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326484 | |
005 | 20221228161023 | |
007 | ta | |
008 | 070131s2007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55613568 ▼d 03400 | |
020 | ▼a 9788955617580 ▼g 034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2.8/2 ▼2 22 |
085 | ▼a 612.82 ▼2 DDCK | |
090 | ▼a 612.82 ▼b 2007 | |
100 | 1 | ▼a Ramachandran, V. S., ▼d 1951- ▼0 AUTH(211009)21673 |
245 | 2 0 | ▼a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 : ▼b 우리의 두뇌 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는가? / ▼d 빌라야누르 라마찬드란, ▼e 샌드라 블레이크스리 지음 ; ▼e 신상규 옮김 |
246 | 1 9 | ▼a Phantoms in the brain : ▼b probing the mysteries of the human mind |
260 | ▼a 서울 : ▼b 바다출판사, ▼c 2007 ▼g (2017) | |
300 | ▼a 551 p. : ▼b 삽화 ; ▼c 22 cm | |
504 | ▼a 참고문헌: p. 534-551 | |
650 | 0 | ▼a Neurology ▼v Popular works |
650 | 0 | ▼a Brain ▼v Popular works |
650 | 0 | ▼a Neurosciences ▼v Popular works |
700 | 1 | ▼a Blakeslee, Sandra, ▼e 저 |
700 | 1 | ▼a 신상규, ▼e 역 |
900 | 1 0 | ▼a 라마찬드란, 빌라야누르, ▼e 저 |
900 | 1 0 | ▼a 블레이크스리, 샌드라, ▼e 저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114000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114000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211421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211421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212421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310273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114000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114000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211421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211421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212421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2.82 2007 | Accession No. 1310273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라마찬드란, <뉴스위크>가 뽑은 211세기 가장 주목해야 할 100인 가운데 한 명.
출간된 첫해에 <이코노미스트> '올해의 책' 선정.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는 사람이 통증을 호소한다.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이렇게 말하는 것은 오히려 그 사람의 정신력마저 의심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마음이 신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만큼 얼토당토않은 믿음도 없다. 뇌과학자들은 모든 통증을 마음 하나로 이겨낼 수 있다고 말하는 것처럼 환자들에게 모욕적인 말은 없다고 말한다.
사고로 한쪽 팔을 읽었지만 계속해서 환상 팔이 움직이는 생생한 감각을 느끼는 아마추어 운동선수, 뇌졸중을 겪은 후 웃음을 통제할 수 없게 된 사서의 이야기. 또 머리에 끔찍한 중상을 입은 후 자신의 부모가 복제인간으로 바뀌었다고 주장하는 한 젊은이. 그는 부모의 얼굴을 알아볼 수는 있지만, 친숙함은 느낄 수 없다. 이런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도는 현재의 부모가 가짜라고 가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두뇌의 특정 부위에 손상을 입은 사람들은 매우 기이한 행동의 변화를 겪게 된다. 그러나 이들 중 ‘미친’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들을 정신과 의사에게 보이는 것은 시간 낭비일 뿐이다. 그들은 잃어버린 사지를 느끼며, 아무도 보지 않는 대상을 보게 되고,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부정하면서 엉뚱하고 비정상적인 주장을 한다. 그러나 여타 대부분의 것에 대하여 이들은 누구보다 이성적이며, 이 책을 읽게 될 당신과 비교하여서 전혀 미치지 않았다.
뇌과학계의 ‘셜록 홈스’라고 불리는 라마찬드란은 이 책에서 그가 해결한 가장 이상한 사례들과 함께 그것들이 인간의 본성과 마음에 대해 알려주는 통찰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면봉이나 거울과 같은 원시적인 도구를 이용해, 사라진 팔이 실재한다고 느끼는 환자에서부터 자신의 부모가 가짜라고 생각하는 환자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신경병 환자들을 연구한다.
그럼으로써 지금까지 그 어떤 과학자도 감히 도전하지 않았던 인간 본성의 심오하고 미묘한 질문들에 답한다. 우리는 왜 웃거나 우울해지는가? 우리는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며, 또 우리는 어떻게 스스로를 기만하거나 꿈을 꾸는가? 우리는 왜 신의 존재를 믿는가? 이 책은 인간의 마음이라는 마지막 남은 의학적 미개척지에 대한 의학적 탐사의 기록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빌라야누르 라마찬드란(지은이)
신경과학자로 캘리포니아대학교의 심리학과 석좌 교수이자 뇌인지 연구소 소장이다. 인간 시지각의 신경 메커니즘에서 환상사지, 질병인 식불능증, 카프그라 증후군, 공감각 등 당시 널리 알려지기는 했지만 과학적 연구 대상이 아 니라고 여겨지던 신경 이상 현상으로 연구를 확장해 인간 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 받는다. 《뉴스위크》는 21세기 가장 주목해야 할 뛰어난 인 물 100인 중 한 명으로 그를 선정하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 등이 있다.
