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번역사 인증제 기본모형 개발 연구

번역사 인증제 기본모형 개발 연구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혜주 곽성희 , 연구 이연향 , 연구 정연일 , 연구 박소연 , 연구
단체저자명
한국문학번역원
서명 / 저자사항
번역사 인증제 기본모형 개발 연구 / 책임연구원: 박혜주 ; 공동연구원: 곽성희 [외].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학번역원 ,   2006.  
형태사항
171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부록수록  
공동연구원: 이연향, 정연일, 박소연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19-120
000 00839namccc200289 k 4500
001 000045322392
005 20100805074330
007 ta
008 070115s2006 ulka b 000a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18.02 ▼2 22
090 ▼a 418.02 ▼b 2006i
100 1 ▼a 박혜주
245 1 0 ▼a 번역사 인증제 기본모형 개발 연구 / ▼d 책임연구원: 박혜주 ; ▼e 공동연구원: 곽성희 [외].
260 ▼a 서울 : ▼b 한국문학번역원 , ▼c 2006.
300 ▼a 171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수록
500 ▼a 공동연구원: 이연향, 정연일, 박소연
504 ▼a 참고문헌: p. 119-120
700 1 ▼a 곽성희 , ▼e 연구
700 1 ▼a 이연향 , ▼e 연구
700 1 ▼a 정연일 , ▼e 연구
700 1 ▼a 박소연 , ▼e 연구
710 ▼a 한국문학번역원
910 ▼a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2 2006i 등록번호 1113972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논문개요 5


Ⅰ. 서론 7


Ⅱ. 모형개발과 관련된 기초적 논의 10


1. 번역사 인증시험의 성격 11


1.1. 번역사 인증시험의 목표 11


1.2. 인증대상 집단의 범주 12


1.3. 번역대상물의 범주 13


2. 시험의 형식 14


2.1. 등급제/비등급제 14


2.2. 문제유형과 형식 20


2.3. 분야 22


2.4. 언어방향 23


3. 출제 및 평가 23


3.1. 평가내용과 평가틀 23


3.2. 출제 및 평가위원 33


3.3. 시험 분량 및 시간 34


3.4. 합격점 34


3.5. 채점방식 35


4. 기타 시험 운영관련 36


Ⅲ. 모의시험의 구성 37


1. 시행조건 38


2. 시험의 구성 39


2.1 영역별 평가시험 39


2.2. 주관식 종합 평가시험 49


3. 설문조사 52


Ⅳ. 모의시험 결과 분석 58


1. 영역별 평가시험 분석 59


1.1. 출발어 해독능력 평가시험 59


1.2. 도착어 생산능력 평가시험 64


1.3. 번역중재능력 평가시험 68


2. 주관식 종합 평가시험 분석 75


3. 종합 분석 93


4. 설문조사 분석 102


Ⅴ. 결론 112


Abstract 116


참고문헌 118


부록 120


부록 1. 출발어 해독능력 평가시험 121


부록 2. 국가 공인 번역사 인증시험 실시에 대한 의견조사 145


부록 3. 모의시험 응시자의 각 평가시험별 점수 150


부록 4. 각 평가시험의 단순빈도 분포표 153


부록 5. 그룹별 설문조사 통계분석표 161


판권기 170


[표 1] 출발어 해독능력 문항 구성 41


[표 2] 도착어 생산능력 평가시험 문항 구성 44


[표 3] 기존의 번역사 인증시험의 인지도 및 문제점 측정(문1~문3) 54


[표 4] 국가 공인 인증시험 찬반 여부와 그 이유 및 방향성, 향후 응시 의향 측정(문4~문8) 54


[표 5]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속성 및 번역 제반환경 측정(Q1~Q12, 문9) 56


[표 6] 각 평가시험에 관한 평가 측정 57


[표 7] 출발어 해독능력 평가시험에 대한 설문 60


[표 8] 점수 현황 61


[표 9] 점수 분포 61


[표 10] 그룹별 점수 분포 62


[표 11] 문항유형별 점수 현황 63


[표 12] 문항유형별 점수 현황(100점 환산) 63


[표 13] 분야별 점수 현황 64


[표 14] 도착어 생산능력 평가시험에 대한 설문 65


[표 15] 점수 현황 66


[표 16] 점수 분포 66


[표 17] 그룹별 점수 분포 66


[표 18] 평가범주별 점수 현황 67


[표 19] 평가범주별 점수 현황(100점 환산) 68


[표 20] 번역중재능력 평가시험에 대한 설문 71


[표 21] 점수 현황 73


[표 22] 점수 분포 73


[표 23] 그룹별 점수 현황 73


[표 24] 그룹별 점수 분포(100점 환산) 74


[표 25] 문항별 점수 현황 75


[표 26] 평가범주 76


[표 27] 배점방식 76


[표 28] 주관식 1번 채점자의 오류 배점 기준 84


[표 29] 주관식 종합 평가시험에 대한 설문 86


[표 30] 점수 현황 88


[표 31] 점수 분포 88


[표 32] 그룹별 점수 분포 - 전체 90


[표 33] 그룹별 점수 분포 - 1번 문항 90


[표 34] 그룹별 점수 분포 - 2번 문항 91


[표 35] 점수 현황 - 전체 92


[표 36] 점수 현황 - 1번 문항 92


[표 37] 점수 현황 - 2번 문항 93


[표 38] 모의시험에 대한 응시자 의견 94


[표 39] 평가영역별 점수 현황 97


[표 40] 평가영역별 점수 분포 98


[표 41] 그룹별 ''영역별 평가시험'' 점수 분포 98


[표 42] 그룹별 최종 점수 분포 98


[표 43] 각 평가영역 간의 상관관계 100


[표 44] ''영역별 평가시험''과 주관식 종합 평가시험과의 상관관계 101


[표 45] 번역사 인증시험 인지도(문1) 및 민간 번역능력 평가시험 응시 경험(문2) 102


[표 46] 민간 번역능력 평가시험의 문제점(문3) 103


[표 47] 국가 공인 번역사 인증시험 시행에 대한 찬반 여부(문4) 104


[표 48] 국가 공인 번역사 인증시험 찬반 이유(문5,6) 및 방향성(문7) 105


[표 49] 국가 공인 번역사 인증시험 응시 의향(문8) 106


[표 50] 그룹별 국가 공인 번역사 인증시험 응시 의향(문8) 106


[표 51] 모의시험 응시자의 인구/사회학적 속성(Q1~Q5) 107


[표 52] 모의시험 응시자의 번역 제반환경(Q8~Q12, 문9) 108


[표 53] 그룹별 응답자 속성 및 번역 제반환경(Q1~Q12, 문9) 11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