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노인간호 개론 = 17
제1장 노인간호의 이해 = 19
1.1 노인간호의 기본개념 = 19
1. 노인에 대한 시대적 관점 = 19
2. 노화와 노인의 개념 = 21
1.2 노년학 및 노인간호학의 발달 = 23
1. 노년학의 발달 = 23
2. 노인간호학의 발달 = 24
1.3 노인간호의 기능과 역할 = 26
1. 노인간호의 역할 = 26
2. 노인간호의 분류 = 28
제2장 노인인구의 제특성 = 29
2.1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 29
1. 노인인구의 증가 = 29
2. 평균수명의 연장 = 30
3. 인구구조의 변화 = 31
4. 노령화지수와 노년부양비 = 32
5. 노인인구의 남녀 성비 및 결혼상태 = 33
6. 지역별 노인인구 분포 = 34
2.2 노년기의 건강과 의학적 특성 = 35
1. 주관적 건강상태 = 35
2. 만성질환 유병률 및 사망원인 = 36
3. 노인의 기능장애 정도 = 37
4. 노인 의료비의 증가 = 38
제3장 노화 이론 = 41
3.1 노화의 생물학적 이론 = 42
1. 분자수준의 노화 이론 = 42
2. 세포수준의 노화 이론 = 44
3. 기관 수준의 노화 이론 = 47
4. 노화의 심리적 측면 = 47
5. 노화의 사회문화적 이론 = 50
6. 노화와 환경 = 51
제4장 노인과 가족 = 53
4.1 노년기의 가족관게 = 54
1. 부부관계 = 54
2. 성인자녀와의 관계 = 55
3. 세대간의 갈등 = 57
4. 고부관계 = 58
5. 손자녀와의 관계 = 58
6. 형제자매 관계 = 59
4.2 노인부양 = 60
1. 노인부양의 영향요인 = 60
2. 부양책임 의식과 노후 문제 = 61
3. 부양실태 = 62
4.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의 스트레스 = 64
제5장 노인과 사회경제적 환경 = 65
5.1 노인의 경제 = 65
1. 노인의 소득원 = 65
2. 노인의 경제활동현황 = 66
3. 노인의 빈곤문제 = 68
5.2 노인의 사회환경 = 69
1. 노인의 교육 = 69
2. 노인의 여가활용 = 70
3. 노인의 안전 = 71
4. 노인의 주거 = 72
제6장 노화와 장수 = 73
6.1 백세 노인들의 특징 = 73
6.2 건강한 장수를 위한 방법 = 75
1. 운동 = 75
2. 식이 = 75
3. 호르몬 치료 = 77
1부 참고문헌 = 83
제2부 노화와 건강관리 = 85
제7장 노화와 신체적 변화 = 87
7.1 심맥관계 = 87
1. 노화와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 87
2. 심맥관계 사정 = 89
3. 심맥관계 질환과 간호 = 91
7.2 호흡기계 = 110
1. 노화와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 110
2. 호흡기계 사정 = 112
3. 호흡기계 질환과 간호 = 115
7.3 비뇨생식기계 = 126
1. 노화와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 126
2. 비뇨생식기계 사정 = 127
3. 비뇨생식기계 질환과 간호 = 132
7.4 소화기계 = 150
1. 노화와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 150
2. 소화기계 사정 = 151
3. 위장관계의 질환과 간호 = 152
7.5 근골격계 = 162
1. 노화와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 162
2. 근골격계 사정 = 164
3. 근골격계 질환과 간호 = 168
7.6 내분비계 = 181
1. 노화와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 181
2. 내분비계 질환과 간호 = 183
