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ⅲ
저자 서문 = ⅴ
이 책에 도움을 주는 웹 사이트 = ⅷ
Ⅰ. 레지오 에밀리아 소개 = 1
제1장 짧은 레지오 에밀리아 이야기 = 2
시작 = 3
교사 되어가기 = 5
시립 유아학교의 설립 = 7
나은 발전과 다른 프로그램의 영향: 1980년대와 1990년대 초기 = 8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과 미국과의 조우 = 11
레지오의 교사들이 미국에 연구하고 일하러 옴 = 12
결론 = 14
제2장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기초 = 15
레지오 에밀리아 유아교육의 목표 = 17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기본 원리 = 17
유아의 이미지 = 18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의 관계와 상호작용 = 18
교육의 세 요소: 유아, 부모, 교사 = 18
부모의 역할 = 19
공간의 역할: 호감 가는 학교 = 19
소집단에서 유아 간 관계와 상호작용의 가치 = 20
시간의 역할과 지속성의 중요성 = 20
시스템의 토대로서 협동과 협력 = 21
협동과 조직의 상호의존성 = 24
학습 파트너로서의 교사와 유아 = 24
융통성 있는 계획 대 교육과정(프로제타지오네) = 24
기록 작업의 힘 = 25
유아들의 많은 언어들: 아틀리에리스타와 아틀리에 = 26
프로젝트 = 26
결론 = 30
제3장 듀이, 피아제, 비고츠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과 말라구찌와의 연결 = 32
존 듀이(1859-1952) = 34
진 피아제(1896-1980) = 35
레브 비고츠키(1896-1934) = 36
로리스 말라구찌(1920-1994)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진화 = 38
협력과 지식의 공동 구성 = 40
결론 = 42
Ⅱ. 미국인의 눈에 보여진 레지오 에밀리아 = 45
제4장 레지오 에밀리아와 미국 학교들: 두 방식에 대한 개별적, 그리고 총체적 고찰 = 46
두 접근 간의 유사점 = 47
유아에 대한 태도 = 48
창의성에 대한 태도 = 49
교수 전략에 대한 태도 = 52
몇 가지 부가적인 비교 = 57
미국 접근의 특별한 강점 = 58
제5장 그 곳에서: 레지오 에밀리아 첫 방문에 대한 반성 = 60
소개하는 참여자의 눈을 통하여 = 62
준비하기: 탐구 순환 과정 들어가기 = 64
단계 설정하기 = 66
"갈등, 흥미, 그리고 우리와는 견줄 수 없는…" = 66
"교육뿐 아니라…" = 68
"…나 자신과 내가 되기를 원하는 사람에 대해" = 70
Ⅲ. 변화를 위한 도전 = 73
제6장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의 도전: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과 말라구찌와의 연결 = 74
혁신을 차용하고 적용함에 있어서의 몇 가지 논쟁점 = 75
레지오 접근법의 차용 = 76
변화 불러오기 = 79
지금 우리는 어디에 있으며 다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81
Ⅳ. 관계를 변화시킴으로 변화를 위한 도전 받아들이기 = 85
렐라의 장에서 발췌 =86
릴리언의 몇 가지 도전 = 87
제7장 시카고 커먼스 아동발달 프로그램에서 관계를 창안, 격려, 지원하기 = 89
유아와 관계 = 90
긍정적인 관계를 촉진하기 위한 환경 준비하기 = 92
부모와 관계 = 93
부모에 대한 우리의 신념 재방문하기 = 93
자신의 자녀에 대한 부모의 희망과 꿈 질문하기 = 93
