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45namccc200289 k 4500 | |
001 | 000045320777 | |
005 | 20100805071900 | |
007 | ta | |
008 | 070108s2006 ulkac b 000a kor | |
020 | ▼a 8992380003: ▼c \12000 | |
024 | 3 0 | ▼a 9788992380003 ▼d 03680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50 | 1 4 | ▼a PN1995 ▼b .P53 2006 |
082 | 0 4 | ▼a 791.43/01 ▼2 22 |
090 | ▼a 791.4301 ▼b 2006a | |
100 | 1 | ▼a 피종호 ▼0 AUTH(211009)94999 |
245 | 1 0 | ▼a 모더니즘의 영화미학 = ▼x Moderne Filmasthetik / ▼d 피종호 지음. |
250 | ▼a 초판. | |
260 | ▼a 서울 : ▼b jNBook (제이앤북) , ▼c 2006. | |
300 | ▼a 206 p. : ▼b 삽도, 초상화 ; ▼c 22 cm. | |
504 | ▼a 참고문헌: p. 204-206 | |
650 | 0 | ▼a Motion pictures ▼x Aesthetics. |
650 | 0 | ▼a Modernism (Aesthetics) |
900 | 1 1 | ▼a P`i, Chong-ho |
940 | ▼a Modonijum ui yonghwa mihak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6a | 등록번호 1113961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6a | 등록번호 11139613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8-10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791.4301 2006a | 등록번호 1211375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791.4301 2006a | 등록번호 1211375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6a | 등록번호 1113961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6a | 등록번호 11139613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8-10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791.4301 2006a | 등록번호 1211375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791.4301 2006a | 등록번호 1211375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문화에서 시각문화로의 전환기에서 모더니즘 영화는, 그 당시 주도적인 예술형식을 이끌었던 문학이나 연극과 경쟁할 수 있는 새로운 예술의 패러다임을 형성하며 이미지 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러한 모더니즘시대의 영화에 대해 20세기의 위대한 사상가들이 가졌던 비판적.미학적 시각을 소개한다.
벤야민( Walter Benjamin)의 이미지 미학, 아도르노(T.W. Adorno)의 영화의 상업자본과 결탁이라는 이데올로기 비판, 그리고 크라카우어(Siegfired Krakauer)의 네오리얼리즘 영화미학을, '모더니즘'이라는 큰 맥락 안에서 살펴보았다. 더불어 그들간의 유기적인 상호연관성을 밝히고자 했다. 본문 이해를 돕기 위해 발터 벤야민의 '채플린에 대한 회상', 크라카우어의 '대중의 장식', 아도르노의 '영화투시화' 전문 텍스트를 번역하여 첨부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피종호(지은이)
서울대학교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쾰른대학교 철학부 독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 객원교수, 독일 바이로이트대학 DAAD 초청교수, 한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및 미디어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카프카학회 회장, 한국미디어문화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학술정보관장, 한양대학교 독문학과 및 대학원 대중문화/시나리오 협동과정 교수, 한국독일어문학회 회장, 사립대학도서관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영상문화시대에 따른 인문학적 대응전략으로서의 이미지 연구』(공저) 『유럽영화예술』(공저) 『몸의 위기』(공저) 『해체미학』(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디지털미디어와 예술의 확장』(공저/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모더니즘의 영화미학』 『영화와 탈신화』(공저) 『문학의 탈경계와 상호예술성』(공저/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미학』 『동독 영화 ― 생성과 붕괴, 그리고 영향사』 등이 있고, 역서로 『시몬 마샤르의 환상』 『릴케 산문집』 『헤세의 이야기꾼』 『헤세의 환상단편집』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아도르노의 영화비판」 「크라카우어의 영화미학」 「벤야민의 매체이론」 「예술형식의 상호매체성」 「니체의 신화와 예술이미지」 「후기구조주의의 웃음미학」 「파스빈더의 영화와 혼합된 매체현실」 「다다이즘의 추상적 해체예술의 이미지」 「영화의 디스포지티브와 자기반영성」 「디지털문학의 유형」 「사이버네틱스, 사이보그, 사이버페미니즘」 「사이보그영화와 포스트모더니즘」 「다큐멘터리 영화의 리얼리즘과 허구성」 「카프카의 『성』과 미하엘 하네케의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성]」 「콘라트 볼프와 멜로드라마 형식의 반파시즘 영화」 「연극 형식과 색채 드라마투르기 ― 피터 그리너웨이의 바로크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플라톤의 이미지이론과 가시성」 「무의식 속의 욕망과 좌절의 변증법 ― 라캉의 주체이론」 외 다수가 있다.

목차
머리말 = 5 Ⅰ. 모더니즘과 영화미학 = 11 Ⅱ. 발터 벤야민, 이미지 미학과 새로운 예술로서의 영화 = 57 Ⅲ. 프랑크푸르트학파 비판이론과 아도르노의 영화미학 = 99 Ⅳ. 크라카우어와 네오리얼리즘의 영화 미학 기법 = 137 〈부록〉 모더니즘 영화미학의 대표적 에세이 = 165 1. 채플린에 대한 회상(R u ·· ckblick auf Chaplin) = 167 2. 대중의 장식(Das Omament der Masse) = 172 3. 영화투시화(Filmtransparente) = 190 참고문헌 =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