7.7 피부기계 = 194
1. 노화와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 194
2. 피부계의 사정 = 195
3. 피부계 질환과 간호 = 196
7.8 감각기계 = 204
1. 노화와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 204
2. 감각기계의 사정 = 207
3. 감각기계의 질환과 간호 = 209
7.9 신경계 = 219
1. 노화와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 219
2. 신경계 사정 = 221
3. 신경계 질환과 간호 = 224
제8장 노화와 정서적, 인지적 변화 = 239
8.1 정서적 측면 = 239
1. 노화와 관련된 변화 = 239
2. 노인의 정서 사정 = 241
3. 관련 질환과 질환별 간호 = 242
4. 건강관리 및 간호전략 = 254
8.2 인지적 측면 = 258
1. 노화와 관련된 변화 = 259
2. 노인의 인지사정 = 261
3. 관련 질환과 질환 별 간호 = 275
제9장 포괄적 노인사정 = 301
9.1 노인사정의 개요 = 301
1. 노인사정의 필요성 = 301
2. 포괄적 노인사정 = 303
3. 건강력 = 304
4. 발달사정 = 315
5. 영성 = 315
6. 환경 사정 = 316
9.2 기능사정 = 318
1. 기능사정의 이론적 근거 = 319
2. 기능사정 수행 = 320
3. 신체기능 사정 = 323
4. 사회적 기능 사정 = 330
5. 포괄적 기능 사정 = 331
2부 참고문헌 = 337
제3부 노인의 건강증진 = 339
제10장 영양 = 341
10.1 노화로 인한 영향요인 = 341
1. 생리학적 요인 = 342
2. 사회심리적 요인 = 345
10.2 우리나라 노인의 영양실태 = 346
1. 에너지 과잉 및 영양부족 = 346
2. 심각한 결식률 = 347
3. 저체중 = 347
4. 지방 섭취 부족과 나트륨 섭취 과다 = 347
10.3 노인의 영양사정 = 348
1. 식이섭취 = 348
2. 신체계측치 측정 = 348
3. 신체검진 = 350
4. 생화학적 지표 = 351
10.4 노인의 영양과 관련된 문제 = 352
1. 연하곤란 = 352
2. 체액 불균형 = 352
3. 비만 = 352
4. 영양결핍 = 353
5. 변비 = 354
6. 골다골증 = 354
7. 발육부진 = 354
10.5 노인의 영양과 관련된 간호 = 355
1. 노인의 영양권장량 = 355
2. 노인의 식사계획시 권장사항 = 361
제11장 수면과 휴식 = 365
11.1 노화로 인한 영향요인 = 366
1. 정상 노화와 수면 = 366
2. 노인에서 흔한 질환과 수면 = 369
3. 물질과 수면 = 370
4. 노인의 환경과 수면 = 370
11.2 우리나라 노인의 수면실태 = 372
1. 노인의 수면장애 빈도와 양상 = 372
2. 수면장애 요인 = 372
11.3 수면사정 = 373
11.4 수면과 관련된 문제 = 374
1. 노인에서 흔한 수면 병리 = 374
2. 일주기리듬 변화와 노인수면 = 375
3. 치매와 수면 = 375
11.5 간호 = 376
1. 수면제 = 376
2. 일주기리듬 교정 = 377
3. 자극 이용 = 377
4. 환경조절 = 377
5. 수면위생 = 377
6. 수면 무호흡 중재와 간호 = 377
제12장 운동과 활동 = 381
12.1 노화로 인한 영향요인 = 381
1. 생리학적 요인 = 382
2. 사회심리적 요인 = 383
12.2 우리나라 노인의 운동 및 활동실태 = 383
12.3 노인의 활동사정 = 384
1. 노인의 일상생활동작 평가 = 384
2. 노인의 운동 전 평가 = 384
12.4 노인의 운동과 관련된 문제 = 388
1. 골다골증 = 388
2. 만성 폐색성 폐질환 = 389
3. 비활동성 = 389
4. 운동유발성 근육통 = 390
12.5 노인의 운동과 간호 = 390
1. 노인운동의 효과 = 391
