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디어 기호학 1판 (16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Chandler, Daniel 강인규 , 역
서명 / 저자사항
미디어 기호학 / 대니얼 챈들러 지음 ; 강인규 옮김.
판사항
1판.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   2006.  
형태사항
400 p. : 삽도 ; 22 cm.
원표제
Semiotics for beginners
ISBN
8956262292:
일반주기
권말에 용어사전(p. 353-377) 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p. 378-392)과 색인(p. 393-400) 수록
일반주제명
Semiotics. Signs and symbols.
000 00993namccc200349 k 4500
001 000045320080
005 20100805071157
007 ta
008 070104s2006 ulka b 001a kor
020 ▼a 8956262292: ▼c \17000
024 3 1 ▼a 9788956262291 ▼d 038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50 1 4 ▼a P99 ▼b .C43 2006
082 0 4 ▼a 302.2 ▼2 22
090 ▼a 302.2 ▼b 2006h
100 1 ▼a Chandler, Daniel ▼0 AUTH(211009)119820
245 1 0 ▼a 미디어 기호학 / ▼d 대니얼 챈들러 지음 ; ▼e 강인규 옮김.
246 1 9 ▼a Semiotics for beginners
250 ▼a 1판.
260 ▼a 서울 : ▼b 소명출판 , ▼c 2006.
300 ▼a 400 p. : ▼b 삽도 ; ▼c 22 cm.
500 ▼a 권말에 용어사전(p. 353-377) 수록
504 ▼a 참고문헌(p. 378-392)과 색인(p. 393-400) 수록
650 0 ▼a Semiotics.
650 0 ▼a Signs and symbols.
700 1 ▼a 강인규 , ▼e▼0 AUTH(211009)44215
900 1 1 ▼a 챈들러, 대니얼
900 1 1 ▼a Kang, In-gyu , ▼e yok
940 ▼a Midio kihohak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 2006h 등록번호 11139572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6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 2006h 등록번호 1113957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2 2006h 등록번호 15122231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3-23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 2006h 등록번호 11139572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6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 2006h 등록번호 1113957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2 2006h 등록번호 15122231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3-23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웨일스대학 연극/영화/텔레비전학과 교수인 대니얼 챈들러가 1994년에 처음 인터넷에 공개해 많은 독자들의 호응을 받은 '기호학 입문(Semiotics for Beginners)'이 교정을 거듭한 후 책으로 발행되었다. 미디어학, 문학, 미학, 심리학, 예술이론, 신화학 등 다양한 분야를 쉽게 설명했다.

기호학의 일반 이론을 쉽게 설명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졌으나 미디어 학자가 '미디어 교육' 수럽으로 쓴 교재이기 때문에 영화. 텔레비전, 광고 등의 미디어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여기에 미디어학자인 옮긴이가 원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사진과 그림, 그리고 100여 개의 역자주를 추가해서 미디어기호학의 입체성을 충분히 살려 냈다.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는 개론서지만 기호학을 바라보는 지은이의 고유한 시각도 담겨 있다. "모든 기호학은 사회기호학이다", "기호학은 사회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기호학은 기호학자에게만 맡겨두기에는 너무나 중요한 주제다"라는 본문 속의 주장이 그 시각을 드러내 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대니얼 챈들러(지은이)

영국 웨일스대학교의 연극.영화.텔레비전학과 교수이자 컴퓨터 프로그래머이다.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웨일스대학교에서 미디어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글쓰기 행위-미디어 이론적 접근>등이 있다.

강인규(옮긴이)

