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國際法新講 제2판

國際法新講 제2판 (3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재훈 김부찬 이용호 하재환 김태운 박배근
서명 / 저자사항
國際法新講 / 崔載勳 外 5人 共著.
판사항
제2판.
발행사항
서울 :   新英社 ,   2004.  
형태사항
734 p. ; 26 cm.
총서사항
法學講義叢書
ISBN
8955010729
일반주기
공저자: 金富燦, 李龍浩, 河在煥, 金泰雲, 朴培根  
색인수록  
000 00799camccc200325 k 4500
001 000045328373
005 20100805084203
007 ta
008 041203s2004 ulk 001c kor
020 ▼a 8955010729
024 3 1 ▼a 9788955010725 ▼d 93360
035 ▼a (KERIS)BIB000009191107
040 ▼a 211062 ▼d 211009
082 0 4 ▼a 341 ▼2 22
090 ▼a 341 ▼b 2004g
245 0 0 ▼a 國際法新講 / ▼d 崔載勳 外 5人 共著.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新英社 , ▼c 2004.
300 ▼a 734 p. ; ▼c 26 cm.
490 0 0 ▼a 法學講義叢書
500 ▼a 공저자: 金富燦, 李龍浩, 河在煥, 金泰雲, 朴培根
500 ▼a 색인수록
700 1 ▼a 최재훈
700 1 ▼a 김부찬
700 1 ▼a 이용호
700 1 ▼a 하재환
700 1 ▼a 김태운
700 1 ▼a 박배근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1 2004g 등록번호 1114028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1 2004g 등록번호 1114028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최재훈(지은이)

<국제법신강>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국제법의 개념
 제1절 국제법에 대한 명칭 = 25
 제2절 국제법에 대한 정의 = 26
 제3절 국제법과 구별되는 제 규범 = 28
제2장 국제법의 법적 성질
 제1절 국제법은 과연 법인가 = 33
  Ⅰ. 국제법의 실효성 = 34
  Ⅱ. 국제법과 강제 = 35
 제2절 국제법의 분권적 성격 = 38
  Ⅰ. 국제법의 정립면 = 39
  Ⅱ. 국제법의 적용면 = 40
  Ⅲ. 국제법의 집행면 = 41
 제3절 현대국제법의 상황과 과제 = 42
제3장 국제법의 구조
 제1절 국제법규의 제 형태 = 45
 제2절 국제법규의 성립형식(연원) = 46
  Ⅰ. 조약 = 47
  Ⅱ. 관습국제법 = 51
  Ⅲ. 법의 일반원칙 = 56
  Ⅳ. 국제법의 법전화 = 59
 제3절 국제법규 상호간의 효력관계 = 64
  Ⅰ. 후법우선의 원칙 = 64
  Ⅱ. 특별법우선의 원칙 = 65
  Ⅲ. 예외가 인정되는 경우 = 66
 제4절 국제법의 기초 = 68
제4장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제1절 이에 관한 이론 = 76
  Ⅰ. 국내법우위 일원론 = 76
  Ⅱ. 이원론(분립설) = 78
  Ⅲ. 국제법우위 일원론 = 80
  Ⅳ. 학설의 비판 = 81
 제2절 국제법의 국내적 효력 = 83
  Ⅰ. 영국 = 85
