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방송물 제작시장의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방송물 제작시장의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임정수 김재영 , 연구
단체저자명
한국방송광고공사
서명 / 저자사항
방송물 제작시장의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 책임연구: 임정수 ; 공동연구: 김재영.
발행사항
서울 :   한국방송광고공사 ,   2006.  
형태사항
165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06년 제10권
ISBN
8991803202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30-133
000 00773namccc200265 k 4500
001 000045318315
005 20100805065034
007 ta
008 061226s2006 ulka b 000a kor
020 ▼a 8991803202
040 ▼a 211046 ▼d 211009
082 0 4 ▼a 659.14 ▼2 22
090 ▼a 659.14 ▼b 2004 ▼c 2006-10
100 1 ▼a 임정수 ▼0 AUTH(211009)141990
245 1 0 ▼a 방송물 제작시장의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 ▼d 책임연구: 임정수 ; ▼e 공동연구: 김재영.
260 ▼a 서울 : ▼b 한국방송광고공사 , ▼c 2006.
300 ▼a 165 p. : ▼b 삽도 ; ▼c 24 cm.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2006년 제10권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p. 130-133
700 1 ▼a 김재영 , ▼e 연구 ▼0 AUTH(211009)44207
710 ▼a 한국방송광고공사
830 0 ▼a 연구보고서(한국방송광고공사) ; ▼v 2006년 제10권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4 2004 2006-10 등록번호 1113936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요약론
제Ⅰ부 방송물 제작시장의 현실과 대안모델의 검토
 제1장 방송물 제작시장의 문제인식
  1. 문제의 인식 = 16
   1) 플랫폼의 증가, 콘텐츠의 부족 = 16
   2) 외주정책의 실효성 논란 = 18
   3) 위험부담 문제 = 22
  2. 연구문제의 제기 = 23
 제2장 방송물 제작시장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안의 검토
  1. 제도의 기본적인 유형 = 25
  2. 편성시간쿼터제의 보완책 = 30
   1) 저작권 = 30
   2) 표준제작비 = 44
   3) 외주제작 가이드라인/시행규약 = 47
  3. 소결 :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대안의 모색 = 50
 제3장 개선방안에 관한 독립제작사 실무자의 설문조사
  1. 조사목적과 의미 = 54
  2. 조사방법 = 55
   1) 조사대상 및 선정방법 = 55
   2) 조사내용과 분석 = 57
  3. 조사결과 : 독립제작사 실무자의 인식 조사 = 57
   1) 의무편성비율에 관한 인식 = 57
   2) 표준제작비에 관한 인식 = 60
   3) 저작권의 강화 = 63
   4) 가이드라인에 관한 인식 = 66
   5) 외주채널설립에 관한 인식 = 68
  4. 결과에 대한 토의 = 71
  5. 정책에 대한 제언 = 73
 참고 문헌
제Ⅱ부 제작사와 방송사간의 합리적 관계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장 제작사와 방송사간 관계의 현실
  1. 기형적 제작형태 = 82
  2. 불공정 거래 관행 = 85
  3. 독립제작시장의 양극화 = 90
 제3장 제작사와 방송사간 관계의 법제도적 차원
  1. 비율 중심의 외주제도 = 92
  2. 외주제도의 적용 대상과 범위 = 93
 제4장 제작사와 방송사간 관계 개선을 위한 쟁점
  1. 외주비율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한가? = 97
  2. 지상파 이외의 사업자에게도 외주비율이 적용되어야 하는가? = 99
  3. 특수관계자의 외주비율을 인정해야 하는가? = 105
  4. 지역방송에 외주비율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가? = 107
  5. 국가기간방송 채널에 외주비율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가? = 110
  6. 장르를 불문하고 적용되는 외주제도를 유지해야 하는가? = 112
  7. 공동제작 및 위탁제작도 외주로 인정해야 하는가? = 114
 제5장 법제도적 개선방향 및 정책적 제언
  1. 범제도적 개선방향 = 117
  2. 정책적 제언 = 119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부록
 부록 Ⅰ : NHK, 프로그램 위탁제작 거래에 관한 자체 기준 = 134
 부록 Ⅱ : 제작 위탁에 대한 NHK의 입장 = 137
 부록 Ⅲ :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계약 태도 = 139
 부록 Ⅳ : BBC Code of Practice = 141
 부록 Ⅴ : 외주정책에 대한 인식, 현실, 전망에 대한 설문지 = 15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