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추천의 글 = 7
제1부 실행연구를 실시하기 전에 알아야 할 내용들
제1장 실행연구란 무엇인가 = 19
1. 실행연구의 용어와 개념 = 20
2. 실행연구의 다양성과 공통된 특징 = 22
3. 실행연구의 모형과 절차 = 35
4. 실행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 = 39
제2장 교사 연구자와 실행연구 = 45
1. 연구자로서 교사 = 45
2. 연구방법으로서 실행연구 = 48
3. 교사 연구자에 의한 실행연구의 기여 가능성 = 49
4. 실행연구의 관점에서 본 교육현장연구의 개선 방향 = 52
제3장 현지조사에 필요한 열한 가지 연구기술 = 57
1. 개방성 = 59
2. 호기심 = 62
3. 모호함의 수용 = 64
4. 라포르 = 66
5. 성실성과 열의 = 68
6. 의사결정자와의 우호적 관계 = 70
7. 윤리적 민감성 = 73
8. 글쓰기 능력 = 77
9. 자기반성 = 82
10. 인내심 = 85
11. 창의성 = 90
제4장 지도교수의 도움받기 = 97
1. 지도교수와의 상담시간 운영 = 98
2. 지도교수와의 상담시간에 해야 할 일 = 99
3. 지도교수와 의견이 상충될 때 = 101
4. 지도교수 이외에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 = 102
제2부 연구의 시작
제5장 연구 주제 선정과 선행연구 조사 = 105
1. 주제 선정 과정 = 106
2. 선행연구 조사 = 113
제6장 실행연구의 연구 설게 = 123
1. 연구목적에 따른 실행연구 설계 = 123
2. 연구단계별 실행연구 설계 = 135
3. 실행연구 설계 시 고려할 실제 연구현장의 맥락 = 139
제7장 연구계획서 쓰기 = 143
1. 질적 연구에서의 연구계획서 쓰기 = 143
2. 연구계획서 쓰기의 실제 = 149
제3부 질적 자료 수집방법
제8장 참여관찰 = 161
1. 4가지 관찰방식 = 162
2. 참여관찰의 단계 = 165
3. 학교교육 중심의 참여관찰 시 연구지침 = 167
4. 참여관찰 결과의 기록 = 170
제9장 서술적 관찰 = 181
1. 서술적 관찰방법 = 181
2. 서술적 관찰 결과의 기록 = 184
제10장 심층면담 = 193
1. 심층면담의 유형 = 193
2. 심층면담 시 유의사항 = 196
3. 질문의 유형 = 198
4. 심층면담을 위한 면담 가이드의 사례 = 204
5. 심층면담 사례 = 211
제11장 서술형 설문조사 = 217
1. 서술형 설문조사지 구성방법 = 217
2. 시간 사용 분석을 위한 서술형 설문조사지 = 222
제4부 질적 자료 분석방법
제12장 질적 자료의 양적 분석방법 = 227
1. 응답 내용별 빈도분석 = 227
2. 행동분류기준표를 활용한 시간 사용 실태분석 = 233
3. 실제 학습시간 분석 = 238
4. 질적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통계분석 = 250
제13장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 = 255
1. 분류체계분석 = 255
2. 성분분석 = 258
3.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의 사례 = 260
제14장 원인연쇄분석 = 283
1. 원인연쇄도형 = 283
2. 원인연쇄도형을 그릴 때 유의사항 = 287
3. 원인연쇄분석의 사례 = 289
제15장 계획분석과 과정분석 = 293
1. 계획분석 = 293
2. 과정분석 = 295
3. 계획분석과 과정분석의 사례 = 296
제16장 결정표 분석과 흐름도 = 303
1. 결정표 = 303
2. 축약된 결정표 만들기와 흐름도 = 307
3. 결정표와 흐름도 분석의 실례 = 308
제17장 교과서의 내용조직방식과 서술내용 분석 = 319
1. 내용조직의 외적인 측면 분석 = 319
2. 본문 내용 제시방식과 질문방식의 유형화를 토대로 한 서술내용 분석 = 323
제18장 내러티브, 이야기 형식의 자료 분석 = 327
1. 첫 번째 사례 : 초등교사의 실습 체험 = 328
2. 두 번째 사례 : 활력 넘치는 교사의 삶에서 발견한 활력의 특징과 근원 = 337
3. 세 번째 사례 : 초등학교 여교장의 생애사 = 341
제19장 주제별 분류와 주요 사례 추출 = 347
1. 주제목록번호 기록하기와 주요 사례 추출에 의한 표기 = 349
2. 주제 번호별 파일 만들기 = 350
3. 각 소주제별 파일에 있는 자료의 유형화 = 352
4. 주요 사례 추출 = 352
5. 사건분석 = 353
6. 수행평가를 위한 약호화 분석 = 355
제5부 실행연구의 과정
제20장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단계에서의 연구과정 = 363
1. 프로그램 개발의 일반적 모형 = 363
2.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 366
제21장 개선대안의 현장 적용단계에서의 연구과정 = 385
1. 개선대안 현장 적용과정에서 자료 수집과 분석 = 386
2. 현장 적용 및 자료 수집 과정에서 유의점 = 412
3. 현장 적용과정에서 자료 분석 결과의 활용 = 414
제6부 논문 작성
제22장 논문 작성 = 419
1. 본문의 구성 및 체제 = 419
2. 본문 이외의 구성요소 = 456
3. 질적 작품의 평가준거 = 460
4. 기타 주의사항 = 461
참고문헌 = 467
부록
1. APA 양식 안내 = 483
2. 4개 교육대학원의 논문심사 절차 = 489
3. 교육대학원 실행연구 논문 목록 = 491
4. 실행연구 연구계획서 실례 = 493
5. 교실관찰(프로토콜) 체크목록 실례 = 515
6. 건국대 실행연구 지도과정 = 529
7. 실행연구 수행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 = 536
8. 논문지도과정에 대한 참여관찰일지 = 541
9. 수행중심 학습활동에 따른 수행평가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이야기 = 555
10.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에서 소크라틱 세미나의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과정 = 565
11. 지도교수 면담과정에서 작성한 연구면담일지 = 587
12. 실행연구 논문 실례 :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연구 = 593
찾아보기 = 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