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문헌연구)포스트모더니즘과 법

(문헌연구)포스트모더니즘과 법 (5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상돈 李相暾 이소영 민윤영 정채연
서명 / 저자사항
(문헌연구)포스트모더니즘과 법 / 이상돈 [外]著.
발행사항
서울 :   세창출판사 ,   2006.  
형태사항
ix, 220 p. ; 23 cm.
ISBN
8984111589
일반주기
색인수록  
공저자: 이소영, 민윤영, 정채연  
000 00765camccc200289 k 4500
001 000045330711
005 20100805090842
007 ta
008 061211s2006 ulk 001c kor
020 ▼a 8984111589
024 3 1 ▼a 9788984111585 ▼d 93360
035 ▼a (KERIS)BIB000010764587
040 ▼a 211046 ▼d 211046 ▼d 211009
082 0 4 ▼a 340.1 ▼2 22
090 ▼a 340.1 ▼b 2006e
245 2 0 ▼a (문헌연구)포스트모더니즘과 법 / ▼d 이상돈 [外]著.
246 1 1 ▼a Postmodernism and law
260 ▼a 서울 : ▼b 세창출판사 , ▼c 2006.
300 ▼a ix, 220 p. ; ▼c 23 cm.
500 ▼a 색인수록
500 ▼a 공저자: 이소영, 민윤영, 정채연
700 1 ▼a 이상돈 ▼g 李相暾 ▼0 AUTH(211009)90507
700 1 ▼a 이소영 ▼0 AUTH(211009)125589
700 1 ▼a 민윤영 ▼0 AUTH(211009)87293
700 1 ▼a 정채연 ▼0 AUTH(211009)136558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6e 등록번호 1114000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6e 등록번호 1114000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40.1 2006e 등록번호 1512279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6e 등록번호 1114000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6e 등록번호 1114000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40.1 2006e 등록번호 1512279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상돈(지은이)

서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대학원 졸업(Dr.jur.)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정교수(現) 한국법철학회 회장(역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국선변호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법원행정처 소송규칙 자문특별위원회 위원(역임) 검찰제도개혁위원회 위원(역임) 법무부 인권옹호자문단 위원장(역임)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원장(역임) ≪저서목록≫ ■ 형사법 분야 1.<Wortlautgrenze, Intersubjektivitat und Kontexteinbett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Bd.35, Ffm., 1992 2.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형사소송법 사안풀이와 법치국가>, 태진사, 1995 4. <형사소송법>(2인 공저), 홍문사, 1996 5. <사례연습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1 6. <형사소송원론>, 법문사, 1998 7. <형법정책>(2인 편역), 세창출판사, 1998 8. <형사소송법연습>, 법문사, 1999 9. <형법학>, 법문사, 1999 10. <정치와 형법>(2인 공역), 세창출판사, 2005 11.<신형사소송법>(4인 공저), 홍문사, 2011 12. <형법강의>, 법문사, 2010 13. <예술형법>, 박영사, 2014 14. <형법강론>, 박영사, 2015 ■ 의료법 분야 15. <의료형법>, 법문사, 1998 16. <의료체계와 법>, 고대출판부, 2000 17.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법문사, 2002 18. <수가계약제의 이론과 현실>, 세창출판사, 2009 19. <의료법강의>(2인 공저), 법문사, 2009 20.