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35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324231 | |
005 | 20100805075958 | |
007 | ta | |
008 | 060405s2006 ulka b 001c kor | |
020 | ▼a 8982879536 | |
024 | 3 1 | ▼a 9788982879531 ▼d 93180 |
035 | ▼a (KERIS)BIB000010344403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155.2 ▼2 22 |
090 | ▼a 155.2 ▼b 2006h | |
100 | 1 | ▼a 박아청 ▼0 AUTH(211009)130148 |
245 | 1 0 | ▼a 성격발달심리의 이해 / ▼d 박아청 지음. |
260 |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6. | |
300 | ▼a 566 p. : ▼b 삽도 ; ▼c 27 cm. | |
500 | ▼a 부록: 성격심리학 용어해설 | |
504 | ▼a 참고문헌(p. 515-527),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2 2006h | 등록번호 1113973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2 2006h | 등록번호 1113973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1부에서는 성격의 정의로부터 성격의 구조와 속성을 논의하고 성격을 진단하는 방법을 다룸으로써 성격에 대한 기본적 견해를 제시하려고 하였다
제2부에서는 성격에대한 성향적 관점을 논의하여 성격에 대한 접근에대한 여러논점을 알아보았다.
제3부는 성격에대한 여러가지 이론을 살펴보는 가운데 심층적인 면을 강조하는 접근과 표출되는 행동에 관심을 두는 학습이론적접근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제4부에서는 성격의 발달을 평생주기론적 입장에서 고찰하여 성격의 다양한 측면의 발달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5부에서는 성격발달에 대한 중요한 몇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그리고 성격심리학의 궁극적 목표인 건강한 성격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성격에 대한 기본적 이해 제1장 성격이란 무엇인가? Ⅰ. 구성개념으로서의 성격 = 13 Ⅱ. 성격의 유형론적 접근과 특성론적 접근 = 17 Ⅲ. 성격의 정상과 이상(비정상) = 25 Ⅳ. 성격발달을 규정하는 것들 = 37 제2장 성격을 어떻게 진단하는가? Ⅰ. 성격진단(assessment) = 43 Ⅱ. 성격검사의 종류 및 실시방식 = 44 제3장 성격은 변하지 않는 것인가? Ⅰ. 성격의 구조 = 67 Ⅱ. 성격의 일관성 = 72 Ⅲ. 성격의 상호작용론 = 76 제2부 성격에 대한 성향적 관점 제4장 성격유형론적 접근 Ⅰ. 성격유형론의 대두 = 83 Ⅱ. 몇 가지 성격유형론 = 88 Ⅲ. 최근의 유형론 연구 = 110 제5장 성격특성론의 의미 Ⅰ. 성격특성론의 특징 = 113 Ⅱ. 몇 가지 성격특성론 = 119 Ⅲ. 주요 특성의 5대 요인 모형 = 131 제6장 성격에 대한 상황주의적 접근 Ⅰ. 사회적 인지이론과 성격특성 = 141 Ⅱ. 상황과 성격과 상호작용 모형 = 144 제3부 성격의 여러 이론들 제7장 마음으로의 접근 Ⅰ. 심층분석 = 151 Ⅱ. 프로이트의 심리ㆍ성적 발달이론 = 160 Ⅲ. 마음의 전체성과 개성화의 과정 = 164 Ⅳ. 대상관계와 자립의 과정 = 166 Ⅴ. 정신분석에서의 치료패러다임 변화 = 171 제8장 자기의식과 자기개념 Ⅰ. 자기에 대한 이론 = 175 Ⅱ. 자기의식의 발달 = 184 Ⅲ. 자기평가와 자존심 = 195 Ⅳ. 자기개념과 적응 = 204 제9장 학습에 의한 행동습관의 습득 Ⅰ. 행동의 연구 = 211 Ⅱ. 