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國譯)下學指南

(國譯)下學指南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안정복 安鼎福 이채구 李采求 , 역
서명 / 저자사항
(國譯)下學指南 / 安鼎福 著 ; 李采求 譯.
발행사항
서울 :   장서원 ,   2006.  
형태사항
481, 95 p. ; 26 cm.
ISBN
8991273408
일반주기
권말에 원본축소영인수록  
000 00651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324570
005 20100805080330
007 ta
008 060220s2006 ulk 000c kor
020 ▼a 8991273408
024 3 1 ▼a 9788991273405 ▼d 93370
035 ▼a (KERIS)BIB000010333706
040 ▼a 211046 ▼d 211009
082 0 4 ▼a 370.1 ▼a 181.119 ▼2 22
090 ▼a 370.1 ▼b 2006r
100 1 ▼a 안정복 ▼g 安鼎福 ▼0 AUTH(211009)90473
245 2 0 ▼a (國譯)下學指南 / ▼d 安鼎福 著 ; ▼e 李采求 譯.
260 ▼a 서울 : ▼b 장서원 , ▼c 2006.
300 ▼a 481, 95 p. ; ▼c 26 cm.
500 ▼a 권말에 원본축소영인수록
700 1 ▼a 이채구 ▼g 李采求 , ▼e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 2006r 등록번호 1113971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 2006r 등록번호 1113971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안정복(지은이)

조선 후기의 역사학자, 실학자이다. 본관은 광주(廣州), 호는 순암(順菴), 자는 백순(百順)이다. 25세에 경기도 광주에 정착하여 ‘순암’이라는 이름의 거처를 만들고 그곳에서 학문에 전념했다. 35세에 성호 이익을 찾아가 학문 교류를 하여 큰 영향을 받았다. 40, 50대를 학문과 저술 활동으로 보내며, 『동사강목(東史綱目)』, 『열조통기(列朝通紀)』, 『잡동산이(雜同散異)』, 『임관정요(臨官政要)』 등 방대한 실학적 저술을 남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著者序文(저자서문)
譯者序文(역자서문)
일러두기
首券
 日用篇(일용편) 날마다 해야 할 일 = 23
  夙興章(숙흥장)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해야 할 일 = 23
  日間章(일간장) 낮 동안에 해야 할 일 = 35
  夜寐章(야매장) 저녁부터 밤에 자기 전까지 해야 할 일 = 49
上卷
 第一 讀書(제일 독서) 독서에 관하여 = 64
  讀書之義章(독서지의장) 독서의 참뜻 = 64
  讀書之序章(독서지서장) 독서를 하는 순서 = 65
  讀書之法章(독서지법장) 독서를 하는 방법 = 69
  讀小學四書章(독소학사서장) 소학과 사서를 읽는 요령 = 81
  讀諸經章(독제경장) 모든 경서를 읽는 요령 = 87
  讀性理諸書章(독성리제서장) 성리학에 관한 글을 읽는 요령 = 91
  讀史章(독사장) 역사책을 읽는 요령 = 95
  尙論章(상론장) 옛 사람의 언행이나 인격을 논하는 태도 = 98
  附 寫字章(부 사자장) 문자 즉 글씨를 쓰는 요령 = 100
  附 作文(부 작문) 글을 짓는 요령과 태도 = 106
 第二 爲學(제이 위학) 학문을 하는 일에 관하여 = 114
  總論章(총론장) 독서에 관한 총론 = 114
  立志章(입지장) 뜻을 세우는 일의 중요성 = 118
  變化氣質章(변화기질장) 기력과 체질을 변화시키는 일 = 122
  窮理章(궁리장) 사리를 깊이 연구하는 일 = 126
  力行章(역행장) 힘써 행함 즉 노력하는 일 = 137
  存養章(존양장) 착한 성품을 기르는 일 = 139
  省察章(성찰장) 반성하여 살피는 일 = 146
