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29camccc200337 k 4500 | |
001 | 000045329877 | |
005 | 20100805085807 | |
007 | ta | |
008 | 061101s2006 ulka b 001c kor | |
020 | ▼a 8925400065 ▼g 93370: ▼c \16,000 | |
024 | 3 | ▼a 9788925400068 |
035 | ▼a (KERIS)BIB000010530947 | |
040 | ▼a ezMARC ▼c ezMARC ▼d 211046 ▼d 211046 ▼d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5.0010994 ▼2 22 |
090 | ▼a 375.001 ▼b 2006b | |
100 | 1 | ▼a Print, Murray |
245 | 1 0 | ▼a 교육과정 개발과 설계 / ▼d Murray Print 지음 ; ▼e 강현석 [외] 옮김. |
246 | 1 9 | ▼a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 2nd ed. |
260 |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6. | |
300 | ▼a 414 p. : ▼b 삽도 ; ▼c 25 cm. | |
500 | ▼a 공역자: 박영무, 박창언, 손충기, 이원희, 최호성 | |
500 | ▼a 권말에 "영어해설"수록 | |
504 | ▼a 참고문헌(p. 401-407)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현석 |
700 | 1 | ▼a 박영무 ▼g 朴永珷 |
700 | 1 | ▼a 박창언 |
700 | 1 | ▼a 손충기 ▼g 孫忠基 |
700 | 1 | ▼a 이원희 ▼g 李元熙 |
700 | 1 | ▼a 최호성 ▼g 崔鎬成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5.001 2006b | 등록번호 15122289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2-06-13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5.001 2006b | 등록번호 1512228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강현석(지은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방법 전공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Post-Doc. 과정을 이수했으며 Department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에서 연구원(Honorary Fellow)을 역임하였다. 한국대학교육 협의회 고등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순천대학교 교수를 거쳐 교육부 정책자 문 위원, 대학설립심사위원,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심의위원 및 위원장 등으로 활 동하였다. 현재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 교육학회 및 한국교 육과정학회 부회장, 한국내러티브 교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도전: 교육과정과 수업 혁신, 이해 중심 교육 과정을 위한 백워드 설계의 이론과 실천: 교실혁명, 최신 백워드 교육과정과 수업설계의 미래, 미래한국교육보고서, 교육은 왜 실패 하는가: 인지혁명과 희망교육으로의 전환, 인간 교육학의 혁명, 브루너 교육의 문화, 학교, 이렇게 바꾼다,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 내러티브학 탐구, 왜 지금 국제 바칼로 레아(IB)인가?: 교육 혁신과 국가 미래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추천사 = 3 역자서문 = 8 특별서문 = 10 서언 = 12 제1판 서문 = 14 제2판 서문 = 16 약어표 = 18 1장 교육과정의 개요 = 23 1. 교육과정의 성격 = 27 2. 교육과정의 특성화 = 30 3. 잠재적 교육과정 = 38 4. 교사 교육과정 의사결정 = 48 5.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 53 6. 교육과정 개발 = 58 2장 교육과정 개발의 예비단계 = 63 1. 교육과정 개발자 = 66 2. 교육과정의 기초 = 73 3. 교육과정 개념 = 93 4. 교육과정 계획 = 110 3장 교육과정 개발 과정 = 113 1. 교육과정 실제 = 115 2. 합리적 모형: Tyler, Taba = 119 3. 순환적 모형: Wheeler, Nicholls & Nicholls = 128 4. 역동적 모형: Walker, Skilbeck = 135 5. 교육과정 개발 모형 = 145 6. 실제 교육과정 개발 과정 = 155 4장 교육과정 설계 = 161 1. 교육과정 설계 과정 = 165 2. 교육과정 설계(Curriculum designs) = 168 5장 상황 분석 = 185 1. 정의 = 187 2. 요구사정 = 189 3. 상황분석의 실행 = 194 6장 교육과정 의도 = 203 1. 목적, 목표 및 명세목표 = 205 2. 목적, 목표 및 명세목표의 자원 = 212 3. 명세목표의 기능 = 217 4. 명세목표의 유형 = 218 5. 효과적인 명세목표의 특징 = 224 6. 교육과정 성과 = 229 7장 교육과정 내용 = 233 1. 내용의 성격 = 235 2. 내용 선정 = 238 3. 내용 선정의 준거 = 240 4. 교육과정 내용의 조정: 범람과 제한 = 250 5. 내용의 조직 = 253 6. 스코프와 시퀀스의 적용 = 262 7. 인지발달 = 264 8장 학습활동 = 269 1.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학습활동 = 271 2. 교수-학습 전략 = 273 2. 학습활동 선정의 준거 = 294 3. 학습자에 대한 적합성 = 298 4. 학습활동 조직하기 = 301 9장 평가와 사정 = 305 1. 평가의 성격 = 306 2. 평가의 기능 = 310 3. 평가의 유형 = 311 4. 측정, 사정, 평가 = 315 5. 사정의 절차 = 320 6. 성과 진술 = 325 7. 측정 도구 = 327 8. 교육과정 평가 = 340 9. 교육과정 평가모형(알고리즘) = 341 10. 교육과정 자료의 평가 = 344 10장 교육과정 적용과 변화 = 349 1. 실행과 수정 = 351 2. 점검과 교육과정 평가 = 354 3. 교육과정 모형 = 356 4. 교육과정 변화의 역동성 = 356 5. 교육과정 변화 과정 = 362 6. 변화 전략 = 372 7. 변화 촉진자 = 380 8. 혁신의 본질 = 383 9. 혁신의 특징 = 384 용어해설 = 393 참고문헌 = 401 찾아보기 =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