2. 노인 운동처방 = 393
3. 노인운동의 종류 = 396
4. 노인 운동시의 주의점 = 401
제13장 안전과 환경 = 407
13.1 안전 = 407
1. 노화와 안전에 대한 위험요인 = 408
2. 우리나라 노인의 사고 및 안전실태 = 408
3. 사정 = 410
4. 안전관련 위험의 감소 = 413
13.2 낙상 = 414
1. 노년기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14
2. 낙상예방 = 415
3. 낙상간호 = 418
13.3 환경 = 418
1. 노화와 안전한 환경 = 418
2. 환경관리 = 419
3. 환경측면의 정신사회적 고려사항 = 424
제14장 영적 건강 = 427
14.1 노화로 인한 영향요인 = 428
14.2 우리나라 노인의 영적 건강 실태 = 429
14.3 영적 사정 = 430
14.4 영적 요구와 관련된 문제 = 431
14.5 노인을 위한 영적 간호 = 433
제15장 노인건강교육 = 435
15.1 노인의 특성과 건강교육 = 436
1. 감각계의 변화 = 436
2. 기억력과 지적능력의 변화 = 437
3. 건강상태의 변화 = 437
15.2 노인의 건강교육과 교육환경 = 438
15.3 노인의 건강교육 전략 = 439
1. 노인을 위한 일반적인 교육전략 = 440
2.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제공 = 441
3. 노인을 위한 교육자료 선택 = 442
15.4 특수요구가 있는 노인의 교육전략 = 443
1. 언어장애가 있는 노인을 위한 교육 = 443
2. 신체장애가 있는 노인을 위한 교육 = 444
15.5 건강교육의 평가 = 444
3부 참고문헌 = 447
제4부 노인관련 제문제 = 451
제16장 통증 = 453
16.1 통증 이해 = 453
1. 노화와 통증 = 454
2. 급성 및 만성 통증 = 454
16.2 노인통증의 간호관리 = 456
1. 통증사정 = 456
2. 간호진단 = 460
3. 노인통증의 간호중재 = 461
4. 간호평가 = 467
제17장 노인학대 = 469
17.1 노인학대의 개요 = 469
1. 노인학대의 정의 = 471
2. 노인학대의 실태 = 471
3. 노인학대의 원인 = 473
4. 노인학대의 유형 = 474
17.2 노인학대의 간호관리 = 477
1. 노인학대의 사정 = 477
2. 간호진단 = 479
3. 노인학대의 간호중재 및 평가 = 480
17.3 노인학대의 예방 및 대처방안 = 481
1. 개인 및 가족의 대처 = 482
2. 사회적 및 정책적 접근 = 483
제18장 약물관리 = 485
18.1 노인의 약물관리 개요 = 485
1. 노인의 약물사용 실태 = 486
2. 노인 약물치료의 특성 = 486
3. 노인에 대한 생리학적 및 약물학적 고려 = 487
4. 노인에서의 약물반응 = 489
18.2 노인 약물사용의 간호관리 = 491
1. 노인의 투약시 주의사항 = 491
2. 간호진단 = 494
3. 노인의 약물사용 및 관리에 대한 간호중재 = 494
4. 간호평가 = 497
제19장 물질 오남용 = 499
19.1 물질 오남용에 대한 개요 = 499
1. 위험요인 = 500
2. 간호진단 = 502
3. 남용물질별 간호중재 = 503
제20장 노인의 성 = 517
20.1 노인의 성에 대한 개요 = 517
1. 친밀감의 유형 = 518
2. 노화에 따른 성의 변화 = 519
3. 성행위에 영향을 주는 건강문제 = 522
4. 성행위에 영향을 주는 기타 요인 = 524
20.2 노인의 성에 대한 간호관리 = 525
1. 간호사정 = 525
2. 간호중재 = 527
4부 참고문헌 = 529
제5부 노인의료서비스의 연속성 = 537
제21장 노인간호 실무의 다양성과 연속성 = 539
21.1 노인요구의 다양성과 노인간호의 연속성 = 539
21.2 노인간호 서비스의 종류와 방법 = 541
1. 예방적·부가적 서비스 = 541
2. 지지적 서비스 = 541
3. 부분적·간헐적 서비스 = 542
