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검토
1. DMB 매체특성 및 시장현황 = 24
1) DMB 개발배경 및 시장현황 = 24
2) 지상파 DMB와 위성 DMB = 26
3) DMB 수요예측 및 시장전망 = 29
2. DMB 서비스에 관한 기존문헌 검토 = 31
1) 문화 인터페이스로서의 DMB = 31
2) DMB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동기에 관한 기존문헌 고찰 = 37
3) DMB 서비스 수요예측을 위한 소비자 조사 = 45
3. 뉴미디어 수용자의 특성에 관한 기존문헌 검토 = 58
1) 혁신의 확산과 수용자 유형화 = 59
2) 혁신의 확산과 결정적 다수 = 64
3) 혁신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68
4) 소비자 혁신성 = 71
4. DMB 수용자에 대한 기존 조사결과 검토 = 73
1) DMB 초기 채택자들의 사용경험 질적 분석 = 73
2) DMB 사용자들의 미디어 이용과 틈새시간에 관한 연구 = 79
3) 다매체 이용자들의 성향적 동기에 관한 연구 = 83
Ⅲ 연구 방법
1. 연구 문제 = 87
2. 연구 방법 = 90
3. 측정 도구 = 92
Ⅳ 연구 결과
1. DMB 사용자 심층조사 :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 94
1) FGI 목적 및 참여자 특성 = 94
2) FGI 결과 정리 = 95
2. DMB 사용자 조사 : 위성 DMB 대상(2005년 5월) = 110
3. DMB 사용자 및 비사용자 조사(2006년 6월) = 123
1) 위성 DMB 및 지상파 DMB 사용자 조사 = 124
2) DMB 비사용자 조사 = 138
3) DMB 사용자와 비사용자의 소비심리 비교 = 142
4. DMB 사용자의 미디어 동시사용행동 분석 = 161
1) ESM (Experience Sampling Method) 참여자 특성 = 161
2) 활동유형별 미디어 사용행동 분석 = 166
3) 시간대별 미디어 사용행동 분석 = 173
4) 평일과 주말의 미디어 사용행동 비교 = 179
Ⅴ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의 요약 = 189
2. 논의 및 시사점 = 194
3. 연구의 한계 = 198
참고 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