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강 교육학이란? = 13
1. 교육학의 발달 = 13
2. 교육학의 성격 = 17
제2강 교육의 이해 = 22
1. 교육의 어원 = 22
2. 교육의 정의 = 25
3.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 28
4. 교육활동의 성립조건 = 35
5. 교육의 목적 = 36
제3강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적 기초 = 39
1. 흐름 = 39
2. 발달과정 = 40
3. 국민학교의 상징성 = 49
4. 현대적 교육제도의 수립과 전개 = 50
5. 제도 개혁의 방향 = 52
제4강 서양 교육의 역사적 기초 = 54
1. 그리스의 교육 = 54
2. Rome 의 교육 = 57
3. 중세교육 = 59
4. 근대교육 = 63
5. 국가주의 = 67
6. 발달주의 또는 계발주의 = 68
7. 현대의 신교육 = 69
제5강 교육의 철학적 기초 = 71
1. 교육목적의 철학적 의미 = 71
2. 전통적 철학과 교육 = 74
3. 현대 교육사조 = 77
제6강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 86
1. 인간의 이해 = 86
2. 교육심리학이란? = 88
3. 학습자의 제 특성 = 99
제7강 교육의 사회적 기초 = 102
1. 학교의 사회적 기능 = 102
2. 문화와 교육 = 104
3. 사회화와 교육 = 107
4. 교육현상에 관한 사회학이론 = 110
제8강 교육과정 = 118
1. 교육과정의 정의 = 118
2. 현대 교육과정의 특징 = 121
3. 교육과정의 유형 = 122
4. 교육과정의 구성 = 128
5. 우리나라 교육과정 변천 = 134
제9강 학습과 교수의 과정 = 136
1. 개념의 정의 = 136
2. 교수와 학습 = 137
3. 교수이론 = 138
4. 학습이론 = 143
5. 교수, 학습지도의 조건과 원리 = 145
6. 교수 학습의 과정 = 149
제10강 교육 평가 = 156
1. 개념 = 156
2. 교육평가의 유형 = 157
3. 평가도구의 기준 = 160
4. 교육평가의 실제 = 163
제11강 교육행정과 조직 = 169
1. 교육행정의 정의 = 169
2. 교육행정의 성격 = 171
3. 교육행정의 원리 = 173
4. 교육행정 조직 = 176
5. 교육제도 = 184
6. 북한의 교육제도 = 187
제12강 교육공학 = 195
1. 개념 및 정의 = 195
2. 교육공학의 역사적 배경과 발달 = 195
3. 교육공학의 영역 = 200
4. 교수 매체 = 203
5. 교육 정보화 = 207
제13강 한국의 교육제도 개편 방안 = 213
Ⅰ. 서론 = 213
Ⅱ. 한국 교육의 현실 및 문제점 = 215
Ⅲ. 한국 교육 문제의 원인 = 218
Ⅳ. 정책과제 및 대안 = 226
Ⅴ. 결론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