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교육사
제1장 고대와 중세사회의 교육 = 13
1. 교육의 기원 = 14
1) 원시사회의 삶과 교육 = 14
2) 성년식 : 조직적인 교육의 등장 = 16
3) 단군신화와 교육이념 = 18
4) 고조선의 규범 = 21
2. 교육제도의 형성 = 22
1) 고대국가의 문화 = 22
2) 고구려의 교육 = 25
3) 백제의 교육 = 28
4) 신라의 교육 = 29
3. 고려사회의 교육 = 39
1) 고려의 국가정책 = 39
2) 고려의 교육제도 = 40
3) 과거제도와 교육 = 51
정리 = 58
제2장 조선사회의 교육 = 61
1.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62
1) 조선사회의 성격 = 62
2) 교육제도 = 63
3) 과거제도와 교육 = 81
2. 성리학의 발달과 교육 = 85
1) 이황의 교육사상 = 88
2) 이이의 교육사상 = 90
3. 실학사상과 교육 = 92
1) 유형원의 교육사상 = 95
2) 이익의 교육사상 = 97
3) 정약용의 교육사상 = 99
정리 = 102
제3장 근대와 현대사회의 교육 = 105
1. 근대교육의 성립과 왜곡 = 106
1) 근대교육의 성립 = 106
2) 근대교육의 왜곡 = 112
2. 외래사상의 수용과 교육 = 118
1) 개화사상과 교육 = 118
2) 남궁억의 교육사상 = 122
3) 이승훈의 교육사상 = 124
4) 안창호의 교육사상 = 125
3. 민주적 교육제도의 형성과 발전 = 127
1) 미군정기의 교육 = 127
2) 정부수립과 한국전쟁 후의 교육 = 133
3) 1960년대 이후의 교육 = 136
4. 북한의 교육 = 143
1) 북한 교육의 배경 = 143
2) 교육제도의 변천 = 147
3) 북한 교육의 현실 = 150
정리 = 152
제2부 서양교육사
제4장 고대와 중세사회의 교육 = 157
1. 고대 그리스의 교육 = 158
1) 고대 그리스의 문화 = 158
2) 스파르타의 교육 = 160
3) 아테네의 교육 = 162
4) 고대 그리스의 교육사상 = 165
2. 고대 로마의 교육 = 175
1) 고대 로마 교육의 실제 = 175
2) 고대 로마의 교육사상 = 178
3. 중세의 교육 = 182
1) 중세의 문화 = 182
2) 기독교 교육 = 184
3) 세속 교육 = 188
정리 = 194
제5장 근대의 교육 = 197
1. 문예부흥과 교육 = 198
1) 문예부흥 운동의 전개 = 198
2) 인문주의 교육 = 200
3)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 = 203
2. 종교개혁과 교육 = 205
1) 종교개혁 운동의 전개 = 205
2) 종교개혁기의 교육 = 207
3) 루터의 교육사상 = 209
4) 구교의 교육 = 210
3. 실학주의와 교육 = 212
1) 실학주의의 발달 = 212
2) 실학주의 교육사상 = 214
4. 계몽주의와 교육 = 219
1) 계몽주의의 특징 = 219
2) 루소의 교육사상 = 221
3) 17~18세기 교육의 실제 = 224
정리 = 227
제6장 19~2O세기의 교육 = 229
1. 19~20세기의 사회와 문화 = 230
2. 신인문주의와 교육 = 231
1) 신인문주의의 특징 = 231
2)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 233
3)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 = 238
4) 프뢰벨의 교육사상 = 242
3. 국가주의 교육과 공교육 제도 = 246
1) 국가주의 교육관 = 246
2) 피히테의 교육사상 = 247
3) 공교육 제도의 성립 = 248
4. 산업혁명과 빈민교육 = 252
1) 빈민교육운동 = 253
2) 오웬의 교육사상 = 255
5. 교육의 민주화 = 256
6. 교육연구의 과학화 = 258
정리 = 260
제3부 교육철학
제7장 교육과 사상 = 265
1. 전통사상과 교육 = 266
1) 관념론과 교육 = 267
2) 실재론과 교육 = 269
3) 프래그머티즘과 교육 = 271
2. 현대사상과 교육 = 274
1) 20세기 미국의 교육사상들 = 274
2) 현대사상들과 교육에 미친 영향 = 285
정리 = 302
제8장 교육과 가치 = 305
1. 교육의 가치지향성 = 306
2. 가치설과 교육 = 309
1) 절대적 윤리설 = 310
2) 상대적 윤리설 = 312
3. 교육의 목적 = 314
1) 교육에서 목적의 기능 = 314
2)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 315
3) 개인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 = 318
4. 교육의 가치에 대한 정당화 = 320
1) 도구적 정당화 = 321
2) 내재적 정당화 = 323
정리 = 326
제9장 교육과 윤리 = 329
1. 평등과 교육 = 330
1) 평등의 개념 = 330
2) 교육에서의 평등 = 332
2. 자유와 교육 = 334
1) 자유의 개념 = 334
2) 교육에서의 자유 = 335
3. 권위와 교육 = 339
1) 권위의 개념 = 339
2) 교사의 권위 = 341
4. 벌과 교육 = 343
1) 벌의 개념 = 343
2) 벌의 정당화 = 344
정리 = 347
제10장 교육과 지식 = 351
1. 지식의 성격 = 352
1) 지식의 종류 = 352
2) 명제적 지식의 조건 = 354
2. 지식과 교육과정 = 357
1) 공리주의적 교육과정 = 357
2)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 358
3) 아동중심적 교육과정 = 360
3. 지식교육과 교화의 문제 = 361
1) 지식교육의 방법 = 361
2) 교화의 문제 = 363
정리 =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