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9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331718 | |
005 | 20101116195946 | |
007 | ta | |
008 | 070223s2006 ulk 001c kor | |
020 | ▼a 8956405182 ▼d 93810 | |
035 | ▼a (KERIS)BIB000010807422 | |
040 | ▼a 241018 ▼d 211009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895.709112 ▼2 22 |
085 | ▼a 897.09112 ▼2 DDCK | |
090 | ▼a 897.09112 ▼b 2006 | |
100 | 1 | ▼a 김유중. ▼0 AUTH(211009)80770 |
245 | 1 0 | ▼a 한국 모더니즘 문학과 그 주변 = ▼x Korean modernist literature & its outskirts / ▼d 김유중 저 |
260 | ▼a 서울 : ▼b 푸른사상, ▼c 2006 | |
300 | ▼a 401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09112 2006 | Accession No. 1114017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09112 2006 | Accession No. 1114017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97.09112 2006 | Accession No. 1512860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09112 2006 | Accession No. 1114017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09112 2006 | Accession No. 1114017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97.09112 2006 | Accession No. 1512860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유중(지은이)
1965년 3월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이후 같은 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현대문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군 복무 중이던 1991년, <현대문학>지의 신인 평론 추천으로 등단하였다. 석사 졸업 후 잠깐 서울 청량고등학교에서 국어과 교사로 근무한 적이 있으며, 육군사관학교와 건양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를 거쳐 모교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와 함께 현재 한중인문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모더니즘 문학에 대한 연구를 하는 동안 양식이나 기법 위주의 논의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깨닫고,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그것의 세계관이나 역사의식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런 시각에서 학위 과정 이수 때부터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독자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당대의 한국적 현실과 작가의 내면의식 형성 과정, 그리고 그것과 연관된 텍스트 이면의 배경 지식과 사상들에 대한 추적과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이런 부분들과 연관된 세부적인 논의들을 진행해왔다. 한편, 최근 십 수 년간은 주로 김기림과 김춘수의 문학 세계에 나타난 의식과 사상 등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였다. 저서로는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세계관과 역사의식>(1996), <김기림>(1996), <김광균>(2000), <한국 모더니즘 문학과 그 주변>(2006), <김수영과 하이데거>(2007) 등이 있으며, 편저서로 <이범선 작품집>(2010), <김광균 시선>(2012), <김기림 시선>(2012), <김기림 평론 선집>(2015), <정태용 평론 선집>(2015) <정비석 수필 선집>(2017) 등과 더불어 경북대 김주현 교수와 공동 편집한 <그리운 그 이름, 이상>(2004)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제 문제 영미 고전주의적 경향의 모더니즘 시와 시론이 한국 현대시에 미친 영향 1. 개념의 이해 = 15 2. 1930년대 한국 시단에서의 영미 모더니즘 시운동의 수용과 그 영향 = 24 3. 전후 한국 시단에서의 영미 모더니즘적 영향과 그 파장 = 39 4. 맺음말 = 49 정지용(鄭芝溶) 시 정신의 본질 1. 문제의 제기 = 54 2. 전통 의식과 그 기반, 문학적 발현 양상 = 57 3. 모더니즘과 동양 고전 전통과의 상관 관계 = 70 4. 결론 : 정지용 문학의 본질과 목표점에 대하여 = 77 이상(李箱) 시에 나타난 유희적 요소 1. 난해성 시비의 근본 원인 = 81 2. 텍스트 해석의 세 가지 유형 : 유희적 측면과 관련하여 = 82 3. 유희를 바라보는 시각 = 94 이상 시를 바라보는 한 시각 1. 서론 : 문제의 제기 = 96 2. 논의의 방향 설정 = 97 3. 금기와 위반에 대한 일반적 이해 = 101 4. 이상 시에 나타난 금기와 위반의 상관 관계 = 105 5. 결론 : 위반의 미학, 에로티즘에로 나아가는 길 = 121 〈대화〉적 관점에서 본 이상 문학의 모더니티 1. 서론 : 논의의 시발점 = 125 2. 모더니티와 타자의 문제 = 127 3. 대화적 관점에서 본 이상 문학의 모더니티 = 136 4. 이상 문학이 남긴 과제 = 159 「조감도(烏瞰圖)-이인(二人)ㆍ1 / 2」의 해석 1. 서론 : 해석에 앞서 = 167 2. 기존 해석의 검토 = 169 3. 텍스트 해석의 실제 : 근대 기독교 문명의 왜곡상에 대한 고발 = 173 4. 결론 : 「조감도-이인」이 놓인 자리 = 187 제2부 모더니즘 문학과 전후 문학의 비평론 T. E. Hulme의 예술 철학 1. 휴머니즘 비판과 불연속적 세계관 = 195 2. 생명적 예술과 기하학적 예술 = 200 3. 낭만주의와 고전주의 = 204 4. 흄의 시론 : 베르그송 철학의 이해와 관련하여 = 208 모더니즘 문학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1. 들어가며 : 〈모더니즘〉이라는 시비거리 = 212 2. 최근의 모더니즘 논의 경향에 대한 개략적인 고찰 = 215 3. 모더니즘 논의에 따른 유의 사항 : 진전된 논의를 위해 고려하여야 할 요소들 = 223 4. 나오며 : 앞으로의 모더니즘 논의를 위한 간략한 제언 = 232 순수와 참여 논쟁 1. 서론 = 234 2. 논쟁의 시대적 배경 = 235 3. 논쟁의 전개 양상 = 239 4. 결론 = 253 송욱(宋稶)의 시론 1. 송욱 시론의 출발점에 대하여 = 256 2. 사상적 공백기의 시적 대응 방식 = 260 3. 형태적 실험과 모색 = 268 4. 가능성과 한계 : 송욱 시론 비판 = 272 정태용(鄭泰榕)의 비평 1. 머리말 = 276 2. 비평의 기본 관점과 태도 = 278 3. 실제 비평 활동 = 281 4. 체계화된 비평 작업의 일례 : 「현대 시인 연구」 = 288 5. 맺음말 = 291 장일우(張一宇) 문학 비평 연구 1. 서론 : 장일우를 찾아서 = 293 2. 1960년대 참여 문학론의 전개와 『한양』지의 위상 = 295 3. 장일우 문학 비평의 전개 양상과 그 특성 = 300 4. 결론 및 제언 = 321 제3부 한국 문학의 내면 분석, 기타 윤동주(尹東柱) 시의 갈등 양상과 내면 의식 1. 문제의 제기 = 327 2. 자아 분열의 위기 의식과 그 상황적 요인 = 329 3. 자아의 재구성과 형식적 자아의 역할 = 346 4. 결론 = 358 「화사」의 정신분석적 연구 1. 문제의 제기 = 361 2. 논의 상의 유의점 = 363 3. 작품의 실제 분석 = 365 4. 결론 = 375 번역가의 임무 1. 마주침, 그리고 당혹스러움 - 하나의 삽화로서 = 377 2. 화폐의 기원에 대하여 = 378 3. 공동체들 〈사이〉의 이질성과 중개상의 역할 = 379 4. 타자의 발견 : 공동체에서 사회에로 = 382 5. 심연의 발견 : 혁명 기술로서의 번역 = 384 6. 상인, 이방인, 혁명가 : 번역가의 기본 자세 = 387 7. 진정한 혁명가의 길 = 391 찾아보기 =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