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텔레비전 뉴스의 여성보도 프레임에 관한 연구 : '여성 1호'를 중심으로

텔레비전 뉴스의 여성보도 프레임에 관한 연구 : '여성 1호'를 중심으로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연하 김경희 , 연구 정영희 , 연구
서명 / 저자사항
텔레비전 뉴스의 여성보도 프레임에 관한 연구 : '여성 1호'를 중심으로 / 연구책임자: 조연하 ; 공동연구원: 김경희, 정영희.
발행사항
서울 :   방송위원회 ,   2006.  
형태사항
159 p. : 삽도 ; 26 cm.
총서사항
방송위원회 , 자유 ; 2006-17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803namccc200253 k 4500
001 000045325330
005 20100805081136
007 ta
008 070125s2006 ulka b 000a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70.449/3054 ▼2 22
090 ▼a 070.4493054 ▼b 2006
100 1 ▼a 조연하
245 1 0 ▼a 텔레비전 뉴스의 여성보도 프레임에 관한 연구 : ▼b '여성 1호'를 중심으로 / ▼d 연구책임자: 조연하 ; ▼e 공동연구원: 김경희, ▼e 정영희.
260 ▼a 서울 : ▼b 방송위원회 , ▼c 2006.
300 ▼a 159 p. : ▼b 삽도 ; ▼c 26 cm.
440 0 0 ▼a 방송위원회 , ▼p 자유 ; ▼v 2006-17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본 연구는 방송위원회의 방송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수행한 것임
700 1 ▼a 김경희 , ▼e 연구
700 1 ▼a 정영희 , ▼e 연구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493054 2006 등록번호 1113972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 = 1 
Ⅱ. 문헌연구 = 5 
1. 매스미디어와 여성 = 5 
2. 뉴스 보도에서의 여성묘사 = 7 
3. 언론보도의 프레임 연구 = 11 
Ⅲ. 연구방법 = 17 
1. 분석대상선정 = 17 
2. 내용분석 방법론 = 17 
1) 분석단위 = 17 
2) 분석유목 = 18 
3) 분석 절차와 신뢰도 분석 = 18 
3. 프레임 분석방법 
Ⅳ. ''여성 1호'' 뉴스보도의 내용분석 결과 = 23 
1. 분석대상 = 23 
2. 여성 1호 방송뉴스의 형식적 특성 = 23 
1) 방송 시간대 = 23 
2) 보도 시간 = 24 
3) 기사 유형 = 26 
4) 뉴스의 형태적 구성 = 29 
5) 소결 = 32 
3. 여성 1호 방송뉴스의 내용적 특성 = 34 
1) 뉴스 분야 = 34 
2) 여성 1호의 지위 및 작업 = 36 
3) 뉴스의 정보채널 = 38 
4) 뉴스의 완성도 = 41 
5) 소결 = 43 
4. 여성 1호 방송뉴스의 전달방식의 특성 = 46 
1) 뉴스 보도자(앵커, 기자)의 성 = 46 
(1) 앵커의 성 = 46 
(2) 기자의 성 = 49 
2) 취재원 = 52 
(1) 취재원의 수 = 52 
(2) 인터뷰 = 54 
3) 뉴스의 방향성 = 62 
(1) 헤드라인의 용어적 특성 = 62 
(2) 방향성 = 65 
4) 소결 = 67 
5. 여성 1호의 이미지 = 71 
1) 기술적 이미지 특성화 = 71 
(1) 전체 컷 수 및 여성 1호 컷 수/여성 1호 비율 = 71 
(2) 여성 1호 화면 크기와 횟수 = 72 
(3) 여성 1호 화면 앵글과 방향 = 76 
(4) 여성 1호 화면 카메라 워크 = 81 
(5) 보조자료 = 85 
2) 내용적 이미지 특성화 = 87 
(1) 투사 및 개척자로 특성화 = 88 
(2) 모성적 특성화 = 89 
(3) 화제로 특성화 = 89 
(4) 외부적 이해관계로 특성화 = 90 
(5) 능력자로 특성화 = 90 
(6) 능력불신 특성화 = 91 
(7) 이미지별 상관관계 = 91 
3) 소결 = 92 
Ⅴ. ''여성 1호'' 뉴스보도의 프레임 분석 결과 = 96 
1. 형식면에서 본 프레임 분석 = 96 
1) 여성 1호 뉴스에 나타난 사건중심적/주제중심적 프레임 분석 = 96 
2) 뉴스의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본 여성 1호 뉴스에 대한 분석 = 99 
2. 내용면에서 본 프레임 분석 = 101 
1) ''여성 1호'' 뉴스의 어휘 분석 = 101 
(1) 뉴스의 제목 분석 = 101 
(2) ''여성 1호''에 대한 수식어 분석 = 105 
2) 내용면에서 본 프레임 유형 = 108 
(1) 노력성과 프레임 = 108 
(2) 여성유리 프레임 = 110 
(3) 여성성부각 프레임 = 111 
(4) 교두보역할프레임 = 113 
(5) 능력인정 프레임 = 114 
3. ''여성 1호'' 보도의 사례연구 결과 = 119 
1) 형식적 프레임 = 119 
2) 내용적 프레임 = 120 
(1) ''첫 여성 총리''를 묘사하는 수식어 = 120 
(2) 내용적 프레임 = 122 
3) 메르켈 총리와의 비교 - 내용적 프레임 = 127 
4) 소결 = 129 
Ⅵ. 논의 및 결론 = 131 
참고문헌 = 137 
부록 = 144 
1. 코딩지 = 144 
2. 코딩 가이드 = 151 
3. 분석대상 뉴스 아이템 = 157

관련분야 신착자료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