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1
Ⅱ. 문헌연구 = 5
1. 매스미디어와 여성 = 5
2. 뉴스 보도에서의 여성묘사 = 7
3. 언론보도의 프레임 연구 = 11
Ⅲ. 연구방법 = 17
1. 분석대상선정 = 17
2. 내용분석 방법론 = 17
1) 분석단위 = 17
2) 분석유목 = 18
3) 분석 절차와 신뢰도 분석 = 18
3. 프레임 분석방법
Ⅳ. ''여성 1호'' 뉴스보도의 내용분석 결과 = 23
1. 분석대상 = 23
2. 여성 1호 방송뉴스의 형식적 특성 = 23
1) 방송 시간대 = 23
2) 보도 시간 = 24
3) 기사 유형 = 26
4) 뉴스의 형태적 구성 = 29
5) 소결 = 32
3. 여성 1호 방송뉴스의 내용적 특성 = 34
1) 뉴스 분야 = 34
2) 여성 1호의 지위 및 작업 = 36
3) 뉴스의 정보채널 = 38
4) 뉴스의 완성도 = 41
5) 소결 = 43
4. 여성 1호 방송뉴스의 전달방식의 특성 = 46
1) 뉴스 보도자(앵커, 기자)의 성 = 46
(1) 앵커의 성 = 46
(2) 기자의 성 = 49
2) 취재원 = 52
(1) 취재원의 수 = 52
(2) 인터뷰 = 54
3) 뉴스의 방향성 = 62
(1) 헤드라인의 용어적 특성 = 62
(2) 방향성 = 65
4) 소결 = 67
5. 여성 1호의 이미지 = 71
1) 기술적 이미지 특성화 = 71
(1) 전체 컷 수 및 여성 1호 컷 수/여성 1호 비율 = 71
(2) 여성 1호 화면 크기와 횟수 = 72
(3) 여성 1호 화면 앵글과 방향 = 76
(4) 여성 1호 화면 카메라 워크 = 81
(5) 보조자료 = 85
2) 내용적 이미지 특성화 = 87
(1) 투사 및 개척자로 특성화 = 88
(2) 모성적 특성화 = 89
(3) 화제로 특성화 = 89
(4) 외부적 이해관계로 특성화 = 90
(5) 능력자로 특성화 = 90
(6) 능력불신 특성화 = 91
(7) 이미지별 상관관계 = 91
3) 소결 = 92
Ⅴ. ''여성 1호'' 뉴스보도의 프레임 분석 결과 = 96
1. 형식면에서 본 프레임 분석 = 96
1) 여성 1호 뉴스에 나타난 사건중심적/주제중심적 프레임 분석 = 96
2) 뉴스의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본 여성 1호 뉴스에 대한 분석 = 99
2. 내용면에서 본 프레임 분석 = 101
1) ''여성 1호'' 뉴스의 어휘 분석 = 101
(1) 뉴스의 제목 분석 = 101
(2) ''여성 1호''에 대한 수식어 분석 = 105
2) 내용면에서 본 프레임 유형 = 108
(1) 노력성과 프레임 = 108
(2) 여성유리 프레임 = 110
(3) 여성성부각 프레임 = 111
(4) 교두보역할프레임 = 113
(5) 능력인정 프레임 = 114
3. ''여성 1호'' 보도의 사례연구 결과 = 119
1) 형식적 프레임 = 119
2) 내용적 프레임 = 120
(1) ''첫 여성 총리''를 묘사하는 수식어 = 120
(2) 내용적 프레임 = 122
3) 메르켈 총리와의 비교 - 내용적 프레임 = 127
4) 소결 = 129
Ⅵ. 논의 및 결론 = 131
참고문헌 = 137
부록 = 144
1. 코딩지 = 144
2. 코딩 가이드 = 151
3. 분석대상 뉴스 아이템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