<의약품공급계약과 사적 자치>, 세창출판사, 2014 21. <원내조제분업의 법리>, 세창출판사, 2015 ■ 경영법 분야 22. <윤리경영과 형법>, 신영사, 2005 23. <부실감사판례연구>, 법문사, 2006 24. <부실감사법>, 법문사, 2007 25. <기업윤리와 법>(3인 공저), 법문사, 2008 26. <조세형법론>, 법문사, 2009 27. <공정거래형법>, 법문사, 2010 28. <증권형법>, 법문사, 2011 29. <경영과 형법>, 법문사, 2011 30. <경영판단원칙과 형법>, 박영사, 2015 31. <기업경영형법>, 박영사, 2022 ■ 기초법 분야 32. <법이론>, 박영사, 1996 33. <법학입문>, 박영사, 1997 34. <법률해석의 한계>(5인 공저), 법문사, 2000 35. <법사회학>(2인 공저), 박영사, 2000 36. <대화이론과 법>(편역), 법문사, 2002 37. <법철학>, 법문사, 2003 38. <생명공학과 법>, 아카넷, 2003 39. <욕망은 행복을 낯설게 한다>, 연극과 인간, 2003 40. <헌법재판과 형법정책>, 고려대출판부, 2005 41. <새로 쓴 법이론>, 세창출판사, 2005 42. <법학입문>, 박영사, 1997 43.<법문학>(2인 공저), 신영사, 2005 44.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45. <문헌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법>(4인 공저), 세창출판사, 2006 46. <공익소송론>, 세창출판사, 2006 47. <시민운동론>, 세창출판사, 2007 48. <기초법학>, 법문사, 2008 49. <법미학>, 법문사, 2008 50. <법정신분석학입문>(2인 공저), 법문사, 2010 51. <법의 춤>, 법문사, 2012 52. <미술비평과 법>, 법문사, 2013 53.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54. <법의 예술>, 법문사, 202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부 포스트모던 법학의 철학적 지평
 첫째마루 : 새로운 법 개념에 관한 세 가지 은유 : 접경, 바로크, 남쪽 / 보아벤투라 데 소사 산토스(Boaventura de Sousa Santos) = 3
  비평: 포스트모던의 상징적 개념표지 = 11
 둘째마루 : 토포스 속에서 자아를 찾고 자아를 잃다 / 로즈마리 쿰(Rosemary Coombe) = 14
  비평: 상징적 개념표지에의 반론 = 21
 셋째마루 : 통치성과 규율 사이에서 : 법과 미셸 푸코 / 빅터 태드로스(Victor Tadros) = 24
  비평: 푸코의 권력이론과 법 = 30
 넷째마루 : 확실성의 매듭이 끌러지다 : 법인류학의 격동 50년 / 샐리 무어(Sally Moore) = 33
  비평: 법에서의 불확정성 - 법인류학적 연구 = 40
 다섯째마루 : 화자의 관점 / 아서 프랭크(Arthur Frank) = 42
  비평: 내러티브와 사법의 진실발견 = 51
 여섯째마루 : 법, 경계, 경계 안에 갇힌 자아 / 제니퍼 네델스키(Jennifer Nedelsky) = 54
  비평: 경계 안에 갇힌 자아에서 관계적인 자아로 = 64
 일곱째마루 : 고통, 기억 그리고 자유주의적 법적 주체의 형성 : 니체와 형법 / 마리아나 발버드(Mariana Valverde) = 67
  비평: 니체의 계보학과 근대적 개인 = 77
2부 포스트모던 법학의 정치적 지평
 첫째마루 : 급진적 민주주의 : 모던한가 포스트모던한가? / 샹탈 무페(Chantal Mouffe) = 81
  비평: 포스트 '민주주의' = 87
 둘째마루 : 은유와 사회적 적대 / 어네스토 라클라우(Ernesto Laclau) = 90
  비평: 새로운 사회운동과 차이의 접합 = 97
 셋째마루 : 하위주체는 말할 수 있는가? / 가야트리 스피박(Gayatry Spivak) = 99
  비평: 제3세계와 하위주체 = 106
 넷째마루 : 인류학, 법 그리고 초국가적 작용 / 샐리 메리(Sally Merry) = 108
  비평: 초국가적 법체계와 법인류학의 역할 = 115
 다섯째마루 : 법다원주의의 비본질주의적 버전 / 브라이언 타마나하(Brian Tamanaha) = 117
  비평: 법다원주의의 실천성 = 125
 여섯째마루 : 포스트모더니즘 : 법이론, 법학교육과 그 미래 / 팀 머피(Tim Murphy) = 128
  비평: 법학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 = 134
3부 포스트모던 법학의 미학적 지평
 첫째마루 : 정신분석학으로서 법 / 코스타스 두지나스(Costas Douzinas) = 139
  비평: 욕망이론과 법에서의 '정의' = 147
 둘째마루 : 작가적 지도그리기 : 그리 용감하지 않은 신세계에서 소유권의 경계를 그리다 / 로즈마리 쿰(Rosemary Coombe) = 149
  비평: 근대적 저작권을 넘어서 = 156
 셋째마루 : 법은 왜 '꺼림칙한 보충물'을 필요로 하는가? / 슬라보예 지젝(Slavoj Zizek) = 159
  비평: 순응함으로써 전복하라! - 지젝의 법 이해 = 166
 넷째마루 : 문학텍스트, 영화텍스트 그리고 법정텍스트 / 드라간 밀로바노빅(Dragan Milovanovic) = 169
  비평: 비판범죄학과 법문학 = 177
 다섯째마루 : 안티고네의 법 : 법의 계보학 / 코스타스 두지나스(Costas Douzinas) = 179
  비평: 신화를 통해 본 법의 딜레마 = 188
 여섯째마루 : 아이러니로서의 정의 : 어떤 퀴어한 윤리적 실험 / 마리아나 발버드(Mariana Valverde) = 191
  비평: 정의는 아이러니다 = 198
 일곱째마루 : 피에르 르장드르와 비평의 가능성 : 신화, 법 그리고 셸리의 '해방된 프로메테우스' / 애덤 기어리(Adam Gearey) = 201
  비평: 신화와 법, 그리고 문학비평 = 208
찾아보기 = 21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