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 ⅴ
머리말 = ⅷ
제1부 영상매체의 이해
제1장 영상매체의 연구 = 2
1. 커뮤니케이션 연구 영역으로서의 영상매체 = 2
2. 영상매체 연구의 의의 = 10
제1장 정리와 연습문제 = 20
제2장 영상매체의 이해 = 22
1. 영상매체 발전과 사회 변화 = 22
1) 대중매체의 발전과 기능 = 22
2) 영화에서 인터넷까지 = 30
3) 영상매체의 확산 : 기술경제 패러다임과 대중의 문화적 욕구 충족 = 38
2. 디지털 시대와 영상매체의 위상 = 42
1) 매체중심론과 사회중심론 = 42
2) 채널 확장성과 내용 전문성 = 44
3) 디지털 영상매체 : '사실적 환상' = 50
제2장 정리와 연습문제 = 56
제3장 영상매체의 특성 = 58
1. 영상의 개념과 인식 = 58
1) 영상의 개념 = 58
2) 영상의 지각, 해석, 역할 = 62
3) 영상과 커뮤니케이션 = 67
2. 영상매체의 특성 = 69
1) 매체 언어의 변화 = 69
2) 역동성과 복합 감각에의 호소 = 73
3) 공간과 시간의 결합 = 77
4) 사회적 실재감의 창조 = 79
5) 집합의 시대에서 개인의 시대로 = 80
6) 해석 가능성의 향상 = 81
3. 텔레비전 영상의 특성 = 82
제3장 정리와 연습문제 = 86
제4장 영상매체 기술의 사회적 전개 = 88
1. 매체 기술의 현실화 과정 = 88
1) 매체 기술과 인간의 상호성 = 88
2) 매체 기술의 사회화 과정 = 94
2. 영상매체 기술의 사회적 확장 = 101
1) 텔레비전 영상 기술의 발전 = 101
2) 영상매체 기술의 사회성 = 110
3. 수용자 속박과 무한한 잠재성 = 114
1) 영상매체 기술의 비관성 = 114
2) 영상매체 기술의 낙관성 = 120
제4장 정리와 연습문제 = 124
제5장 디지털 영상매체의 확산 = 126
1. 개념과 의의 = 126
1) 디지털의 개념 :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화 = 126
2) 디지털 영상매체의 의미와 성격 = 133
2. 분류 = 139
1) 전송 채널 = 141
2) 최종 단말기 = 142
3) 디지털 텔레비전, 멀티미디어 PC, 휴대폰 = 150
3. 수용적 특성 = 158
1) 이용자 측면 = 159
2) 시스템 측면 = 160
3) 환경적 측면 = 163
제5장 정리와 연습문제 = 170
제2부 영상문화와 영상미학
제6장 영상매체와 문화 = 174
1. 대중매체와 문화 연구 = 174
1) 대중문화의 전개 = 174
2) 대중문화의 성격 = 176
3) 한국 대중문화 연구의 흐름과 관점 = 180
2. 영상매체의 문화 생산 구조와 의미 = 191
1) 영상매체와 문화상품 = 191
2) 문화의 생산과 소비 구조 = 194
3) 대중문화 생산과 소비의 의미 = 197
4) 대중문화와 사회현상의 순환성 = 203
5) 대중문화에서 영상문화로 = 206
4. 영상문화의 상징과 정체 = 208
5. 영상문화의 가치 = 211
1) 영상 콘텐츠, 오락 = 211
2) 정보 문화 : 개인화와 국제화 = 214
3) 문화의 동시화, 세계화 = 216
4) 영상문화의 이중성 = 218
제6장 정리와 연습문제 = 220
제7장 영상매체의 미학적 가치 = 222
1. 영상매체의 일상성 = 222
2. 매체미학 : 미적 대상과 미적 체험 = 229
1) 매체미학 = 229
2) 상품미학 = 233
3) 미적 체험의 질 = 235
4) 미적 체험의 의미 = 239
3. 영상매체의 미학적 요소 = 242
1) 시간과 시간 조정 : 프로세스 이미지 = 242
2) 영상의 상황 문맥으로서의 음향 ; 정보 기능과 감성 기능 = 254
4. 영상매체의 미학적 가치 : 관찰에서 체험으로 = 262
1) 의사 체험 = 262
2) 현실 체험의 과정 = 267
5. 시뮬라시옹과 스펙터클적 사회로의 진입 ; 현실에서 '구성된 현실'로 = 269
1) 객관적 현실과 상징적 현실 = 269
2) 사회적 현실 구성 과정 = 273
제7장 정리와 연습문제 = 276
제3부 영상매체의 실제
제8장 메인스트림으로서의 영상매체 = 280
1. 데이터스피어 : 권력 기반의 도구에서 대중의 무기로 = 280