4. 전반적·지속적 서비스 = 543
21.3 노인의료서비스의 연속성 = 544
제22장 급성기 간호 = 547
22.1 급성기 노인의 특성 = 548
22.2 급성기 치료 환경의 특성 = 549
1. 입원의 위험성 = 549
2. 약물 부작용 = 549
3. 낙상 = 550
4. 감염 = 550
5. 부동의 위험 = 551
22.3 급성기 의료 환경에서의 간호 = 551
1. 급성기 노인간호 철학 = 552
2. 급성기 노인간호의 전문성 = 552
3. 중환자 간호와 외상간호 = 554
4. 수술간호 = 555
5. 응급환경 = 556
6. 감염관리 = 557
7. 퇴원계획 = 557
22.4 치료환경의 안전성 도모 = 558
제23장 재가간호 = 559
23.1 재가간호의 중요성과 의미 = 559
23.2 재가노인의 건강관리 요구 = 561
23.3 재가간호의 종류 = 562
23.4 가정간호사의 역할과 재가간호의 운영 = 563
1. 가정간호사의 역할 = 563
제24장 장기요양시설 = 565
24.1 장기요양시설의 정의 = 565
24.2 장기요양시설의 발달 = 567
24.3 시설 입소자의 특성과 시설의 기준 = 569
24.4 장기요양시설 간호사의 역할 = 571
제25장 종말기 간호 = 573
25.1 종말기 간호의 의미 = 574
1. 종말기 노인에 대한 이해 = 574
2. 죽음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 575
25.2 임종간호와 지지 = 576
1. 임종에 대한 반응단계와 간호중재 = 576
2. 신체간호 요구 = 578
3. 사후처리와 유서 = 581
4. 가족과 친지에 대한 지지 = 582
5. 의료진에 대한 지지 = 583
25.3 호스피스 간호 = 584
1. 호스피스 간호의 철학과 목적 = 584
2. 호스피스 간호의 원리 및 대상자 선정 = 585
3. 간호중재 = 585
5부 참고문헌 = 587
제6부 정보화시대의 노인복지 = 589
제26장 노인복지 = 591
26.1 노인복지의 개관 = 591
1. 노인복지의 개념 = 591
2. 노인복지의 필요성 = 592
26.2 우리나라 노인복지의 현황 및 발전방향 = 592
1. 노인소득보장제도 = 592
2. 노인의료보장제도 = 595
3. 노인의 여가 활동 = 599
4. 노인의 교육 = 600
5. 노인주거보장제도 = 601
26.3 노인복지시설 = 602
1. 우리나라 노인복지시설의 성격과 의의 = 602
2. 우리나라 노인복지시설의 현황과 발전방향 = 602
26.4 노인복지와 간호 = 606
제27장 실버산업 = 607
27.1 실버산업의 개관 = 607
1. 실버산업의 개념과 등장배경 = 607
27.2 실버산업의 분야 = 608
27.3 우리나라 실버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 610
1. 실버산업의 현황 = 610
2. 우리나라 실버산업의 발전방향과 간호 = 612
제28장 노인 정보화 = 613
28.1 노인 정보화의 필요성 = 613
28.2 노인 정보화의 국내외 동향 = 616
1. 국외 노인 정보화 현황 = 616
2. 우리나라 노인 정보화 현황 = 616
28.3 노인 정보화의 발전방향 및 간호 = 617
제29장 노년공학 = 619
29.1 노년공학의 개관 = 620
1. 노년공학의 정의 = 620
2. 노년공학의 필요성 = 620
29.2 노년공학의 분야 = 622
1. 노인건강과 가정보호에 관련된 분야 = 622
2. 노인의 일(작업)에 관련된 분야 = 622
3. 노인 교통과 이동에 관련된 분야 = 622
4. 정보통신에 관련된 분야 = 623
5. 노인의 주거 환경에 관련된 분야 = 623
6. 가구와 생활용품에 관련된 분야 = 623
29.3 노년공학의 발전방향과 간호 = 623
6부 참고문헌 = 627
부록 = 629
찾아보기 = 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