  Ⅱ. 미국 = 87
  Ⅲ. 구소련 = 88
  Ⅳ. 프랑스 = 89
  Ⅴ. 독일, 일본,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 89
  Ⅵ. 대한민국 = 90
제5장 국제법의 주체
 제1절 이에 관한 논쟁 = 93
 제2절 개인의 국제법 주체성 = 94
 제3절 국제조직의 국제법 주체성 = 99
 제4절 각 국제법 주체 간의 성격적 차이 = 100
제6장 국가의 성립과 승인
 제1절 국가의 성립과 승인제도 = 101
 제2절 국가승인의 법적 의의 및 성질 = 102
 제3절 국가승인의 요건 = 105
 제4절 국가승인의 방식 = 107
  Ⅰ. 명시적 승인과 묵시적 승인 = 108
  Ⅱ. 개별적 승인과 집합적 승인 = 109
  Ⅲ. 조건부승인 = 110
  Ⅳ. 법률상의 승인과 사실상의 승인 = 111
 제5절 국가승인의 효과 = 112
 제6절 국가의 성립과 조약의 승계 = 116
제7장 국가의 존속과 소멸
 제1절 정부의 승인 = 119
  Ⅰ. 정부승인의 의의와 국가의 존속 = 119
  Ⅱ. 정부승인의 요건 = 120
  Ⅲ. 정부승인의 방식 = 123
  Ⅳ. 정부승인의 효과 = 123
  Ⅴ. 원수의 승인 = 124
 제2절 교전단체의 승인 = 124
  Ⅰ. 교전단체승인의 제도 = 124
  Ⅱ. 교전단체승인의 요건 = 125
  Ⅲ. 교전단체승인의 방식 = 126
  Ⅳ. 교전단체승인의 효과 = 126
 제3절 반도단체의 승인 = 128
 제4절 국가의 소멸 = 128
제8장 국가의 국제법적 지위
 제1절 국가의 소위「기본적」권리·의무 = 131
 제2절 주권 = 134
  Ⅰ. 주권론의 역사적 발전과 주권의 의의 = 134
  Ⅱ. 국제조직과 국가주권 = 137
  Ⅲ. 「주권면제의 원칙」에 대한 제한 = 140
 제3절 독립권 = 141
 제4절 평등권 = 142
 제5절 자위권 = 145
  Ⅰ. 자위권의 현대적 의의 = 145
  Ⅱ. 전통국제법상의 자위권 = 146
  Ⅲ. 자위권의 남용과 국제연합에 의한 통제 = 152
  Ⅳ. 집단적 자위권 = 155
 제6절 불간섭의 의무 = 159
  Ⅰ. 일반국제법상의 불간섭의 의무 = 159
  Ⅱ. 국제연합헌장 제2조 7항의 규정 = 161
제9장 국가의 제 유형
 제1절 국가결합의 유형 = 164
  Ⅰ. 종속적 국가결합 = 164
  Ⅱ. 병렬적 국가결합 = 166
 제2절 특수한 국가결합 = 169
  Ⅰ. 영연합 - 영본국과 자치령과의 관계 = 169
  Ⅱ. 소연방 - 구성공화국과의 관계 = 173
  Ⅲ. 독립국가연합(CIS) = 173
  Ⅳ. 단치히(Danzig)자유시 - 특히 국제연맹과의 관계 = 174
  Ⅴ. 트리에스테(Trieste)자유지역 - 국제연합과의 관계 = 174
 제3절 특수한 국가형태 = 175
  Ⅰ. 영세중립국 = 175
  Ⅱ. 바티칸(Vatican)市國(로마 교황청) = 178
제10장 국제조직
 제1절 국제조직의 의의 및 분류 = 179
 제2절 국제사회의 조직화 = 180
  Ⅰ. 근대초기의 국제사회와「평화조직안」에 관한 사상적 발전 = 180
  Ⅱ. 19세기에 있어서의 국제조직의 성립·발전 = 182
  Ⅲ. 20세기에 있어서의 국제조직 = 183
 제3절 국제연맹 = 185
  Ⅰ. 성립 = 186
  Ⅱ. 목적 = 186
  Ⅲ. 구성 = 187
  Ⅳ. 기관 = 188
  Ⅴ. 임무 = 189
  Ⅵ. 해체 = 190
 제4절 국제연합 = 191
  Ⅰ. 성립 = 191
  Ⅱ. 목적과 기본원칙 = 193
