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DMB 초기사용자(early adopter)의 다매체 사용행태 연구

DMB 초기사용자(early adopter)의 다매체 사용행태 연구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은아
단체저자명
한국방송광고공사
서명 / 저자사항
DMB 초기사용자(early adopter)의 다매체 사용행태 연구 / 박은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방송광고공사 ,   2006.  
형태사항
235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06년 제1권
ISBN
8991803105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01-206
000 00775namccc200265 k 4500
001 000045318312
005 20100805065029
007 ta
008 061226s2006 ulka b 000a kor
020 ▼a 8991803105
040 ▼a 211046 ▼d 211009
082 0 4 ▼a 659.14 ▼2 22
090 ▼a 659.14 ▼b 2004 ▼c 2006-1
100 1 ▼a 박은아
245 1 0 ▼a DMB 초기사용자(early adopter)의 다매체 사용행태 연구 / ▼d 박은아.
260 ▼a 서울 : ▼b 한국방송광고공사 , ▼c 2006.
300 ▼a 235 p. : ▼b 삽도 ; ▼c 24 cm.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2006년 제1권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p. 201-206
710 ▼a 한국방송광고공사
740 ▼a DMB 초기사용자의 다매체 사용행태 연구
830 0 ▼a 연구보고서(한국방송광고공사) ; ▼v 2006년 제1권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4 2004 2006-1 등록번호 1113936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검토
 1. DMB 매체특성 및 시장현황 = 24
  1) DMB 개발배경 및 시장현황 = 24
  2) 지상파 DMB와 위성 DMB = 26
  3) DMB 수요예측 및 시장전망 = 29
 2. DMB 서비스에 관한 기존문헌 검토 = 31
  1) 문화 인터페이스로서의 DMB = 31
  2) DMB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동기에 관한 기존문헌 고찰 = 37
  3) DMB 서비스 수요예측을 위한 소비자 조사 = 45
 3. 뉴미디어 수용자의 특성에 관한 기존문헌 검토 = 58
  1) 혁신의 확산과 수용자 유형화 = 59
  2) 혁신의 확산과 결정적 다수 = 64
  3) 혁신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68
  4) 소비자 혁신성 = 71
 4. DMB 수용자에 대한 기존 조사결과 검토 = 73
  1) DMB 초기 채택자들의 사용경험 질적 분석 = 73
  2) DMB 사용자들의 미디어 이용과 틈새시간에 관한 연구 = 79
  3) 다매체 이용자들의 성향적 동기에 관한 연구 = 83
Ⅲ 연구 방법
 1. 연구 문제 = 87
 2. 연구 방법 = 90
 3. 측정 도구 = 92
Ⅳ 연구 결과
 1. DMB 사용자 심층조사 :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 94
  1) FGI 목적 및 참여자 특성 = 94
  2) FGI 결과 정리 = 95
 2. DMB 사용자 조사 : 위성 DMB 대상(2005년 5월) = 110
 3. DMB 사용자 및 비사용자 조사(2006년 6월) = 123
  1) 위성 DMB 및 지상파 DMB 사용자 조사 = 124
  2) DMB 비사용자 조사 = 138
  3) DMB 사용자와 비사용자의 소비심리 비교 = 142
 4. DMB 사용자의 미디어 동시사용행동 분석 = 161
  1) ESM (Experience Sampling Method) 참여자 특성 = 161
  2) 활동유형별 미디어 사용행동 분석 = 166
  3) 시간대별 미디어 사용행동 분석 = 173
  4) 평일과 주말의 미디어 사용행동 비교 = 179
Ⅴ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의 요약 = 189
 2. 논의 및 시사점 = 194
 3. 연구의 한계 = 198
참고 문헌
부록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