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 1
Ⅰ. 문제제기 = 13
Ⅱ. 청년실업 문제의 현황 = 16
1. 청년층의 노동시장 참가와 실업률 추이 = 16
2. 청년인구의 유휴화와 구직단념자 현황 = 19
3. 대기실업과 만성실업의 가능성 = 27
4. 청년실업 문제의 국제 비교 = 30
Ⅲ. 청년실업 문제의 구조적 원인 분석 = 37
1. 개관 = 37
2. 거시적 고용흡수력과 일자리 규모의 변화 = 39
3. 노동시장 관행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 = 46
4. 규모별·노조유무별 등 노동시장 분단구조의 심화 = 59
5. 교육훈련 시스템의 적응력 부족 = 74
6. 청년실업 원인에 대한 진단결과 요약 = 89
Ⅳ. 청년실업 문제에 대한 중장기 정책 대안 = 92
1. 기존의 청년실업 대책 개관 = 92
2. 기존 청년실업 대책의 문제점 = 94
(1) 통일된 프로그램 타이틀의 부재와 개별 프로그램의 혼재 = 94
(2)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서의 유연성이 부족 = 95
(3) 체계적인 홍보의 부족 = 96
(4) 제도적,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지원 부족 = 96
(5) 전달창구의 문제 = 98
(6) 중장기적 관점의 결여와 전체 노동시장·생산물 시장 정책과의 괴리 = 99
3. 새로운 중장기 청년실업 대책의 방향 = 101
4. 세부 중장기 정책 대안 = 107
(1) 대학교육을 포함한 교육시스템의 개선 = 107
(2) 기업의 인사노무관리 시스템 개선 = 110
(3) 거시적 유연안정성이 보장되는 노동시장 구조 구축 = 113
(4) 청년실업 대책의 기획 및 운영방식 개선 = 116
(5) 청년실업 대책 지원 체계의 개선 = 118
(6) 청년실업 대책의 체계화와 효율화 = 120
(7) 중소기업 취업·창업활성화를 위한 지원 강화 = 122
〈참고문헌〉 =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