유아와 가족의 사진 공유하기 = 95
공동체의 자산 = 95
부모와 교사가 함께 하는 월례 모임 = 96
연구와 학습 투어에의 참여를 위해 부모 초대하기 = 97
교직원과 관계 = 97
제8장 공동 탐구자로서의 교사: 다문화적 공동체에서 긍정적인 관계 촉진하기 = 103
공동 탐구의 과정 = 104
미국의 맥락에서 공동 탐구 활용하기: 허긴스 유아교육 센터 = 105
교사 탐구모임을 위한 구조 설립하기 = 105
물리적 공간 = 105
공동 탐구를 위한 조직 = 105
가족과 문화: 공동 탐구를 통한 관계 형성하기 = 106
물리적 공간 = 106
공동탐구를 위한 조직 = 107
첫 번째 관찰 = 1O7
의식과 일상에 대한 기록 = 108
전이 대상물의 중요성 = 109
공동 탐구과정을 시작하는 방법 = 111
생산적인 갈등을 위해 마음과 마인드 개방하기 = 112
공동 탐구에 대한 반성 = 114
제9장 학습에 대해 부모와 함께 생각하기 = 116
부모-교사 위원회: 관계 형성을 위한 지원시스템 = 118
부모-교사 상호교환: 공유경험에서 공유학습으로의 변화 = 120
기록자로서의 부모: 새로운 역할 발달 = 123
비디오 기록 작업: 의사소통과 평가를 위한 도구 = 124
마지막 반성 = 127
제10장 동반자로서의 부모 = 128
학교의 내용 = 129
부모의 이미지 = 129
학교의 철학과 기대를 배우는 첫 번째 접촉 = 130
가정에서 학교로의 전환을 돕기 = 131
가정과 학교의 관계 지속 = 133
아동을 위한 학습 공동체 만들기 = 135
부모를 위한 학습 공동체 만들기 = 136
제11장 관계를 통한 보살핌 = 138
관계의 춤 = 139
관계의 주요 구성요소 = 140
받아들임(수용) = 141
애착 = 141
인식과 확인 = 142
상호관계와 우정 = 143
열정적인 경험 = 144
동일시 = 144
소속 = 145
보살핌 = 146
결론 = 147
제12장 아동의 관계 맺을 권리 = 148
받아들임 = 149
애착 = 152
인식 = 154
상호관계 = 155
열정 = 156
이상화와 동일시 = 158
소속 = 159
돌보기 = 160
결론 = 161
Ⅴ. 프로젝트 활동이 주는 변화의 도전 받아들이기 = 163
렐라의 장에서 발췌 = 164
릴리언의 도전 = 165
제13장 유아와의 대화 = 166
아동과 대화 = 167
방해요인 = 169
대화 촉진하기 = 171
발현적 교육과정을 위한 대화 분석 = 173
나뭇잎과 대화 = 174
1992년 10월 21일 대학 부속 유치원 = 174
회합 = 175
유아 대화 분석하기 = 176
발현적 교육과정 형성을 위한 대화사용 = 177
결론 = 180
제14장 레지오 에밀리아의 연구에 대한 도전: 교사의 반성적 사고 = 182
역사의 연결 = 183
교사의 저널: 물 프로젝트 = 184
따르기: 프로젝트를 위한 도입 = 185
불기: 더 깊은 조사 = 186
증발: 유아의 이론은 밝혀졌다 = 188
물결을 일으키는 것은 무엇인가? = 189
배 구성하기: 하나의 길 = 189
표상과 기록(교사를 위한 새로운 확장) = 192
반성적 사고 = 193
제15장 여기 있어요? 영아와 대상영속성과 자기 능력 탐구 = 195
"여기 있구나!" 대상영속성과 자기 능력 탐구: 숨기기 프로젝트 = 197
거스(Gus)의 숨기기 프로젝트 = 197
메레디스와 함께한 숨기기 프로젝트 = 201
교사의 반성적 사고 = 204
결론 = 205
제16장 눈을 바라보면서: 협의를 통한 학습 이야기 = 207
눈: 처음의 자극 = 209
다양한 언어로 눈송이 표상하기: 눈송이와 상징적인 생각 = 211
눈의 근원: 이론의 재구성 = 215
실험: 우리가 눈을 만들 수 있다면 우리는 눈의 근원에 대한 비밀을 알게 될 것이다 = 217
다른 상황에서 문제에 관해 생각하기: 반구형의 얼음탐험하기 = 219
5학년 학급에 가면 눈 만드는 법을 배우게 될 것이다 = 221
