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디지털 융합시대 미디어 산업 및 정책 패러다임 전환 종합 연구 : 융합시대의 도래와 방송산업의 미래

디지털 융합시대 미디어 산업 및 정책 패러다임 전환 종합 연구 : 융합시대의 도래와 방송산업의 미래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호영 송민정 , 연구
단체저자명
한국방송광고공사
서명 / 저자사항
디지털 융합시대 미디어 산업 및 정책 패러다임 전환 종합 연구 : 융합시대의 도래와 방송산업의 미래 / 연구책임자: 권호영 ; 공동연구원: 송민정.
발행사항
서울 :   한국방송광고공사 ,   2006.  
형태사항
198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06년 제17권
일반주기
부록: 1. MPS(Multiple Play Service)중심의 경쟁구도.- 2.한국에서 방송 부문의 결합과 방송과 통신 사업자간 인수.- 3. 한국의 인터넷 TV현황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76-177
000 00961namccc200253 4500
001 000045333016
005 20100805093819
007 ta
008 070305s2006 ulka b 000a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10 ▼d 211009
082 0 4 ▼a 659.14 ▼2 22
090 ▼a 659.14 ▼b 2004 ▼c 2006-17
100 1 ▼a 권호영
245 1 0 ▼a 디지털 융합시대 미디어 산업 및 정책 패러다임 전환 종합 연구 : ▼b 융합시대의 도래와 방송산업의 미래 / ▼d 연구책임자: 권호영 ; ▼e 공동연구원: 송민정.
260 ▼a 서울 : ▼b 한국방송광고공사 , ▼c 2006.
300 ▼a 198 p : ▼b 삽도 ; ▼c 24 cm.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2006년 제17권
500 ▼a 부록: 1. MPS(Multiple Play Service)중심의 경쟁구도.- 2.한국에서 방송 부문의 결합과 방송과 통신 사업자간 인수.- 3. 한국의 인터넷 TV현황
504 ▼a 참고문헌: p. 176-177
700 1 ▼a 송민정 , ▼e 연구
710 ▼a 한국방송광고공사
830 0 ▼a 연구보고서(한국방송광고공사) ; ▼v 2006년 제17권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4 2004 2006-17 등록번호 1114047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며
Ⅱ 새로운 비디오 매체의 등장과 통신사업자의 TV부문 진출
  1. TV부문의 디지털화와 유료 매체의 도전 = 18
    1) TV부문의 디지털화 = 18
    2) 지상파 디지털TV의 도전 = 19
    3) 도전에 직면한 유료TV = 20
  2. 새로운 매체의 등장 = 21
    1) IPTV = 21
    2) VOD = 25
    3) PVR과 차세대 셋탑 박스
    4) 미디어 센터와 홈네트워크 = 30
    5) 휴대용 TV = 33
    6) HDTV(고선명 텔레비전) = 34
  3. 통신사업자의 TV부문 진출 = 36
    1) 유선통신과 TV 서비스 = 38
    2) 이동통신과 TV 서비스 = 42
  4. TV산업 구조의 변화 = 43
    1) TV, 통신 및 인터넷의 융합 = 43
    2) 가치사슬 변화에 따른 산업구조 재편 = 46
    3) 수직 결합과 수평적 결합 = 48
Ⅲ 소비행태의 변화
  1. 미디어 소비의 특징 = 51
    1) 새 것이 옛 것을 대체 = 51
    2) 통신 상품의 소비 증가 = 53
    3) TV를 시청하는 방식의 변화 = 57
    4) 인터넷이용의 증가 = 61
    5) 오락매체로써 휴대폰 = 63
    6) 미디어 지출 형태의 변화 = 65
  2. 인터넷의 확산 = 67
    1) 고속 인터넷 가입자의 증가 = 67
    2) 영화와 TV 프로그램의 불법 다운로드 = 68
    3) 불로깅(Blogging) 그리고 Vlogging과 포드캐스팅(Podcasting) = 72
    4) 인터넷 TV의 증가 = 76
  3. 젊은이의 TV이용 방식 = 82
  4. 소비자의 변화와 사업모델 = 87
    1) 시나리오 = 87
    2) 소비자의 변화와 이중성 = 88
    3) 뒤쳐진 사업 모델 = 90
  5. 한국의 미디어 이용 형태의 변화 = 92
    1) 여가 활동의 변화 = 92
    2) TV 시청의 변화 = 95
    3) TV시청 형태의 전망 = 97
Ⅳ TV산업의 수익 구조의 변화
  1. TV산업 수입 구조의 현황과 변화 = 99
    1) TV 네트워크 별 수의 모델 = 99
    2) TV채널과 플랫폼 사업자가 직면한 상황 = 101
    3) TV산업의 수익 구조의 변화(IDATE, 2006) = 102
  2. TV 시청자 분화와 광고주의 전략 = 104
    1) TV광고는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 = 104
    2) 위협받고 있는 TV광고 = 107
    3) 광고주의 선택 = 110
  3. 한국의 TV광고 = 114
    1) 매체별 광고 매출액의 변화 = 114
    2) TV광고의 전망 = 120
  4. TV의 미래 재원 = 122
    1) 현재의 TV 재원 = 122
    2) 미래의 TV 재원 = 125
Ⅴ TV부문 사업자의 대응 전략
  1. TV 부문의 미래와 가치의 변화 = 128
    1) 장기적으로 TV 부문은 붕괴 = 128
    2) TV부문의 가치 변동 = 129
  2. TV부문 사업자 전략 방향 = 130
    1) TV부문 사업자의 마케팅 및 서비스 전략 = 131
    2) TV부문 사업자의 경영 전략 = 145
  3. 한국 TV부문 사업자의 전략 = 156
    1) 지상파 방송사업자 = 157
    2) 채널사용사업자(PP : Program Provider) = 160
    3) 케이블TV SO = 162
    4) 유선통신 사업자의 대응전략 = 165
    5) 이동통신 사업자의 전략 = 167
Ⅵ 나오며
  1. 미래 TV산업 구조와 위협요인 = 170
    1) 미래 TV산업의 구조 = 170
    2) TV산업의 위협 요인 = 170
    3) 소결론 = 171
  2. TV 부문의 영향 = 171
  3. TV 사업자의 기회와 전략 = 172
    1) TV사업자의 기회 = 172
    2) TV 사업자의 전략의 방향 = 173
    3) TV사업자의 전략 = 174
참고문헌
부록
  1. MPS(Multiple Play Service)중심의 경쟁구도 = 178
  2. 한국에서 방송 부문의 결합과 방송과 통신 사업자간 인수·합병 = 186
    1) 대형 MSO와 MSP의 등장 = 186
    2)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 간 인수·합병 = 189
  3. 한국의 인터넷 TV 현황 = 19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