샌드라 블레이크스리(지은이)
샌디에이고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심리학 및 신경과학 교수이자 뇌인지연구소 소장이다. 라 호야의 신경과학연구소, 스탠퍼드의 첨단행동과학연구소, 조국인 인도의 과학아카데미 회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는 <뉴스위크>가 뽑은 21세기 우리가 주목해야 할 가장 중요한 100명의 인물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네덜란드 왕립과학협회의 아리엔스 카퍼스 금메달, 호주국립대학교의 금메달, 올 소울 대학으로부터 받은 연구비를 포함하여 수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신상규(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저서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 『푸른 요정을 찾아서』, 『과학기술 문명에 대한 성찰』(공저),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공저), 『인문 테크놀로지 입문』(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철학적 포스트휴머니즘』, 『내추럴-본 사이보그』, 『우주의 끝에서 철학 하기』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추천사 / 올리버 색스 = 6 저자의 말 = 12 1 두뇌 속의 유령들 = 31 정체를 알 수 없는 장애들 패러데이의 실험 단계에 있는 의학의 현주소 두뇌의 해부학적 구조 잠재적 자살 충동을 지닌 여인 두 개의 '웃음회로' 해마를 잃은 남자 두뇌 속의 특화된 모듈들 2 갑작스러운 신체의 상실을 두뇌는 어떻게 극복하는가? = 65 갑작스러운 상실 펜필드의 호문쿨루스(두뇌 속의 작은 인간) 환상사지 내 안의 유령을 찾아서 환자통을 동반하는 휘파람 풋 페티시의 의학적 기원 3 최초의 성공적인 환상사지 절단 수술 = 97 팔 없이 태어난 사람도 환상사지를 경험하는가? 너무나 생생한 환상 마비된 사지 환상사지를 치료한 가살현실 상자 통증을 유발하는 잘못된 리매핑 통증은 뇌가 만들어낸 환상인가? 환자통 치료의 가능성 뇌가 만들어낸 허구적 신체상(body image) 4 두뇌는 어떻게 세상을 보는가? = 139 두뇌는 어떻게 이미지를 인식하는가? 30개의 각기 다른 시각 영역 '마음'의 비밀을 풀어줄 맹시(blindsight) 시각피질의 두 경로, '어떻게' 와 '무엇' 두뇌 속에 살고 있는 좀비들 5 스스로를 이해하려는 두뇌의 모험 = 173 찰스 보넷 증후군이 보는 생생한 환상 시각의 '채워넣음' 어떻게든 맹점(blind spot)을 채워넣는 두뇌 지각적 채워넣음과 개념적 채워넣음 찰스 보넷 증후군의 환각사례 원숭이를 무릎에 앉힌 의사 선생님 두뇌 속에 월트 디즈니 만화를 넣고 사는 여인 제멋대로 환각을 만들어내는 두뇌 6 두뇌는 어떻게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하는가? = 219 편측무시 환자 무시(neglect syndrome)는 왜 우반구 손상 환자에게서만 나타나는가? 거울인식불능증 또는 거울나라 증후군 무시 환자들이 보지 못하는 세상의 왼편 7 왜 두뇌는 변명에 익숙해졌을까? = 243 변명에 익숙한 뇌 질병인식불능증 부정 증후군(denial syndrome)에 대한 새로운 질문 부정 증후군에 대한 프로이트적 설명 부정 증후군에 대한 신경학적 설명 부정 증후군 환자들의 자기기만 부정과 기억상실 선택적 기억상실 부정과 프로이트의 심리적 방어기제 신체상에 대한 착각은 교정 가능한가? 유한성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한 인간 8 '진짜'나는 누구인가? = 297 카프그라 증후군(Capgras' syndrome) "내 부모는 가짜예요" 코타르 증후군(Cotard's syndrome) 카프그라 망상을 초래하는 시선의 변화 프레골리(Fregoli)와 완강한 인종주의 '진짜' 나는 누구인가? 9 두뇌는 왜 신을 보았다고 믿는가? = 325 신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변연계와 감정 신이 된 남자 종교적 경험에 대한 진화 심리학적 설명 신(God) 절개술 위대한 과학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서번트 신드롬 천재적 재능을 가진 서번트들 사례 서번트의 비밀을 품고 있는 모이랑 서번트들이 결여한 것,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10 인간은 짐승인가, 천사인가? = 367 웃음과 진화심리학 웃음의 구조적 메커니즘 거짓경보이론과 어색한 웃음 웃음에 깔려 있는 신경 메커니즘 11 사라진 쌍둥이를 찾아라! = 391 환상임신 '생각'만으로 종양을 없앨 수 있는가? 마음과 몸의 상호작용 기존 패러다임에 도전하는 '비정상' 다중인격장애 12 자아는 두뇌의 어디에 존재하는가? = 417 의식의 생물학적 기원에 대한 탐구 우리가 시각이라고 부르는 것 감각질(qualia)이 자각에 미치는 영향 감각질의 첫 번째 특징, '입력의 비가역성' 감각질의 두 번째 특징, '출력의 유연성' 감각질의 세 번째 특징, '단기기억장치' 우유부단함을 제거하는 감각질 맹점의 '채워넣음'과 머리 뒤편의 '가역성' 몽유병 환자는 '펩시 시험'을 통과할 수 있는가? 의식활동을 관장하는 측두엽 자아는 무엇인가? 주 = 470 참고문헌 =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