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11c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45324221 | |
005 | 20100805075943 | |
007 | ta | |
008 | 061215s2006 ulka 000c kor | |
020 | ▼a 8995592826 | |
024 | 3 1 | ▼a 9788995592823 ▼d 03370 |
035 | ▼a (KERIS)BIB000010764654 | |
040 | ▼a 211062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375 ▼2 22 |
090 | ▼a 375 ▼b 2006f | |
100 | 1 | ▼a 左藤學 , ▼d 1951- |
245 | 1 0 | ▼a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 ▼d 사토마나부 지음 ; ▼e 손우정 옮김. |
246 | 1 3 | ▼a 배움이 있는 수업만들기 |
246 | 1 9 | ▼a 授業を變える學校が變わる : 總合學習からカリキュラムの創造へ. |
260 | ▼a 서울 : ▼b 에듀케어 , ▼c 2006. | |
300 | ▼a 234 p. : ▼b 삽도 ; ▼c 19 cm. | |
700 | 1 | ▼a 손우정 , ▼e 역 |
900 | 1 1 | ▼a Sato^, Manabu , ▼d 1951-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6f | 등록번호 1113980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6f | 등록번호 1113980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사토 마나부(지은이)
1951년 일본에서 태어나 1989년 도쿄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에(三重)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도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연구과 교수, 가쿠슈인(?習院)대학 교수를 지냈고, 현재 가쿠슈인 대학 특임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도쿄대학교 교육학연구과 과장과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뉴욕대학교 객원교수, 베를린자유대학교 초빙교수, 일본교육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미국교육학회AERA 명예회원이기도 하다. 일본 내 수천 개의 학교, 해외 수백 개의 학교를 방문하여 배움의 공동체 학교개혁의 연구와 실천을 쌓고 있다. 저서로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교사의 배움』,『사토 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교사교육 개혁의 그랜드 디자인』,『학교개혁의 철학』,『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교육방법학』,『수업연구입문』,『교사의 도전』,『학교의 도전』등이 있다. 일본의 교육학자 사토 마나부 교수는 오랜 세월 동안 미국의 진보주의교육에 있어 단원학습의 역사 및 일본의 학교 커리큘럼 개혁에 관한 연구, 배움에 관한 연구, 교사의 동료성에 관한 연구 등을 해왔다. 1980년대에 일본을 대표하는 교육학자 이나가키 타다히코와 함께 ‘수업연구’와 ‘교사연구’를 진행했으며 1990년대에는 심리학자 사에키 유타카와 ‘배움?び’이라는 단어를 교육연구 및 교육론에 도입할 것을 제창했다. 사토는 ‘배움’을 사물(대상세계)과의 만남과 대화에 따른 활동(action), 타자와의 만남과 대화에 따른 협동(collaboration), 자기 자신과의 만남과 대화에 따른 반성(reflection)이 삼위일체가 되어 수행되는 ‘의미와 관계의 재구성(re-contextualization)’의 영속적인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는 ‘배움’을 핵심으로 하는 학교개혁의 이념으로 ‘배움의 공동체’를 제창하고 ‘배움의 공동체 만들기를 통한 학교개혁’을 일본 국내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 전파했다. 사토에게 ‘배움의 공동체’는 학교의 사명과 책임 및 교실의 공개를 요청하는 공공철학(公共哲?), 다양한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주의 철학, 수업과 배움은 끊이지 않고 최상의 것을 추구해야 한다는 탁월성의 철학이라는 세 가지를 철학을 근본으로 정의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수업개혁, 수업검토회, 보호자 및 시민의 학습참가를 ‘배움’의 정의에 따라 전개할 것을 주장한다. 사토가 주장하는 ‘배움’과 ‘배움의 공동체’는 존 듀이(John Dewey)의 사상에 기반을 둔 공공성과 공화제 민주주의의 이론, 레프 비고츠키(Lev Semenovich Vygotsky)의 사상에 기반을 둔 사회적 구성주의의 학습론, 넬 라딩스(Nel Noddings)의 케어링에서 영감을 얻은 수용적 대화 개념을 주요배경으로 삼고 있다.
손우정(옮긴이)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사토 마나부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배움의공동체연구회’ 대표를 맡고 있다. 2000년부터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 교실의 수업을 관찰하며 교사들과 함께 수업을 배우고, 아이들을 배우는 일을 해오고 있다. 저서로 〈배움의 공동체〉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교육개혁을 디자인한다〉 〈사토 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 등이 있다.

목차
한글판 서문/프롤로그 1. 교실풍경-배움의 창조로 (1) 풍경으로서의 교실 (2) 거짓 주체성이 만들어내느 것 (3) ''대응''을 중심으로 한 배움과 수업 (4) ''대응''하는 교사의 신체와 말 (5) 배움을 중심으로 한 수업 (6) 개와 개의 조정 (7) 서로 배우는 교실의 창조 2. 수업이 바뀐다-학교가 바뀐다 (1) 학교를 안에서부터 바꾸기 (2) 교실을 서로 열기 (3) 교내연수의 세 가지 원칙 (4) 학교조직을 단순화 하기 (5) 공개연구회를 개최하기 (6) 학교를 지역에 개방하기 3. 교육과정을 디자인한다 (1)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2) ''배움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3) ''총합학습''은 왜 혼란스러운가? (4) 총합학습과 교과학습 (5) 총합학습의 탄생 (6) 총합학습의 즐거움 (7) 총합학습을 창조하는 교사 (8) 시민성 교육과 배우는 방식을 배운다 (9) 정답이 없는 배움 (10) 현실로부터 배운다 (11) ''자주성,주체성''이라는 기만 (12) ''공부''로부터 ''배움''으로의 전환 (13) 활동적이고 협동적인 배움 (14) 협동적 탐구를 조직한다 (15) 대화를 통해 깊어지느 배움 (16) 학교를 기초로 한 교육과정 만들기 (17) 총합학습으로부터 교육과정 창조로 (18) ''배움의 공동체''로서의 학교 4. 학교개혁의 도전-소,중학교의 실천 (1) 코오리야마시 긴토소학교 (2) 오지야시 오지야소학교 (3) 후쿠이대학 부속중학교 (4) 나가오카시 미나미중학교 (5) 치가사키시 하마노고소학교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