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행정일반이론 = 1
제1장 행정국가와 거버넌스 = 3
1. 국가의 개념과 구성 = 3
2. 행정국가의 등장 = 6
3. 현대행정의 기증 = 8
제2장 행정과 거버넌스 = 11
1. 거버넌스의 등장 = 11
2. 거버넌스의 이론적 접근 = 12
3. 거버넌스에서 정부ㆍ사회의 역할과 관계 = 18
제3장 행정의 기본적 특성과 행정이념 = 21
1. 공행정과 사행정의 관계 = 21
2. 공익성 = 23
3. 행정이념의 의의 = 27
4. 행정이념의 내용 = 28
5. 행정이념간의 우선수위 = 36
제4장 행정정책에 대한 이해 = 38
1. 정책의제 설정의 의의 = 38
2. 정책의제의 유형 = 39
3. 정책의제설정 유형 = 41
4. 의제설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 44
5. 정책의제 형성의 접근이론 = 46
제5장 정책결정 = 52
1. 정책결정의 의의 = 52
2. 정책결정의 특징 = 52
3. 정책결정과정 = 55
4. 정책결정모형 = 57
제6장 정책의 집행 = 69
1. 정책 집행의 의의 = 69
2. 정책집행의 유형 = 70
3. 정책집행의 순응과 불응 = 73
제7장 정책의 평가 = 77
1. 정책평가의 의의의 기준 = 77
2. 정책평가의 과정 = 80
3. 정책평가의 기법 = 83
제2편 지방행정이론 = 87
제8장 지방행정의 제이론 = 89
1. 지방행정의 개념 = 89
2. 지방행정의 기본이념 = 93
3.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의의 = 96
4.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장ㆍ단점 = 97
5.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균형 = 100
6. 지방자치의 요소 = 101
7. 주민자치와 단체자치 = 102
제9장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 107
1. 자치권의 근거 = 107
2. 자치권의 부여방식 = 109
3. 자치입법권 = 112
4. 자치행정권 = 116
5. 자치조직권 = 117
6. 자치재정권 = 118
제10장 자치단체의 사무배분 = 120
1. 사무배분의 원칙 = 120
2. 사무배분의 기준 = 121
3. 지방사무의 종류 = 124
제11장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 128
1. 기관통합형 = 128
2. 기관대립형 = 130
3. 지방의회의 지위 = 135
4. 집행기관 = 140
5. 지방의회와 집행기관의 관계 = 145
제12장 지방자치단체와 계층과 구역 = 149
1. 지방자치단체의 계층 = 149
2. 지방자치단체 구역의 의의 = 152
3. 광역행정 = 154
제13장 자방자치의 새로운 변화 = 163
1. 지방자치의 위기 = 163
2. 신중앙집권화 = 164
3. 신지방분권화 = 167
제3편 지방행정의 논의 = 171
제14장 주민참여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 173
1. 주민참여의 의미와 유형 = 173
2. 현행 주민참여제도의 실태 = 178
3. 현행 주민참여제도의 개선과 발전방안 = 189
제15장 자치경찰제도와 교육자체제도의 이해 = 195
1. 자치경찰제도 = 195
2. 지방교육자치 = 210
제16장 지역정보화 = 220
1. 정보사회와 지역정보화 = 220
2. 지역정보화와 지역발전에 대한 논의 = 224
3. 지역정보화의 추진유형과 내용 = 228
4. 지역정보화와 지방자치 = 233
5. 지역정보추진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235
제17장 지방의회와 자치단체장과의 관계 = 240
1. 지방의회와 단체장관계에 대한 일반적 논의 = 240
2. 지방의회와 자치단체장과의 관계유형 = 247
제18장 지역혁신의 방안 = 254
1. 지역혁신과 지방대학의 역할 = 254
2. 지역혁신체제와 대학의 구조적 네트워크의 방향 = 265
3. 지역혁신을 위한 지역 대학의 과제와 역할증대방안 = 271
제19장 지역사회복지 = 281
1.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이론 = 281
2. 로컬 거버넌스차원에서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논의 = 293
3. 지역사회복지발전을 위한 협력방안 모색 = 302
제4편 부록 = 307
참고문헌 = 309
부록 : 지방자치법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