  Ⅲ. 구성원 = 196
  Ⅳ. 기관 = 199
 제5절 지역적 국제조직 = 218
제11장 국가의 대외관계
 제1절 원수와 외무부장관 = 223
  Ⅰ. 원수 = 223
  Ⅱ. 외무부장관 = 224
 제2절 외교사절 = 225
  Ⅰ. 연혁 = 225
  Ⅱ. 종류와 계급 = 225
  Ⅲ. 파견과 접수 = 227
  Ⅳ. 직무 = 228
  Ⅴ. 외교특권 = 231
  Ⅵ. 외교사절단의 구성원 = 239
 제3절 영사 = 241
  Ⅰ. 영사제도와 그 연혁 = 241
  Ⅱ. 종류와 계급 = 243
  Ⅲ. 파견과 접수 = 243
  Ⅳ. 직무 = 244
  Ⅴ. 특권 = 246
 제4절 군대·함선·공항공기 = 250
  Ⅰ. 군대 = 250
  Ⅱ. 함선 = 252
  Ⅲ. 공항공기(정부항공기) = 254
제12장 개인
 제1절 국민 = 257
  Ⅰ. 국적 = 258
  Ⅱ. 외교적 보호 = 261
 제2절 외국인 = 261
  Ⅰ. 외국인의 출입국 = 262
  Ⅱ. 외국인의 지위 = 263
  Ⅲ. 외국인재산의 收用 = 264
 제3절 범죄인인도와 정치적 난민 = 267
  Ⅰ. 의의 = 267
  Ⅱ. 내용 = 268
  Ⅲ. 정치범 불인도의 원칙 = 269
  Ⅳ. 정치적 난민 = 270
 제4절 선박과 항공기 = 273
  Ⅰ. 사선 = 273
  Ⅱ. 사항공기 = 275
제13장 인권의 국제적 보호
 제1절 제2차 세계대전과 인권문제의 국제화 = 279
 제2절 국제연합헌장과 세계인권선언 = 281
  Ⅰ. 국제연합헌장 = 281
  Ⅱ. 세계인권선언 = 286
 제3절 국제인권규약 = 287
  Ⅰ. 채택경위 = 287
  Ⅱ. 특징 = 288
  Ⅲ. 실시조치 = 289
 제4절 지역적 인권조약 = 292
  Ⅰ. 유럽인권협약 = 292
  Ⅱ. 미주인권협약 = 295
  Ⅲ. 아프리카인권헌장 = 296
 제5절 개별적 인권조약 = 297
  Ⅰ. 차별의 철폐에 관한 조약 = 297
  Ⅱ. 집단살해금지조약 = 299
  Ⅲ. 고문금지협약 = 301
 제6절 국제적 인권보호에 관한 최근의 흐름 = 302
제14장 국가영역과 특수지역
 제1절 국가영역의 법적 구조 = 305
  Ⅰ. 영역권의 성질 = 305
  Ⅱ. 영토 = 306
  Ⅲ. 영수 = 307
  Ⅳ. 영공 = 307
  Ⅴ. 영역권에 대한 제한 = 312
  Ⅵ. 영역의 취득 = 319
 제2절 특수지역 = 324
  Ⅰ. 비독립지역 = 324
  Ⅱ. 극지 = 327
제15장 해양법
 제1절 해양법의 의의 및 법전화 = 331
  Ⅰ. 해양법의 의의 = 331
  Ⅱ. 해양법의 법전화 = 332
  Ⅲ. 국제연합 해양법협약의 채택 = 332
 제2절 내수 및 군도수역 = 334
  Ⅰ. 내수(국내수역) = 334
  Ⅱ. 군도수역 = 338
 제3절 영해 및 접속수역 = 340
  Ⅰ. 영해 = 340
  Ⅱ. 접속수역 = 351
 제4절 국제해협 = 354
  Ⅰ. 의의 및 제도화 = 354
  Ⅱ. 국제해협의 유형 및 선박의 통항권 = 356
  Ⅲ. 통과통항권의 내용 = 357
  Ⅳ. 통과통항권과 무해통항권의 비교 = 358
 제5절 배타적 경제수역 = 359
  Ⅰ. 배타적 경제수역의 개념 = 359
  Ⅱ. 배타적 경제수역의 범위 및 경계확정 = 361
  Ⅲ. 연안국의 권리 및 의무 = 362
  Ⅳ. 타국의 권리 및 의무 = 362
  Ⅴ.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 = 363
 제6절 대륙붕 = 365
  Ⅰ. 대륙붕의 의의 및 제도화 = 365
