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393namccc200409 k 4500 | |
001 | 000045331559 | |
005 | 20100805092149 | |
007 | ta | |
008 | 070226s2007 ulka b 000a kor | |
020 | ▼a 8984996866: ▼c \17000 | |
024 | 3 1 | ▼a 9788984996861 ▼d 93300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50 | 1 4 | ▼a HF5822 ▼b .O842 2007 |
082 | 0 4 | ▼a 659.101/9 ▼2 22 |
090 | ▼a 659.1019 ▼b 2007 | |
100 | 1 | ▼a O'Shaughnessy, John ▼0 AUTH(211009)60864 |
245 | 1 0 | ▼a 광고와 설득커뮤니케이션 : ▼b 광고는 어떻게 소비자를 설득하는가 / ▼d 존 오셔네시, ▼e 니콜라스 잭슨 오셔네시 지음 ; ▼e 남인용, ▼e 김미애 옮김. |
246 | 1 9 | ▼a Persuasion in advertising |
250 | ▼a 초판. |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07. | |
300 | ▼a x, 291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북스 ; ▼v 974 |
504 | ▼a 참고문헌: p. 274-290 | |
650 | 0 | ▼a Advertising ▼x Psychological aspects. |
650 | 0 | ▼a Persuasion (Psychology) |
700 | 1 | ▼a O'Shaughnessy, Nicholas J. , ▼d 1954- ▼0 AUTH(211009)133083 |
700 | 1 | ▼a 남인용 , ▼e 역 ▼0 AUTH(211009)128661 |
700 | 1 | ▼a 김미애 , ▼e 역 ▼0 AUTH(211009)79575 |
900 | 1 1 | ▼a 오셔네시, 존 |
900 | 1 1 | ▼a 오셔네시, 니콜라스 잭슨 , ▼d 1954- |
900 | 1 1 | ▼a Nam, In-yong , ▼e yok |
900 | 1 1 | ▼a Kim, Mi-ae , ▼e yok |
940 | ▼a Kwanggo wa soltuk k`omyunik`eisyon : kwanggo nun ottok`e sobija rul soltuk hanun'ga | |
945 | ▼a KINS | |
949 | ▼a K`omyunik`eisyon Buksu (Series) ; ▼v 974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019 2007 | 등록번호 11140177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019 2007 | 등록번호 1114017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광고에서 활용되는 소비자에 대한 설득 방법과 광고주가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들을 제시한다. BMW, 맥도날드, 오메가 등의 광고사례와 설득의 장애요인, 이성적·감성적 설득, 긍정적 강화기법 및 설득에 대한 인지적 접근방법 등 광고 설득커뮤니케이션에서 꼭 알아야 할 이론을 정리했다.
모두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설득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한다. 지은이들은 광고와 설득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근본원리를 담은 설득규칙을 제시하고, 설득이론에 해석을 덧붙임으로써 광고효과의 발생과정을 설명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존 오셔네시(지은이)
콜롬비아 대학의 경영학 명예교수이며, 케임브리지 대학 경영평가연구소의 선임부소장이다.
니콜라스 잭슨 오셔네시(지은이)
런던 대학교 경영학부 마케팅 전공 교수이다. 현재 ‘예술, 제조 및 상업의 장려를 위한 왕립학회(RSA)’의 펠로이며, ≪정치 마케팅 저널(Journal of Political Marketing)≫의 선임편집인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마케팅 분야에서 7권 이상의 저서와 여러 편의 논문을 냈다. 후기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주의의 특징적인 표현형인 마케팅을 통해 현대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국내에 번역된 책으로 <광고와 설득 커뮤니케이션: 광고는 어떻게 소비자를 설득하는가?>가 있다.
김미애(옮긴이)
중앙대학교에서 광고홍보전공 박사학위를 받고, 2007년 현재 고신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조교수로 재직중이다. 옮긴 책으로 <노인소비자 마케팅>(공역)이 있다.
남인용(옮긴이)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정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를 마치고, 신라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 재직했다. 한국광고학회 연구이사, 한국광고홍보학회 편집·총무·연구이사, 한국PR학회·한국OOH학회 기획이사, 한국마케팅커뮤니케이션학회 부회장·연구편집이사, 한국경영학회·한국소비문화학회 이사,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편집이사, ≪한국언론정보학보≫·≪한국광고홍보학보≫·≪홍보학연구≫·≪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언론학연구≫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소통학회 연구이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기획이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유명인 광고 효과 연구, 도시 브랜드 홍보 효과 연구, 정치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다. 공저로 『글로벌 시대의 광고와 사회』(2002),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2004), 『영상의 이해』(2009), Branding Asian Cities: Strategy and Practice(2012)가 있고, 공역으로 『IMC의 실행과 측정』(2004), 『광고와 설득 커뮤니케이션』(2007), 『인터널 마케팅』(2007)이 있다. 두산동아와 비상교육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광고와 설득에 관한 글을 실었으며, ≪국제신문≫ 시론, ≪나라경제≫ 문화칼럼, ≪서울신문≫ 옴부즈맨 칼럼, ≪월간중앙≫ 광고이야기, ≪경향신문≫ 대중문화부 블로그 광고키워드를 연재했다. 채널A 시청자평가원과 ≪부경대신문≫ 논설위원이며, 부산문화회관 ≪예술에의 초대≫에 방송리뷰를 연재한다.

목차
목차 추천사 = ⅴ 서문 = ⅵ 감사의 글 = ⅹ 1 무엇이 설득을 용이하게 하고 또 방해하는가? 서론 = 1 설득과 영향력 = 8 설득을 촉진하고 방해하는 요인들 = 11 사회과학에서 필연성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 30 2 설득에서 이성, 상징주의와 감성 이성적 설득과 감성적 설득 = 36 설득에서 감성의 중요성이 커진다 = 39 모든 광고는 설득적 뒤틀림이 있다 = 43 정의 = 51 이성과 감성이 모두 필요하다 = 53 커뮤니케이션, 상징주의와 의미 = 54 시각과 설득으로의 귀환 = 63 설득에 대한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 = 67 3 설득력 있는 광고소구 1 연합, 상징,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택 = 79 사회적 규범, 가치와 표적 수용자에게 = 89 의미 있는 이미지와의 연합 = 89 타인과의 결속감에 대한 연합 = 112 사회적 지위, 명성과의 연합 = 116 4 설득력 있는 광고소구 2 전환이론 = 127 긍정적 혹은 부정적 강화와의 연합(행동주의/조건형성) = 136 결론 = 156 5 설득력 있는 광고소구 3:인지적 접근 인지 심리학 = 166 6. 설득력 있는 광고소구 4 정신분석학적 접근 = 230 잘트만의 은유추출기법(ZMET):동기조사의 최신판 = 238 적응 무의식과 설득 = 242 자유로운 의지란 존재하는가? = 243 의식의 중요성 = 268 주석 = 274 역자 후기 =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