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콧구멍 없는 소 : 최명길 시집

콧구멍 없는 소 : 최명길 시집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명길 崔明吉 , 1940-
서명 / 저자사항
콧구멍 없는 소 : 최명길 시집 / 지은이: 최명길.
발행사항
서울 :   시학 ,   2006.  
형태사항
141 p. ; 22 cm.
총서사항
한국의 서정시 ; 038
ISBN
8991914160
000 00656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331250
005 20100805091736
007 ta
008 070124s2006 ulk 000cp kor
020 ▼a 8991914160
024 3 1 ▼a 9788991914162 ▼d 03810
035 ▼a (KERIS)BIB000010785752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895.714 ▼2 22
085 ▼a 897.16 ▼2 DDCK
090 ▼a 897.16 ▼b 최명길 콧
100 1 ▼a 최명길 ▼g 崔明吉 , ▼d 1940-
245 1 0 ▼a 콧구멍 없는 소 : ▼b 최명길 시집 / ▼d 지은이: 최명길.
260 ▼a 서울 : ▼b 시학 , ▼c 2006.
300 ▼a 141 p. ; ▼c 22 cm.
440 0 0 ▼a 한국의 서정시 ; ▼v 038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97.16 최명길 콧 등록번호 1211407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97.16 최명길 콧 등록번호 1211407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6 최명길 콧 등록번호 1512306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97.16 최명길 콧 등록번호 1211407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97.16 최명길 콧 등록번호 1211407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6 최명길 콧 등록번호 1512306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최명길(지은이)

1940년 강릉에서 출생해 강릉의 물을 먹고 자랐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1975년 『현대문학』에 시 「해역에 서서」 「자연서경」 「은유의 숲」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시집으로 『화접사』 『풀피리 하나만으로』 『반만 울리는 피리』 『은자, 물을 건너다』 『콧구멍 없는 소』 『하늘 불탱』이 있고, 109편의 명상시집 『바람 속의 작은 집』과 디지털영상시선집 『투구 모과』를 펴냈다. 만해 ‘님’ 시인상, 한국예술상, 강원도문화상(문학 부문),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산이 좋아 2002년 40일간 백두대간을 종주하고, 2003년 아프리카 킬리만자로산을, 2005년 히말라야 안나푸르나를 포행했다. 그 후 『산시 백두대간』을 10여 년 동안 어루만지며 속초에 우거해 살며 시의 탑을 쌓았다. 최명길 시인은 은자적이고 구도자적인 자세로 자연과 교감하며 극대·극미묘의 오묘한 자연의 세계를 통해 깨달음의 씨앗을 얻고자 하였다. 그 씨앗을 시의 그릇에 담아 맑게 틔워 가꾸기 위해 한생을 바쳐 고뇌하며 정진하였다. 2014년 5월 4일 향년 75세에 병환으로 별세하였다. 2016년 5월 7일 속초시 영랑호반에 최명길 시인의 시정신을 기리는 시비가 건립되었다. 유고시집으로 『산시 백두대간』 『잎사귀 오도송』 『히말라야 뿔무소』 『나무 아래 시인』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시인의 말
시인과의 만남 / 박호영
1
 빈 길 = 13
 동해와 물 한 방울 = 14
 물총새 = 15
 산낚시 = 16
 방뇨 = 17
 물장난과 과일바구니 = 18
 그럭저럭 = 20
 나무 여인숙 = 21
 놓아 버린 새 = 23
 작은 그릇 = 24
 붉은 달 = 25
 구절초 향기 = 26
 물 아래 산 = 27
 사내 = 28
 걸어서 우주 속으로 = 29
 향기의 노래 = 30
 산을 손질하는 이 = 31
 얼음꽃 = 32
 닳아 꾀죄죄한 초록 만년필 = 33
 사랑의 올무에 대한 명상 = 34
 칼산 = 35
 노을 잎새 = 36
 은산철벽 = 37
2
 멀미 = 41
 저어새 발자국 = 42
 산에서 내려온 소 = 44
 손과 손 사이 = 45
 어치의 사랑놀이 = 46
 빛으로 오는 사람 = 47
 밥알 = 48
 신선봉 노을 = 49
 홀로 아름다운 = 51
 히말라야 밤별 지는 곳까지 = 52
 신단풍나무에 대한 명상 = 53
 물방울산의 은자 = 54
 먹물 고요 = 55
 히말라야 조선 개피떡 = 57
 폐가 = 58
 물항아리 = 59
 앞산 = 60
 달마봉 북 = 61
 두 개의 나 = 62
 민둥산의 노래 = 64
3
 메싹꽃 = 69
 대청봉의 봄 = 70
 겨울 파도 = 71
 물 속 진달래꽃 = 72
 여승 = 73
 하늘 목욕탕 = 74
 설악산 생강나무꽃 = 75
 아름다운 반란 = 76
 겨울 낙산사 소식 = 77
 성에꽃 = 79
 손톱 생각 = 81
 수선화 = 82
 동해바다 물고기 = 83
 딸애 시집 보내고 = 85
 바보 스승 = 86
 봄 진동 = 88
 기러기란 = 90
 쇠당랑이 우화 = 91
 놀라운 힘 = 92
 설악산 철쭉 필 때 = 94
 아버지와 인도 = 95
 새벽에 눈뜨다 = 96
 기쁨의 허공바다 = 97
 쓰르라미 악기 = 99
 내가 자주 산에 드는 까닭 = 100
 새댁 = 102
 한 떨기 꽃불춤 = 103
 3월 물개암나무 = 104
 연둣빛 술 = 105
4
 자그만 몸짓으로 = 109
 가을 나귀 = 110
 청아한 빛 = 111
 서쪽 섬돌에 서 있었다 = 112
 산양의 뿔 = 113
 쓰르라미 선(禪) = 114
 용추폭포 일두어 = 116
 그런 아주 오랜 나무 = 117
 대청봉 초생달 = 118
 마음돛배를 타고 = 119
 미소 = 120
 콧구멍 없는 소 = 122
 하늘 장례 = 123
 연잎 동해 = 124
 이슬 존자 = 12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