눈송이는 자란다: 그림자놀이와 파워포인트 제작 = 223
그림자놀이 = 225
Ⅵ. 적합한 환경을 창안함으로써 변화에 대한 도전 받아들이기 = 231
렐라의 장에서 발췌 = 232
공간에 대하여 = 232
아틀리에리스타에 대하여 = 232
기록화의 힘에 대하여 = 232
릴리언의 몇 가지 도전들 = 233
제17장 학습내용 내의 변화에 대한 반성과 시카고 커먼스의 생활 환경 = 234
환경 내의 도전과 맞서기 = 236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237
환경을 위한 우리의 목표 = 238
환경의 기본 요소 = 238
색상에 대하여 = 239
창문에 대하여 = 239
현관과 공용구역에 대하여 = 240
빛, 그림자, 반사광에 대하여 생각하기 = 242
자연에 대하여 생각하기 = 243
높이에 대하여 생각하기 = 244
교실 배치와 경계에 대하여 생각하기 = 244
가구와 비품에 대하여 생각하기 = 245
기록화와 전시에 대하여 생각하기 = 246
정체성과 지역사회에 대하여 생각하기 = 247
교재의 보관과 정돈에 대하여 생각하기 = 247
놀이터에 대하여 생각하기 = 247
결론 = 248
제18장 아틀리에의 환경: 언어로서의 매체의 힘 인식하기 = 250
아틀리에의 역할은 무엇일까? = 251
성 미쉘 스쿨 아틀리에의 구성: 목적, 장애요소, 해법 = 252
환경, 미적 감각, 그리고 학습 = 255
학교 내의 매체를 위한 맥락으로서의 아틀리에 = 256
아틀리에의 분산: 교실 내의 미니스튜디오 = 259
탐구실로서의 아틀리에 = 260
점토에 관한 에피소드: 플래너리의 사자 = 261
결론: 3가지 상호연관적인 질문 = 265
제19장 우리의 현실세계: 기록 작업에 대한 분석 = 267
본질적인 구조의 설정 = 269
첫 단계에서 = 270
그 다음 단계: 가르치기와 기록 작업 - 관계를 중심으로 = 270
실재하는 논쟁과 해결에 맞서기: 딜레마의 매듭풀기 = 273
현장의 이야기 = 275
그리운 미래 = 282
Ⅶ. 획기적인 변화를 위한 도전 수용하기 = 285
렐라의 장에서 발췌한 몇 가지 인용문 = 285
릴리언의 도전과제 = 286
제20장 영감을 향한 여정에 대한 반성: 공교육에서 교사는 변화한다 = 287
전문가 양성계획 = 289
1차년도: 가르치는 자아 = 290
1차년도: 신뢰, 보호, 그리고 중요성 = 292
1차년도: 결론 = 293
2차년도: 새로운 관점으로 본 교과과정과 시험 = 295
2차년도: 환경의 변화 = 297
2차년도: 고립감의 극복 = 298
2차년도: 프로젝트 작업 돌입 = 299
2차년도: 평가에 대한 의문의 해소 = 301
3차년도: 레지오 철학의 가시화 = 303
3차년도: "의도" - 그 개념의 이해 = 304
4차년도: 변화와 생존 = 305
변화 창조: 우리가 여태까지 배웠던 것 = 306
요약 = 307
Ⅷ. 미래의 변화에 관한 비전 창조: 우리가 나아갈 방향 = 309
렐라의 마지막 초록 = 310
릴리언의 마지막 질문 = 310
제21장 지지의 경험: 유아교육자 역할의 확대 = 311
카렌 헤이그: 협력의 힘 = 313
연구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끌어낼 수 있는 가능성 = 314
레지오 에밀리아로 향한 리더십 연구투어의 개발 = 317
진 골드헤이버: 가능성의 비전 = 322
공동체 유대강화를 위한 최초의 노력 = 323
리더십 연구투어의 성과와 영감 = 325
마지 코퍼: 대화의 확장 = 326
조지아 주의 레지오 철학에 대한 최초의 관심 = 327
「유아들의 수많은 언어」 전시회의 효과 = 327
공동체 관계의 유지발전을 위한 전략 = 329
도전은 우리의 것 = 331
참고문헌 = 333
색인 =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