  Ⅱ. 대륙붕의 법적 정의 및 범위 = 366
  Ⅲ. 대륙붕의 법적 지위 및 연안국의 권리·의무 = 367
  Ⅳ. 대륙붕의 경계확정 = 369
 제7절 공해 = 373
  Ⅰ. 공해의 개념 = 373
  Ⅱ. 공해자유의 원칙 = 374
  Ⅲ. 공해의 법질서 = 378
  Ⅳ. 공해생물자원의 보존 및 관리 = 386
 제8절 심해저 = 389
  Ⅰ. 의의 및 제도화 과정 = 389
  Ⅱ. 심해저의 범위 및 법적 지위 = 390
  Ⅲ. 국제심해저기구의 의의 및 활동 = 391
 제9절 해양환경보호 및 보존 = 393
  Ⅰ. 해양오염방지의 법제화 = 393
  Ⅱ. 해양법협약의 관련 주요내용과 그 특색 = 395
 제10절 해양분쟁해결제도 = 396
  Ⅰ. 제도의 의의 및 분류 = 396
  Ⅱ. 해양법협약상 분쟁해결절차 = 396
제16장 우주법
 제1절 우주법의 성립 = 403
  Ⅰ. 우주법의 의의 = 403
  Ⅱ. 우주법의 법전화 = 404
 제2절 우주공간의 범위 및 법적 지위 = 405
  Ⅰ. 우주공간의 범위 = 405
  Ⅱ. 우주공간의 법적 지위 = 407
 제3절 우주공간의 법질서 = 411
  Ⅰ. 우주물체 및 인원의 관할 = 411
  Ⅱ. 국제협력의 원칙 = 412
  Ⅲ. 평화적 이용의 원칙 = 413
  Ⅳ. 우주활동에 대한 법적 책임 = 414
 제4절 우주공간의 이용에 관한 국제기구 = 416
  Ⅰ. 세계적 기구 = 416
  Ⅱ. 지역적 기구 = 418
제17장 조약
 제1절 조약법과 조약의 개념 = 421
  Ⅰ. 조약법의 개념 = 421
  Ⅱ. 조약의 의의와 명칭 = 422
  Ⅲ. 조약의 구분 = 423
 제2절 조약의 성립 = 424
  Ⅰ. 조약의 당사자와 체결권자 = 425
  Ⅱ. 조약의 체결절차 = 427
 제3절 조약의 효력과 해석 = 435
  Ⅰ. 조약의 효력 = 435
  Ⅱ. 조약의 해석 = 437
 제4절 조약의 무효와 개정 및 종료 = 439
  Ⅰ. 조약의 무효원인 = 439
  Ⅱ. 조약의 개정 = 442
  Ⅲ. 조약의 종료 = 442
  Ⅳ. 조약의 무효 및 종료에 관한 분쟁의 해결절차 = 449
제18장 국가의 국제책임
 제1절 국가의 국제책임의 성질 = 451
 제2절 국제책임의 성립 = 454
  Ⅰ. 국가기관의 행위에 의한 경우 = 454
  Ⅱ. 사인의 행위에 의한 경우 = 457
  Ⅲ. 과실책임의 원칙 = 458
  Ⅳ. 위험책임의 대두 = 459
  Ⅴ. 위법성 조각사유 = 460
 제3절 국제책임의 해제 = 461
  Ⅰ. 국제청구의 요건 = 461
  Ⅱ. 책임해제의 방법 = 463
제19장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제1절 평화적 해결제도에 관한 일반적 고찰 = 465
 제2절 국제재판 = 469
  Ⅰ. 국제재판의 형태와 발전과정 = 469
  Ⅱ. 국제재판의 인적 관할(당사자) = 475
  Ⅲ. 국제재판에 부탁되는 분쟁(물적 관할) = 476
  Ⅳ. 국제재판의 구성 = 484
  Ⅴ. 국제재판의 준칙 = 486
  Ⅵ. 국제재판의 절차 = 487
  Ⅶ. 판결의 효력과 집행 = 491
  Ⅷ. 권고적 의견 = 492
  Ⅸ. 국제사법재판소의 역할과 문제점 = 494
 제3절 국제형사재판소 = 498
  Ⅰ. 국제형사재판소의 설립 = 498
  Ⅱ. 관할권 = 498
  Ⅲ. 적용법(applicable law) = 500
  Ⅳ. 수사 및 공소제기 = 501
  Ⅴ. 재판 = 502
  Ⅵ. 형벌 = 503
