 의한 합창음악 = 150 4.1.3. 정치적 선동노래와 가곡 = 152 4.2.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153 4.2.1. 정치적 격동 속에서의 관현악과 실내악 = 153 4.2.2. 망명 작곡가들의 협주곡 = 156 4.2.3. 미국의 협주곡 = 158 4.2.4. 작곡적 면에서 전조(前兆)를 보인 피아노 음악 = 160 제4장 예술사조, 작곡기법을 통해보는 1945년 이후 음악의 전반적 흐름 = 162 1. 총렬주의 = 165 2. 우연성음악 = 166 3. 실험음악 = 168 4. 구체음악 = 170 5. 전자음악 = 172 6. 음색작곡 = 176 7. 미니멀음악 = 178 8. 참여음악 = 181 9. 포스트모더니즘 = 182 제5장 작곡가와 장르를 중심으로 보는 1945년 이후 음악의 흐름 = 186 1. 1970년대 이전 = 187 1.1. 성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187 1.1.1. 무대작품에서의 다양한 양상 = 187 1.1.1.1. 절충주의적 음악극 = 187 1.1.1.2. 실험적 음악극 = 189 1.1 1.3. 정치적 음악극 = 196 1.1.2. 합창음악 = 197 1.1.2.1. 종교적 합창음악 = 198 1.1.2.2. 새로운 음악언어로의 성악음악 = 204 1.1.2.3. 총렬적 사고를 벗어난 성악음악 작곡의 실험성 = 208 1.2.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215 1.2.1. 총렬주의 작곡가들의 관현악과 실내악 = 216 1.2.2. 관현악과 실내악에서의 우연성 = 223 1.2.3. 총렬주의에 대한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한 관현악과 실내악 = 227 1.2.3.1. 음색작곡 = 227 1.2.3.2. 모더니즘의 변화된 연속을 보이는 관현악곡 = 232 1.2.4. 지속되는 협주곡에 대한 관심 = 234 1.2.4.1. 구세대에 의한 낭만적 협주곡 유형의 지속 = 235 1.2.4.2. 제2 빈악파의 협주곡 유형의 지속 = 235 1.2.4.3. 신고전주의적 협주곡 유형의 지속 = 236 1.2.4.4. 장르 전통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성향 = 237 1.2.5. 피아노 음악 = 242 1.2.5.1. 1945년 이후의 리듬과 음색에 대한 새로운 가치부여 = 243 1.2.5.2. 총렬주의를 형성한 피아노 음악 = 246 1.2.5.3. 우연성음악 = 254 2. 70년대 이후 = 258 2.1. 성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258 2.1.1. 반(反)-오페라 = 258 2.1.1.1. 실험적인 새로운 음악극 = 259 2.1.1.2. 반-반-오페라 = 264 2.1.1.3. 신표현주의 오페라 = 267 2.1.1.4. 교육적 음악극 = 268 2.1.1.5. 미니멀리즘 음악극 = 270 2.1.1.6. 여성 작곡가와 퍼포먼스 = 271 2.1.2. 합창음악 = 273 2.1.3. 세속적 성악음악 = 276 2.2.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 278 2.2.1. 포스트모더니즘-관현악과 실내악 = 278 2.2.1.1. 계속되는 실험정신과 함께 하는 전자음악 = 278 2.2.1.2. 관현악과 실내악을 위한 미니멀음악 = 280 2.2.1.3. 찜머만과 베리오의 인용기법-음악적 포스트모더니즘 = 286 2.2.1.4. 70년대 80년대 음악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의 시도를 담은 관현악과 실내악 = 289 2.2.2. 협주곡 = 294 2.2.2.1. 인용기법에 의한 협주곡 = 294 2.2.2.2. 신낭만주의 협주곡 = 295 2.2.2.3. 이국적 영감에 의한 협주곡 = 296 2.2.3. 70년대 이후 피아노 음악 = 296 2.2.3.1. 1970년 이후의 리듬에 대한 새로운 가치부여 = 296 2.2.3.2. 작곡사적 전통의 재수용 = 299 참고문헌 = 300 색인 =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