  剋治章(극치장) 사리사욕을 이기고 잡념을 물리치는 일 = 153
  敦篤章(돈독장) 인정을 두텁게 하는 일 = 158
  論敬章(논경장) 공경에 관하여 = 162
  論誠章(논성장) 정성에 관하여 = 172
  異端章(이단장) 정통이 아닌 즉 옳지 않은 학문에 관하여 = 174
 第三 心術(제3 심술) 마음씨를 쓰는 법 = 182
  誠意章(성의장) 마음을 참되게 하는 방법 = 182
  正心章(정심장) 마음을 바르게 하는 방법 = 191
  養氣章(양기장) 호연지기를 기르는 방법 = 194
  操存章(조존장) 공경심으로 착한 성품을 기르는 방법 = 199
  喜怒章(희로장) 기쁨 노여움을 조절하는 방법 = 207
  逸慾章(일욕장) 욕심을 억제하는 방법 = 210
  器量章(기량장) 재능과 덕을 기르는 방법 = 220
  誠實章(성실장) 정성스럽고 진실한 마음을 기르는 방법 = 226
下卷
 第四 威儀(제4 위의) 예의에 관한 자세한 규칙 = 230
  總論章(총론장) 예의를 지키는 일에 관한 총론 = 230
  敬身章(경신장) 몸가짐을 공경스럽게 하는 일 = 234
  正容章(정용장) 용모를 단정하게 하는 일 = 241
  謹言章(근언장) 말을 삼가 하는 일 = 255
  衣服章(의복장) 옷을 단정하고 검소하게 입는 일 = 266
  飮食章(음식장) 음식을 먹을 때 지켜야 할 도리 = 269
 第五 正家(제오 정가) 가정을 바르게 다스리는 법 = 274
  總論章(총론장) 가정을 바르게 하는 일에 관한 총론 = 274
  孝敬章(효경장) 부모를 잘 섬기고 공경하는 일 = 277
  居喪章(거상장) 부모의 상을 치르는 일 = 288
  祭祀章(제사장) 부모와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 = 291
  友愛章(우애장) 형제간의 애정에 관하여 = 297
  夫婦章(부부장) 부부간에 지켜야 할 도리 = 299
  敎養章(교양장) 자녀들을 바르게 가르쳐 기르는 일 = 302
  冠禮章(관례장) 남자 20세가 되어 갓을 쓰고 성인이 되는 의식 = 305
  婚禮章(혼례장) 혼인의 예절에 관하여 = 306
  敦睦章(돈목장) 서로 사이가 두텁고 화목하게 되는 일 = 310
  禦下章(어하장) 아랫사람을 거느려서 바른길로 나아가게 하는 일 = 314
  治産章(치산장) 재산을 관리하고 처분하는 일 = 318
  儉約章(검약장) 검소하게 절약하는 일 = 324
 第六 處己(제육 처기) 자기 몸을 처신하는 도리 = 329
  持身章(지신장) 몸가짐에 관하여 = 329
  處事章(처사장) 일을 처리하는 방법 = 336
  操守章(조수장) 지조를 지키는 일 = 344
  義命章(의명장) 천명을 의롭게 지키는 일 = 352
  改過章(개과장) 잘못을 고치는 일 = 361
  辭受取與章(사수취여장) 사양하고 받고 취득하고 주는 일 = 367
  出入往來章(출입왕래장) 나가고 들어오고 가고 오는 일 = 373
 第七 接人(제칠 접인) 사람을 접할 때 지켜야 할 도리 = 381
  長幼章(장유장) 손위 어른과 손아래 어린사람을 대하는 도리 = 381
  師友章(사우장) 스승과 벗을 대하는 도리 = 390
  接賓章(접빈장) 손님을 대접하는 도리 = 407
  待人章(대인장) 다른 사람을 대접하는 도리 = 411
  篤義章(독의장) 의로움를 두텁게 하는 도리 = 422
  處世章(처세장) 세상을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도리 = 426
  居鄕章(거향장) 고향에 살면서 고향 사람에게 지켜야 할 도리 = 430
 第八 出處(제팔 출처) 관직에 나갔을 때와 물러나 집에 있을 때 지켜야 할 도리 = 436
  總論章(총론장) 관직생활을 할 때와 물러났을 때의 도리에 관한 총론 = 436
  事君章(사군장) 임금을 섬기는 도리 = 442
  治道章(치도장) 올바르게 다스리는 방법 = 455
  居官章(거관장) 벼슬살이를 할 때 지켜야 할 도리 = 472
順庵著述書目(순암저술서목) = 48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