  Ⅶ. 상소와 재심 = 504
  Ⅷ. 국제협력과 사법공조 = 505
  Ⅸ. 형의 집행 = 507
 제4절 재판 이외의 해결방법 = 508
  Ⅰ. 직접교섭 = 508
  Ⅱ. 주선과 중개 = 509
  Ⅲ. 審査와 調停 = 510
  Ⅳ. 국제연합에 의한 분쟁의 해결 = 513
  Ⅴ. 지역적 협정 또는 지역적 기구에 의한 분쟁의 해결 = 517
제20장 국제경제에 관한 국제법
 제1절 국제경제법의 의의 = 521
 제2절 통상항해조약 = 524
 제3절 국제무역제도 = 526
 제4절 국제통화와 국제금융 = 538
 제5절 국가계약 = 541
 제6절 기업활동에 관한 국제법의 관여 = 543
제21장 국제환경법
 제1절 국제환경법의 의의 = 547
 제2절 국제환경법의 연혁 = 548
 제3절 국제환경법의 법원칙 = 553
 제4절 환경보호를 위한 국제법 = 563
제22장 안전보장
 제1절 전쟁의 위법화 = 572
  Ⅰ. 정전론 = 572
  Ⅱ. 정전으로부터의 탈피 = 573
  Ⅲ. 제1차 대전 전후의 전쟁의 위법화 = 575
  Ⅳ. 무력행사의 일반적 금지 = 579
 제2절 집단적 안전보장 = 580
  Ⅰ. 의의 = 580
  Ⅱ. 국제연맹의 집단적 안전보장 = 580
  Ⅲ. 국제연합의 집단적 안전보장 = 582
  Ⅳ. 지역적 안전보장 = 599
제23장 국제군축법
 제1절 군축의 개념 = 602
  Ⅰ. 군축의 정의와 용어 = 602
  Ⅱ. 군축조치의 분류 = 603
 제2절 군축기구 = 604
  Ⅰ. 주요기구 = 604
  Ⅱ. 보조기구 = 605
 제3절 군축분야에 있어서의 국제연합 및 Geneva 군축회의의 역할 = 606
  Ⅰ. 국제연합의 역할 = 606
  Ⅱ. Geneva 군축회의의 역할 = 607
 제4절 국제군축법의 법원 = 608
  Ⅰ. 다자조약 = 608
  Ⅱ. 양자조약 = 614
 제5절 군축의 한계 = 617
제24장 국제인도법
 제1절 국제인도법의 개념과 특성 = 619
  Ⅰ. 국제인도법의 개념 = 619
  Ⅱ. 국제인도법의 대두 = 621
  Ⅲ. 국제인도법의 法源 = 623
  Ⅳ. 국제인도법의 적용상의 제 문제 = 627
  Ⅴ. 내전과 국제인도법의 적용 = 631
 제2절 교전자 및 교전구역 = 634
  Ⅰ. 교전자 = 634
  Ⅱ. 교전구역 = 638
 제3절 전투수단 및 방법에 관한 법적 규제 = 638
  Ⅰ. 전투수단에 관한 법칙 규제 = 638
  Ⅱ. 전투방법에 대한 법적 규제 = 650
 제4절 무력충돌 희생자의 보호 = 659
  Ⅰ. 상병자의 보호 = 659
  Ⅱ. 포로의 대우 = 665
  Ⅲ. 민간주민의 보호 = 673
  Ⅳ. 문화재의 보호 = 683
 제5절 국제인도법의 실시조치 및 전쟁범죄인의 처벌 = 685
  Ⅰ. 국제인도법의 실시조치 = 685
  Ⅱ. 전쟁범죄에 대한 처벌 = 694
제25장 전통전쟁법과 중립법
 제1절 전쟁의 개시 = 697
  Ⅰ. 전쟁의 개념 = 697
  Ⅱ. 전쟁개시의 절차 = 699
  Ⅲ. 전쟁개시의 효과 = 700
 제2절 해상포획 = 703
  Ⅰ. 해상포획(협의) = 703
  Ⅱ. 봉쇄 = 709
  Ⅲ. 비중립역무(군사적 원조행위) = 712
 제3절 전쟁종료와 휴전 = 713
  Ⅰ. 전쟁종료의 방식 = 713
  Ⅱ. 휴전과 무조건항복 = 714
 제4절 중립법 = 716
  Ⅰ. 중립의 의의와 중립제도의 역사 = 716
  Ⅱ. 중립국의 권리와 의무 = 721
찾아보기 = 72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