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연구의 기초
제1절 교육연구의 목적과 특징 = 13
1. 교육연구의 목적과 목표 = 13
2. 교육연구의 특징(요건) = 17
제2절 교육연구의 기본 개념 = 22
1. 변인과 요인 = 22
2. 변인의 조작적 정의 = 26
3. 측정 = 28
4. 가설(假設)과 유의도(有意度) = 31
5. 유의도 = 37
6. 표집ㆍ표본ㆍ표본오차 = 39
제3절 교육연구의 유형 = 44
1.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 44
2. 기술적 연구 對 실험적 연구 = 45
3. 양적 연구 對 질적 연구 = 55
4. 상관적 연구 對 인관-비교적 연구 = 56
5. 종단적 연구 對 횡단적 연구 = 57
제2장 교육연구 활동의 절차
제1절 교육연구 활동의 절차 개요 = 63
1. 연구주제와 문제의 발견 및 진술 = 64
2. 연구의 설계 = 64
3. 관련문헌의 검토 = 64
4. 측정도구의 개발 혹은 선정 = 64
5. 자료수집 및 통계적 분석 = 65
6. 자료 분석 결과 정리와 해석 = 65
7. 논의 및 결론 도출 = 65
8. 연구보고서 또는 논문 작성 = 66
제2절 연구의 세부 단계별 내용 = 66
1. 연구주제 및 문제의 발견과 진술 = 66
2. 연구의 설계 = 74
3. 관련문헌의 검토 = 78
4. 측정도구의 개발 혹은 선정 = 81
5. 자료수집 및 통계적 분석 = 83
6. 자료분석 결과 정리와 해석 = 92
7. 논의 및 결론 도출 = 95
8. 연구보고서 또는 논문 작성 = 96
제3장 연구계획서의 작성과 논문의 체제 및 기술 방법
제1절 연구계획서 작성 방법 = 101
1. 연구계획서 작성의 필요성 = 101
2. 연구계획서 작성(고안)의 단계 = 104
3. 연구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기술 방법 = 108
4. 공개발표를 위한 연구계획서의 체제와 작성 방법 = 120
5. 연구계획서의 평가 기준 = 121
6. 연구계획서의 예시 = 123
제2절 학위논문의 체제와 작성 방법 = 123
1. 일반적인 체제 = 123
2. 체제별 작성 방법 = 124
제3절 교육현장 연구논문의 체제와 작성 방법 = 139
1. 실험연구의 체제와 작성 방법 = 140
2. 조사연구의 체제와 작성 방법 = 143
제4장 연구도구 및 자료수집론
제1절 연구를 위한 도구들 = 147
1. 관찰법(일화기록법, 행동목록법, 평정척도법) = 147
2. 질문지 = 156
3. 면접법 = 169
4. 사례연구법 = 170
5. 검사법 = 173
6. 의미변별법 = 173
7. 내용분석법 = 176
8. Q분류법 = 178
제2절 연구를 위한 도구의 개발, 혹은 선정 = 184
1. 새로운 측정도구의 개발 절차 = 185
2. 기존 측정도구 선정 방법 = 189
제3절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의 조건 = 190
1. 타당도 = 192
2. 신뢰도 = 200
3. 객관도 = 206
4. 실용도 = 207
제4절 연구대상의 선정 방법 = 208
1. 확률적 표집 = 208
2. 비확률적 표집 = 212
3. 무선할당 = 214
4. 표본의 크기 = 214
5. 표집설계 = 215
제5장 실험설계론
제1절 기본적인 개념들 = 223
1. 측정오차(測定誤差) = 223
2. 통제(統制) = 224
3. 무선화(無選化) = 226
4. 혼재(混在) = 226
5. 결과의 일반화(結果의 一般化) = 227
제2절 연구설계의 기본 논리 = 228
1. 실험적 연구 = 230
2. 비실험적 연구 = 232
3.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에 관련된 문제 = 234
4. 설계 기호화 = 241
제3절 중다집단 설계 = 251
1. 두 집단 설계 = 251
2. 중다집단 사후검사 설계 = 255
3. 중다집단 사전검사-사후검사 설계 = 257
4. 사후 설계 = 260
5. 중다집단 시계별 설계 = 261
제4절 요인 설계 = 263
1. 2 X 2 요인설계 = 263
2. Solomon 4집단 설계 = 269
3. M X N 요인설계 = 270
4. 3차원 상호작용 요인설계 = 273
5. 위계적 설계 = 276
6. 부수적 변인을 지닌 설계 = 279
7. 중다변인 설계 = 281
제6장 자료의 통계적 분석과 해석방법
제1절 통계적 개념과 원리 = 287
1. 통계란 무엇이며, 왜 통계를 공부하는가? = 287
2. 통계학의 내용 = 288
3. 통계적 추리 = 289
제2절 자료의 통계적 분석방법 = 292
1. 통계적 분석내용과 자료의 정리 = 292
2. 통계적 분석의 실제 = 296
제7장 논문과 연구보고서 작성 방법
제1절 논문의 글쓰기 방법 = 351
1. 쉬운 용어와 문장 = 351
2. 간결, 효과적인 문장 = 352
3. 문단(文段)의 구성 = 352
4. 정확한 문장 표현 = 353
5. 문어체의 사용 = 353
6. 용어와 문체의 일관성 = 353
7. 문장의 시제 = 354
제2절 인용과 참고문헌 = 355
1. 인용 = 355
2. 참고문헌 = 358
제3절 연구논문, 연구보고서 평가기준 예시 = 365
1. 현장교육연구보고서 평가기준의 예 1 = 366
2. 교육학 학위논문의 평가기준의 예 2 = 367
3. 일반적인 논문의 평가기준의 예 = 368
4. 교육학 학위논문의 평가기준의 예 3 = 369
5. 일반적인 논문의 평가기준 예 4 = 370
제4절 논문 작성에서 유의할 점 = 371
1. 체계성 = 371
2. 타당성 = 372
3. 이론적 배경 = 372
4. 선행 연구들 고찰 = 373
5. 정확성 = 373
6. 글쓰기 = 373
7. 통계적 분석 = 374
8. 연구도구(검사지 혹은 질문지) = 374
9. 참고문헌 수집 및 분석 = 374
10. 요약서(발표용) 작성 방법 = 375
참고 문헌 = 377
부록 : 학위청구논문 계획서 예 = 379
총괄평가 =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