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실행연구방법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실행연구방법 (Loan 7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Corporate Author
덕성여자대학교 . 열린교육연구소 , 편
Title Statement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실행연구방법 / 이용숙 [외]저 ; 덕성여자대학교 열린교육연구소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2005.  
Physical Medium
629 p. ; 26 cm.
ISBN
8958911638 9788958911630
General Note
공저자: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부록: APA 양식 안내.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67]-480) 및 색인수록
000 01140camccc200361 k 4500
001 000045333169
005 20100805094119
007 ta
008 050804s2005 ulk b BI 001c kor
020 ▼a 8958911638 ▼g 93370
020 ▼a 9788958911630
035 ▼a (KERIS)BIB000010021989
040 ▼a 248003 ▼d 211046 ▼d 211031 ▼d 211009
082 0 4 ▼a 370.72 ▼2 22
090 ▼a 370.72 ▼b 2005b
245 2 0 ▼a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실행연구방법 / ▼d 이용숙 [외]저 ; ▼e 덕성여자대학교 열린교육연구소 편.
246 1 1 ▼a Action research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5.
300 ▼a 629 p. ; ▼c 26 cm.
500 ▼a 공저자: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500 ▼a 부록: APA 양식 안내. 외
504 ▼a 참고문헌(p. [467]-480) 및 색인수록
536 ▼a 한국학술진흥재단 2002~2003년도 협동연구지원을 받음
536 ▼a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설 열린교육연구소의 연구비 지원을 받음
700 1 ▼a 이용숙 ▼0 AUTH(211009)55047
700 1 ▼a 김영천
700 1 ▼a 이혁규
700 1 ▼a 김영미
700 1 ▼a 조덕주
700 1 ▼a 조재식
710 ▼a 덕성여자대학교 . ▼b 열린교육연구소 , ▼e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0.72 2005b Accession No. 1114053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교육 실행연구를 실시하고자 하는 연구자에 초점을 맞추어 안내서 형식으로 집필하였다. 본격적인 연구를 처음 해 보는 교사들이 편안하게 읽을 수 있도록 가능한 쉬운 표현으로 충분한 사례와 함께 설명을 제시하였으며, 논문 작성의 단계에 따라 내용을 전개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연구방법론 책에는 나오지 않지만 실제 논문 작성 과정에서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정보나 주의사항을 제시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용숙(지은이)

<실행연구방법>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3
추천의 글 = 7
제1부 실행연구를 실시하기 전에 알아야 할 내용들
 제1장 실행연구란 무엇인가 = 19
  1. 실행연구의 용어와 개념 = 20
  2. 실행연구의 다양성과 공통된 특징 = 22
  3. 실행연구의 모형과 절차 = 35
  4. 실행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 = 39
 제2장 교사 연구자와 실행연구 = 45
  1. 연구자로서 교사 = 45
  2. 연구방법으로서 실행연구 = 48
  3. 교사 연구자에 의한 실행연구의 기여 가능성 = 49
  4. 실행연구의 관점에서 본 교육현장연구의 개선 방향 = 52
 제3장 현지조사에 필요한 열한 가지 연구기술 = 57
  1. 개방성 = 59
  2. 호기심 = 62
  3. 모호함의 수용 = 64
  4. 라포르 = 66
  5. 성실성과 열의 = 68
  6. 의사결정자와의 우호적 관계 = 70
  7. 윤리적 민감성 = 73
  8. 글쓰기 능력 = 77
  9. 자기반성 = 82
  10. 인내심 = 85
  11. 창의성 = 90
 제4장 지도교수의 도움받기 = 97
  1. 지도교수와의 상담시간 운영 = 98
  2. 지도교수와의 상담시간에 해야 할 일 = 99
  3. 지도교수와 의견이 상충될 때 = 101
  4. 지도교수 이외에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 = 102
제2부 연구의 시작
 제5장 연구 주제 선정과 선행연구 조사 = 105
  1. 주제 선정 과정 = 106
  2. 선행연구 조사 = 113
