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국 지방자치의 이해

미국 지방자치의 이해 (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남유진
서명 / 저자사항
미국 지방자치의 이해 / 남유진.
발행사항
파주 :   집문당 ,   2005.  
형태사항
vi, 326 p. ; 23 cm.
ISBN
8930311563
서지주기
참고문헌(p. 312-317), 색인수록
000 00606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325490
005 20100805081306
007 ta
008 050421s2005 ggk b 001c kor
020 ▼a 8930311563
024 3 1 ▼a 9788930311564 ▼d 93350
035 ▼a (KERIS)BIB000009867873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352.140973 ▼2 22
090 ▼a 352.140973 ▼b 2005
100 1 ▼a 남유진 ▼0 AUTH(211009)40300
245 1 0 ▼a 미국 지방자치의 이해 / ▼d 남유진.
260 ▼a 파주 : ▼b 집문당 , ▼c 2005.
300 ▼a vi, 326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12-317),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140973 2005 등록번호 1113984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140973 2005 등록번호 1113984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국은 50개 주에 8만 7천 개의 자치체가 있다. 지방정부의 위상도 우리와는 완전히 다르다. 우리는 헌법에 그 위상이 규정되어 있고, 법인격에 있어 도와 대등한 관계에 있으나, 미국은 철저하게 주에 예속되어 있다. 자치헌장에 그 권한이 정해져 있고, 여차하면 폐치 분합될 수도 있다. 미국 헌법은 연방정부에 속하지 않은 권한은 당연히 주에 귀속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가 권력을 연방정부와 주가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본서는 지방행정에 몸담고 있는 현역 공무원인 저자가 미국의 지방자치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들을 정리한 것으로, 아직은 일천한 우리나라의 지방자치 역사에서 선진사례를 연구하여 시행착오를 줄이고 그동안 지방자치제도를 연구하면서 일본 제도에 너무 치우침으로 인한 폐단을 반성하고자 하는 의미도 담아 보았다.
본서는 지방행정 강의 텍스트나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공무원의 지침서로도 유용하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남유진(지은이)

경상북도 구미에서 태어났다. 선산초등학교, 대구중학교, 경북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행정학 석사), 미국 조지타운대 공공정책대학원(수료),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경영학 박사) 과정을 마쳤다. 제22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하여 경북 청송군수, 내무부장관 비서실장,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국가청렴위 홍보협력국장, 구미시 부시장 등을 역임했다. 2006년에 민선 4기에 이어 5, 6기 구미시장을 지냈다. 경상북도시장군수협의회 회장. 근정포장(1996), 대통령 표창(1989).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휘장(2013). 저서로는 『미국정치와 행정』(공저. 1999, 나남출판), 『미국지방자치의 이해』(2005, 집문당), 『경북아재 남서방 경북 2800리』(2017, 지상사)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ⅲ
제1장 미국 지방자치의 이해
 1. 풀뿌리 민주주의 = 1
 2. 지방자치의 역할 = 5
 3. 미국 지방자치 이해의 중요성 = 11
 4. 주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5
제2장 연방제도하의 주와 지방정부
 1. 연방정부와 주의 관계 = 29
 2. 주와 지방정부의 법적 근거 = 36
 3. 주와 지방정부의 관계 = 48
 4. 주의 위상 강화 = 54
제3장 지방정부 개혁
 1. 공업화의 진전과 이민 증가 = 69
 2. 정치적 머신 = 70
 3. 지방정부 개혁운동 = 72
 4. 지방정부 개혁이 미친 영향 = 75
제4장 지방선거
 1. 선거 = 77
 2. 투표 = 90
 3. 선거자금 = 94
 4. 정당 = 99
제5장 주정부
 1. 주의회 = 107
 2. 주지사 = 139
 3. 주행정부 = 163
제6장 지방정부
 1. 지방정부의 종류 = 173
 2. 지방정부의 정부형태 = 187
 3. 지방의회 = 201
 4. 집행부 = 208
제7장 지방공무원제도
 1. 직업공무원제도 = 217
 2. 지방공무원의 권리와 의무 = 221
 3. 공무원 노동조합 = 222
 4. 지방공무원의 수와 보수 = 228
 5. 지방공무원의 직업만족도 = 237
 6. 지방공무원과 행정집행 = 240
제8장 지방재정
 1. 지방재정의 특징 = 245
 2. 지방세입 징수 = 253
 3. 지방정부 지출 = 282
 4. 지방예산제도 = 285
 5. 지방채 및 복권 = 299
참고문헌 = 312
찾아보기 = 31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