조건화 이론 = 216 제4부 평생주기와 성격의 발달 제10장 애착관계의 형성 Ⅰ. 애착의 기원과 기능 = 229 Ⅱ. 아동양육의 기술 = 242 Ⅲ. 육아방식과 성격형성 = 245 제11장 아동ㆍ청소년기의 사회성 발달 Ⅰ. 자아와 사회적 감정의 발달 = 247 Ⅱ. 사회성의 발달 = 261 Ⅲ. 언어의 발달 = 284 Ⅳ. 성역할 발달 = 287 Ⅴ. 도덕성 발달 = 291 Ⅵ. 양심의 발달 = 294 Ⅶ. 훈육에 관한 연구 = 295 제12장 평생주기와 정체감 발달 Ⅰ. 평생주기와 에릭슨의 이론 = 297 Ⅱ. 에릭슨의 정체감 이론 = 312 Ⅲ. 정체감 형성과정의 모습 = 325 Ⅳ. 성 정체감의 발달 = 338 제13장 성인기의 성격발달 Ⅰ. 평생주기의 변화와 평생발달적 관점 = 343 Ⅱ. 중년기의 성격 = 346 Ⅲ. 중년기 변화의 특징 = 361 제14장 장년기ㆍ노령기의 성격특성 Ⅰ. 장년기 성격특성의 변화 = 367 Ⅱ. 노령기 성격특성의 변화 = 385 Ⅲ. 노령기 성격유형과 적응 = 391 Ⅳ. 장년기ㆍ노령기의 성격병리 = 395 제5부 성격발달의 여러 주제들 제15장 문화와 성격과의 관련 Ⅰ. 문화인류학의 공헌 = 409 Ⅱ. 문화와 인간관계 = 414 Ⅲ. 타문화 이해와 타문화 적응 = 419 Ⅳ. 문화와 사회적 정체감 = 427 제16장 가족과 성격형성 Ⅰ. 가족이란? = 437 Ⅱ. 가족의 평생발달과정 = 441 Ⅲ. 사회체계의 일부로서의 가족 = 456 제17장 스트레스와 성격 변용 Ⅰ. 스트레스 = 465 Ⅱ. 성격 변용 = 476 Ⅲ. 성격 변용의 예 = 481 제18장 건강한 성격자의 모습 Ⅰ. 성격에서 '정상'의 의미 = 491 Ⅱ. 건강한 성격자의 행동특성 = 502 현대, 마음세계를 개척한 사람들 1. 오토 컨버그 = 33 2. 헨리 알렉산더 머레이 = 52 3. 고든 윌리아드 올포트 = 120 4. 지그문트 프로이트 = 152 5. 알프레드 아들러 = 157 6. 도날드 윈니코트 = 162 7. 메라니 클라인 = 167 8. 도날드 페아방 = 169 9. 윌프레드 루프렛트 삐옹 = 172 10. 르네 스피츠 = 234 11. 에릭 H. 에릭슨 = 300 12. 카렌 호나이 = 374 13. 아브라함 매슬로우 = 484 성격심리의 세계 1. 인간행동에 대한 관심과 성격유형의 추출 = 18 2. 성격검사에서 평가적 문항의 회피 = 56 3. 반특성론 = 114 4. 거울 속의 자기 = 176 5. 프로테우스적 인간 = 190 6. 자아강도(ego strength) = 249 7. 연애의 진행과 성격 요인 간의 관계 = 279 8. 남녀 성차(남자다움ㆍ여자다움) = 340 9. 이순신 장군의 성격연구 = 381 10. 노인의 성격 = 398 11. 신생아에 보이는 개인차 = 458 12. 인간의 잔학성 ① = 472 13. 인간의 잔학성 ② = 473 14. 인간의 수치심 = 493 15. 의미에의 의지(the will to meaning) = 511 인간성격에 대한 단상 1. 거울 속의 자기 = 22 2. 샐러드와 같은 인간관계 = 28 3. 신뢰의 메커니즘 = 46 4. 성행동의 대뇌화 = 49 5. 현대인의 자아분열 = 69 6. 진정한 '만남' = 91 7. '나'에 대한 관심 = 179 8. 마음의 눈 = 188 9. 대인관계의 영원한 딜레마 = 194 10. 자기의식과 자타의식 = 197 11. 영광욕(榮光浴) = 201 12. 자기방어적 귀속 = 203 13.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 230 14. 상처와 신뢰 = 243 15. 경쟁과 질투심 = 268 16. 이성을 가장한 감정 = 307 17. 증오심 = 321 18. 신앙에의 보람 = 336 19. 인생의 가능성과 한계 = 362 20. 때에 맞춘 삶 = 389 21. 자폐적 세계로부터 탈피 = 402 22. 아이와 부모 = 440 23. 어린애와 어른의 차이 = 449 24. 고독의 세계 = 467 25. 고통의 의미 = 510 참고문헌 = 515 [부록] 성격심리학 용어해설 = 529 [찾아보기] 주제 = 553 인명 = 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