저널리스트이며 미디어학자.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베런드 칼리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에서 영문학, 국제경제학, 신문방송학으로 학위를 받았고, 미국에서 커뮤니케이션학(뉴미디어)을 공부했다. 인터넷 매체에서 글쓰기를 시작해 〈오마이뉴스〉 해외통신원과 칼럼니스트로 활약하고 있다. 일상 속에 스며든 한국 사회의 모순을 예민하게 포착하면서도 사회적 약자에 대한 시선을 놓지 않는 ‘공감’의 글쓰기로 주목을 받았다. 2008년과 2011년 〈오마이뉴스〉 ‘올해의 뉴스게릴라상’을 수상했다. 글은 언제나 새로운 시각과 즐거움을 줘야 한다고 믿으며, 일상의 삶과 문화, 사회를 낯선 시선으로 분석하는 작업을 해왔다. 《나는 스타벅스에서 불온한 상상을 한다》(2008)가 외국인으로서 경험한 미국 사회에 대한 관찰이라면, 《망가뜨린 것 모른 척한 것 바꿔야 할 것》(2012)은 외부에서 바라본 한국 사회에 대한 고민과 성찰이다. 이 두 번째 책에서 한국 사회의 몰락을 예견했다. 세 번째 책인 《대한민국 몰락사》(2016)는 이미 붕괴한 사회 현실을 꼼꼼히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사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무너진 공동체를 회복시킬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사회 변화라는 오랜 싸움에는 여유가 필요하다고 믿기에 날카로우면서도 웃음과 재치를 잃지 않는다. 지은 책으로 《망가뜨린 것 모른 척한 것 바꿔야 할 것》 《나는 스타벅스에서 불온한 상상을 한다》 《나는 시민기자다》(공저)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공저) 《The Korean Popular Culture Reader》(공저) 《K-pop: The International Rise of the Korean Music Industry》(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미디어 기호학》 《소셜 네트워크, 어떻게 바라볼까?》 《엔터테인먼트 산업, 어떻게 봐야 할까?》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 한국의 독자들에게 = 4
역자 서문 = 11
영문판 서문 = 15
감사의 글 = 20
서론 = 27
 정의 = 28
 기호학의 전통 = 34
 방법론 = 37
 언어학과의 관계 = 39
 랑그와 파롤 = 44
 기호학 공부는 왜 필요한가? = 47
제1장 기호 모델 = 51
 소쉬르 모델 = 52
 종이의 양면 = 57
 관계의 체계 = 58
 자의성 = 64
 퍼스 모델 = 75
 상대성 = 81
 상징 = 83
 도상 = 85
 지표 = 88
 유형이 아니라 형태 = 90
 관계의 변화 = 92
 디지털과 아날로그 = 94
 유형과 표출형 = 97
 기호의 재물질화 = 100
 옐름슬레우의 분석틀 = 106
제2장 기호와 사물 = 109
 사물에 이름 붙이기 = 109
 지시 기능 = 114
 양태성 = 117
 말은 사물이 아니다 = 124
 텅 빈 기표 = 137
제3장 구조의 분석 = 145
 수평축과 수직축 = 146
 통합적 차원 = 151
 개념적 관계 = 153
 공간적 관계 = 156
 순차적 관계 = 160
 구조적 환원 = 164
 계열적 차원 = 173
 대체시험 = 175
 대립 관계 = 177
 대립 관계의 언어 = 180
 '우리'와 '그들' = 181
 제휴 개념 = 183
 유표성 = 190
 B항의 재평가 = 197
 기호사각형 = 202
제4장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거부하기 = 207
 수사어구 = 208
 은유 = 213
 환유 = 217
 제유 = 222
 반어법 = 225
 지배적 비유 = 228
 외연과 내포 = 232
 신화 = 239
제5장 코드 = 243
 코드의 유형 = 244
 지각 코드 = 247
 사회적 코드 = 253
 텍스트 코드 = 258
 사실성의 코드 = 263
 보이지 않는 편집 = 271
 방송코드와 협송코드 = 279
 텍스트적 코드의 상호 작용 = 281
 코드화 = 282
제6장 텍스트의 상호 작용 = 285
 커뮤니케이션 모델 = 285
 주체로의 호명 = 291
 원근법의 채택 = 297
 발화 양식 = 305
 독해 위치 = 311
 상호텍스트성 = 315
 저자를 문제 삼기 = 317
 다시 쓰기로서의 읽기 = 319
 텍스트는 외딴 섬이 아니다 = 321
 내적 텍스트성 = 326
 브리콜라주 = 328
 상호텍스트성의 유형과 정도 = 330
제7장 기호학의 약점과 강점 = 333
 제국주의 = 334
 형식과 기능 = 336
 피할 수 없는 인식의 틀 = 339
 후기 구조주의 기호학 = 341
 기호학 분석의 강점 = 343
 현실의 매개 = 345
 의미와 주체의 구성 = 348
 기호의 유형 = 350
용어사전 = 353
참고문헌 = 378
찾아보기= 393


관련분야 신착자료

Pegrum, Mark (2022)
Kylie Jarrett (2022)
Stirner, Max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