 제6장 실행연구의 연구 설게 = 123
  1. 연구목적에 따른 실행연구 설계 = 123
  2. 연구단계별 실행연구 설계 = 135
  3. 실행연구 설계 시 고려할 실제 연구현장의 맥락 = 139
 제7장 연구계획서 쓰기 = 143
  1. 질적 연구에서의 연구계획서 쓰기 = 143
  2. 연구계획서 쓰기의 실제 = 149
제3부 질적 자료 수집방법
 제8장 참여관찰 = 161
  1. 4가지 관찰방식 = 162
  2. 참여관찰의 단계 = 165
  3. 학교교육 중심의 참여관찰 시 연구지침 = 167
  4. 참여관찰 결과의 기록 = 170
 제9장 서술적 관찰 = 181
  1. 서술적 관찰방법 = 181
  2. 서술적 관찰 결과의 기록 = 184
 제10장 심층면담 = 193
  1. 심층면담의 유형 = 193
  2. 심층면담 시 유의사항 = 196
  3. 질문의 유형 = 198
  4. 심층면담을 위한 면담 가이드의 사례 = 204
  5. 심층면담 사례 = 211
 제11장 서술형 설문조사 = 217
  1. 서술형 설문조사지 구성방법 = 217
  2. 시간 사용 분석을 위한 서술형 설문조사지 = 222
제4부 질적 자료 분석방법
 제12장 질적 자료의 양적 분석방법 = 227
  1. 응답 내용별 빈도분석 = 227
  2. 행동분류기준표를 활용한 시간 사용 실태분석 = 233
  3. 실제 학습시간 분석 = 238
  4. 질적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통계분석 = 250
 제13장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 = 255
  1. 분류체계분석 = 255
  2. 성분분석 = 258
  3.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의 사례 = 260
 제14장 원인연쇄분석 = 283
  1. 원인연쇄도형 = 283
  2. 원인연쇄도형을 그릴 때 유의사항 = 287
  3. 원인연쇄분석의 사례 = 289
 제15장 계획분석과 과정분석 = 293
  1. 계획분석 = 293
  2. 과정분석 = 295
  3. 계획분석과 과정분석의 사례 = 296
 제16장 결정표 분석과 흐름도 = 303
  1. 결정표 = 303
  2. 축약된 결정표 만들기와 흐름도 = 307
  3. 결정표와 흐름도 분석의 실례 = 308
 제17장 교과서의 내용조직방식과 서술내용 분석 = 319
  1. 내용조직의 외적인 측면 분석 = 319
  2. 본문 내용 제시방식과 질문방식의 유형화를 토대로 한 서술내용 분석 = 323
 제18장 내러티브, 이야기 형식의 자료 분석 = 327
  1. 첫 번째 사례 : 초등교사의 실습 체험 = 328
  2. 두 번째 사례 : 활력 넘치는 교사의 삶에서 발견한 활력의 특징과 근원 = 337
  3. 세 번째 사례 : 초등학교 여교장의 생애사 = 341
 제19장 주제별 분류와 주요 사례 추출 = 347
  1. 주제목록번호 기록하기와 주요 사례 추출에 의한 표기 = 349
  2. 주제 번호별 파일 만들기 = 350
  3. 각 소주제별 파일에 있는 자료의 유형화 = 352
  4. 주요 사례 추출 = 352
  5. 사건분석 = 353
  6. 수행평가를 위한 약호화 분석 = 355
제5부 실행연구의 과정
 제20장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단계에서의 연구과정 = 363
  1. 프로그램 개발의 일반적 모형 = 363
  2.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 366
 제21장 개선대안의 현장 적용단계에서의 연구과정 = 385
  1. 개선대안 현장 적용과정에서 자료 수집과 분석 = 386
  2. 현장 적용 및 자료 수집 과정에서 유의점 = 412
  3. 현장 적용과정에서 자료 분석 결과의 활용 = 414
제6부 논문 작성
 제22장 논문 작성 = 419
  1. 본문의 구성 및 체제 = 419
  2. 본문 이외의 구성요소 = 456
  3. 질적 작품의 평가준거 = 460
  4. 기타 주의사항 = 461
참고문헌 = 467
부록
 1. APA 양식 안내 = 483
 2. 4개 교육대학원의 논문심사 절차 = 489
 3. 교육대학원 실행연구 논문 목록 = 491
 4. 실행연구 연구계획서 실례 = 493
 5. 교실관찰(프로토콜) 체크목록 실례 = 515
 6. 건국대 실행연구 지도과정 = 529
 7. 실행연구 수행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 = 536
 8. 논문지도과정에 대한 참여관찰일지 = 541
 9. 수행중심 학습활동에 따른 수행평가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이야기 = 555
 10.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에서 소크라틱 세미나의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과정 = 565
 11. 지도교수 면담과정에서 작성한 연구면담일지 = 587
 12. 실행연구 논문 실례 :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연구 = 593
찾아보기 = 62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장상호 (2023)
小原國芳 (2023)
이용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