1) 무한한 영역 : 매체 공간 = 280
2) 대중 선전 시대의 종식 = 282
3) 살아 있는 매체 : 무형의 생물 = 291
4) 피드백과 반복 = 296
5) 새로운 매체 접근 : 유연성의 확대와 확장성의 증가 = 302
2. 열린 토론의 장 = 304
1) 참여 문화의 촉진 : 텔레비전과 인터넷의 결합 = 304
2) 컴퓨터 네트워크 : 전자적 민중과 현실적 대중의 연결 = 310
3. 영상 혁명 : 대안 매체의 전략적 힘 = 319
1) 영상 혁명 : MTV = 319
2) 대안 매체 : 캠코더 = 325
3) 전략적 힘 : 게임 = 330
4) 메타 매체로서의 틈새 : CG, 컴퓨터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 336
제8장 정리와 연습문제 = 346
제9장 바이러스 배양으로서의 영상매체 = 348
1. 경험의 대체와 지식의 몰수 = 348
1) 경험의 대체와 획일화 = 348
2) 과학과 신비의 통일 = 352
3) 매체 속성의 불변 = 354
4) 형식이 내용에 우선 = 357
5) 지식의 소수 집중 = 363
2. 생물학적, 심리학적 악영향과 매체 모방의 불행 = 364
1) 사고와 신체 운동의 약화 = 364
2) 상상력의 퇴화 = 366
3) 인위적 영상의 환상 = 370
4) 영상 조절 능력의 상실 = 372
5) 편견의 확장 = 374
3. 본질의 제거와 대중의 소외 = 390
1) 아우라의 붕괴 = 390
2) 시간과 장소로부터의 분리 = 393
3) 극적인 내용에의 집착 = 396
4) 몰입과 소외 = 400
제9장 정리와 연습문제 = 402
제4부 디지털 영상매체와 커뮤니케이션 능력
제10장 사회 구조 = 406
1. 조직 관계와 권력 관계 = 406
1) 디지털 사회의 권력 = 406
2) 권력 형태 = 410
3) 조직 형태와 통제 양식 : 자율적 네트워크와 독점적 중앙 집중 = 415
4) 권력 구조 : 집중과 분산 = 420
2. 커뮤니케이션 구조 : 매체 시스템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로 = 425
3. 커뮤니케이션 양식 : 시간 개념의 변화와 공간 감각의 확대 = 435
제10장 정리와 연습문제 = 446
제11장 심리와 수용성 = 448
1. 지각 = 448
1) 매개된 지각의 심화 = 448
2) 상징적 커뮤니케이션 양식의 변화와 정신적 기술의 요구 = 451
2. 인지 = 459
1) 상황에 구속된 처리 방식과 상황에 무관한 처리 방식의 결합 = 463
2) 총체적인 경험과 분리된 인지, 지각의 혼합 = 465
3) 자발적인 학습과 지적인 학습의 연결 = 467
4) 사회적 커뮤니케이션과 기술적으로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의 통합 = 467
3. 인성 = 468
1) 인간과 컴퓨터 관계의 인격화 = 468
2) 언어의 변화 = 470
3) 사회적 접촉의 감소와 외로움 = 471
4) 인성 변화 = 472
4. 수용적 역학 = 475
1) 정보 과부하와 커뮤니케이션 과잉 = 475
2) 기능 대안성 = 481
3) 이용격차 = 486
4) 포르노 = 489
5) 개인정보 프라이버시 = 493
제11장 정리와 연습문제 = 502
제12장 미래 가치와 전망 = 504
1. 기술 = 504
1) 인텔리전스화 = 504
2) 통합화, 마이크로화, 세계화 = 506
3) 추세와 규모 = 510
2. 시장 = 515
1) 통합화와 거대화 = 515
2) 집중화와 다각화 = 523
3) 상업화와 선정주의 = 529
4) 전문화와 분화 = 535
3. 사회적 가치와 정책적 전망 = 544
1) 복지 = 544
2) 안전 = 545
3) 민주주의 = 545
4) 사회적 평등 = 548
5) 개인적 자율성 = 551
6) 합법성 = 553
7) 매개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 554
8) 인간 정신의 풍요 = 555
제12장 정리와 연습문제 = 558
참고문헌 = 560
저자 소개 = 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