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09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328418 | |
005 | 20100805084242 | |
007 | ta | |
008 | 060621s2006 ulka b 000c kor | |
020 | ▼a 8982879633 | |
024 | 3 1 | ▼a 9788982879630 ▼d 93370 |
035 | ▼a (KERIS)BIB000010356115 | |
040 | ▼d 211020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2 |
090 | ▼a 375 ▼b 2006g | |
245 | 0 0 | ▼a 교육과정과 수업 / ▼d 이원희 [외저]. |
250 | ▼a 제2판 | |
260 |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6. | |
300 | ▼a 620 p. : ▼b 삽도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591-620 | |
700 | 1 | ▼a 이원희 ▼0 AUTH(211009)75444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6g | 등록번호 1114027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6g | 등록번호 1114027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기초 = 11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 13 1. 교육과정의 고전적 의미 = 14 2. 교육과정 개념의 외적 확장과 내적 심화 = 15 3. 교육과정 개념의 재개념화 = 22 제2장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 25 1. 전통주의 vs 진보주의 = 28 2. 교육과정 관점에 따른 견해 = 32 3. 교육과정 학파에 따른 견해 = 35 제3장 교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 = 43 1. 교육과정과 교육심리학 = 44 2. 학습자에 대한 이해 = 45 3. 교수ㆍ학습 이론의 동향과 심리학 = 63 제4장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 71 1. 해방후~제6차 교육과정(1945~1997) = 72 2. 제7차 교육과정기(1997~ ) = 88 제2부 이해 = 97 제1장 교육내용의 성격 = 99 1. 지식의 구조 = 101 2. 지식의 형식 = 106 3. 교육내용의 성격 = 109 제2장 교육과정학 이데올로기 논쟁: 역사적 접근 = 113 1. 19세기 중엽의 교육: 고전 중심의 교육 = 115 2. 진보주의: 교사중심에서 아동중심으로 = 118 3. 고전교육과정의 변화 = 124 4. 사회적 행동주의의 발생 = 125 5. 교육과정학 이데올로기들간의 입장 차이 조율을 토론 = 126 6. 사회 재건주의의 부상과 진보주의의 분열 = 127 7. 본질주의의 등장: 여러 교육과정학 이데올로기들의 절충 = 129 8. 중간에 선 자의 승리: 타일러의 논리 = 130 9. 교육과정학의 위기와 재개념화 = 132 10. 교육과정학 탐구의 구조적 개념화: 사회 재건주의의 부활 = 133 11. 파이데이아 제안: 고전교육과정의 부활 = 134 12. 열린교육과 교육정보화: 진보주의의 부활 = 136 제3장 교육과정학의 재개념화: 타일러의 논리로부터의 탈출 = 143 1. 교육과정학의 위기 = 144 2. 재개념화 운동의 발전 과정 = 147 3. 재개념주의자들의 탐구 영역 = 148 4. 교육과정학 탐구의 실존적 재개념화: 윌리암 파이나 = 150 5. 교육과정학 탐구의 구조적 재개념화: 마이클 애플 = 157 6. 교육과정학 탐구의 미학적 재개념화 = 164 제4장 내러티브적 교육과정의 이해 = 177 1. 교육과정과 지식의 문제 = 179 2. 교육과정과 마음의 문제 = 185 3. 마음의 새로운 모형 = 189 4. 교육과정의 새로운 지표 = 196 제5장 잠재적 교육과정 = 201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 202 2. 인지적 학습을 넘어서: 발달 장소로서 학교 = 206 3. 잠재적 교육과정 연구의 실증적 사례 연구들 = 209 4. 잠재적 교육과정의 학구적 중요성 = 211 제6장 교육과정이론으로서의 성리학 = 213 1. 선진유학의 본성론 = 217 2. 성리학의 본체론과 심성론 = 227 제7장 성리학의 교육방법: 심법 = 247 1. 심법의 기원과 의미 = 248 2. 격물치지 = 260 3. 성과 경 = 264 제3부 개발과 평가 = 275 제1장 교육과정과 수업 개발 = 277 1. 교육목표의 자원과 설정 = 278 2. 교육목표의 진술 = 282 3.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289 제2장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개발 = 297 1.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와 필요성 = 298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모형 및 절차 = 304 3.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인적 구성과 역할 = 312 4. 학교 교육과정 개발사례 = 319 제3장 백워드(backward) 교육과정 설계 모형 = 327 1.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의 성립 배경 = 327 2.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개관: 과거와 현재 = 329 3.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의 분석과 이해 = 336 4.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의 영향 = 349 제4장 뇌기반 창의성 교육 = 359 1. 뇌의 기본 구조와 기능 = 361 2. 창의성의 개념 및 특성 = 365 3. 창의성 교육의 원리 및 방향 = 369 제5장 교육과정과 수업을 위한 수행 평가 = 379 1. 철학적 평가 패러다임 = 382 2.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주관성 = 383 3. 교육과정과 수업 체제 속에서 평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 = 384 4. 평가 방법과 도구 개발 = 386 5. 채점 기준표 개발 = 392 6. 점수 매기기와 결과의 활용 = 406 제4부 실행 = 411 제1장 교육과정 전개의 두 논리: 전달과 이해 = 413 1. 교육과정의 두 가지 의미 = 415 2. 교육과정 전개의 두 논리 = 417 3. 교육과정 전개와 교사의 전문성 = 422 제2장 수업이론과 모형 = 429 1. 수업과 모형 및 이론 = 430 2. 전통적 교수-학습관과 구성주의 교수-학습관 = 432 3. 구성주의의 주요 교수-학습 원리: 구성을 촉진하는 학습환경 = 436 4. 구성주의의 주요 교수-학습이론: 인지도제 이론 = 445 제3장 수업설계 = 453 1. 체제와 수업설계의 개념 = 454 2. 수업설계를 보는 관점 = 457 3. 객관주의 수업설계 모형 = 459 4. 구성주의 수업설계 모형 = 466 제4장 교육공학과 수업매체 = 475 1. 교육공학 = 476 2. 수업 매체 = 489 제5장 수업방법 = 511 1. 개별화 수업 = 512 2. 협동 학습 = 519 3. 상황학습과 수업 = 528 제6장 뇌기반 교수ㆍ학습 = 537 1. 학습과 기억의 개념 및 내용 = 540 2. 뇌과학적 발견과 교수ㆍ학습의 기본 방향 = 545 제5부 교육과정 운영과 교사 = 557 제1장 교사의 삶과 전문성 발달 = 559 1. 초임 교사의 사회화 = 561 2. 교직과 교사의 삶 = 562 3. 교사의 실제적 지식 = 565 4. 비판적 교사의 삶 = 568 제2장 교사유능성의 재 이해 = 575 1. 현대사회와 교육의 과제 = 576 2. 바람직한 교사의 자질 = 578 3. 교사교육과 유능한 교사의 양성 = 581 4. "교사유능성"의 다양한 이해 = 583 5. 교사유능성의 재 이해를 위한 논의 = 588 참고문헌 = 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