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6편의 한국 영화·6개의 영화 이론

영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6편의 한국 영화·6개의 영화 이론 (Loan 11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임정택 신양섭
Title Statement
영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6편의 한국 영화·6개의 영화 이론 / 임정택 , 신양섭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부 ,   2006   (2008 3쇄).  
Physical Medium
xi, 175 p. ; 23 cm.
Series Statement
미디어 & 아트 = Media & art ; 3
ISBN
8971417498
000 00703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315994
005 20100805061402
007 ta
008 061020s2006 ulk AQ 000c kor
020 ▼a 8971417498 ▼g 03680
035 ▼a (KERIS)BIB000010712542
040 ▼a 211046 ▼d 211046 ▼d 211009 ▼d 244002
082 0 4 ▼a 791.43015 ▼2 22
090 ▼a 791.43015 ▼b 2006o
100 1 ▼a 임정택 ▼0 AUTH(211009)50962
245 1 0 ▼a 영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b 6편의 한국 영화·6개의 영화 이론 / ▼d 임정택 , ▼e 신양섭 지음.
260 ▼a 서울 : ▼b 연세대학교 출판부 , ▼c 2006 ▼g (2008 3쇄).
300 ▼a xi, 175 p. ; ▼c 23 cm.
440 0 0 ▼a 미디어 & 아트 = ▼x Media & art ; ▼v 3
700 1 ▼a 신양섭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15 2006o Accession No. 1113923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15 2006o Accession No. 1113923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91.43015 2006o Accession No. 12113653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91.43015 2006o Accession No. 1211365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91.43015 2006o Accession No. 1512631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15 2006o Accession No. 1113923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15 2006o Accession No. 1113923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91.43015 2006o Accession No. 12113653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91.43015 2006o Accession No. 1211365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91.43015 2006o Accession No. 1512631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임정택(지은이)

연세대학교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콘스탄츠 대학교에서 독문학과 매체사회학을 연구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8년 미디어아트연구소를 설립하여 인문학이 적대시해왔던 미디어와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끌어안으면서 인문학의 지평을 확장하는 프로젝트들을 주도해왔다. 저자가 수행한 ‘매체와 이야기의 인문학’ ‘상상력과 테크놀로지-기계와 인간의 인문학’은 모두 인문학과 타 학문과의 융합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현실에 직접 참여하고 활용될 수 있는 응용인문학을 추구한다. 이러한 그의 ‘반인문학적’ 행로는 대학교수로서보다는 위기의 인문학을 기회의 인문학으로 바꾼 지식경영인의 모습이다. 학부시절부터 현재까지 동화, 낭만주의, 영화, 디지털문화, 테크놀로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면서 상상력이야말로 가장 융합적인 연구 주제라는 것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그는 상상력과 테크놀로지가 더 이상 적대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보적 관계에 있으며, 이들을 조화로운 균형 상태로 되돌려놓을 때 상상력이 진정한 국가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이 그 서막을 열어 미래를 향한 경계 넘기의 상상력을 키우고, 과학기술을 아우르는 융합적 상상력 교육 모델과 콘텐츠가 개발되길 원한다. 지금까지《영화와 시선》《미디어 & 아트》《테크노컬처》 등 총서 40여 권을 기획 출판하였으며, 주요 공저로는《세계영화사강의》《영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동아시아 영화의 근대성과 탈식민성》《바퀴와 속도의 문명사》《시각기계의 문명사》《의학적 상상력의 힘》 등이 있다.

신양섭(지은이)

건국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단국대학교 등에서 다년간 영화 이론과 비평을 가르쳐 왔다. 중심 연구분야는 영화와 형 이상학, 현대 매체 이론, 영상과 게임 이론 등이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독일로 유학, 쾰른대학교 연극영화TV학과에서 영화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철학과 동양철학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마쳤다. 박사 학위 논문은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의 매체론의 관점에서 본 노자의 道」(2017)이다. 저서로 『영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임정택·신양섭 공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6)가 있다. 10여 편의 영화와 철학 관련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2021년에 연구 주제인 ‘스탠리 카벨의 오토마티즘 이론의 세 가지 주제 요소들: 영화, 존재 론, 철학지성’으로 한국연구재단 주관 인문사회 분야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1 영화는 현실을 어떻게 담아내야 하는가 -〈티켓〉에서 리얼리즘을 체험하다- = 1
 1.1 살아 있는 체험으로서의 영화 현실 = 1
  영화 리얼리즘의 두 계보 : 다큐멘터리와 비판적 사실주의 = 1
  리얼리즘 미학의 척도는 궁극적으로 생동감이다 = 3
  진정한 휴머니즘을 통한 소재주의의 극복 = 4
  총체성은 궁극적으로 수평관계를 지향한다 = 6
 1.2 리얼리즘 영화의 인물 묘사 = 7
  주인공들의 희노애락이 무엇인지 자세히 살펴보라 = 7
  사물에 사람의 마음이 담긴다 = 10
  다채로운 욕망은 입체적 캐릭터의 기본이다 = 11
 1.3 리얼리즘 영화의 공간 활용 = 12
  공간의 리얼리즘적 의미 = 12
  극적 기능으로 구분되는 공간의 구조 = 14
  자의식의 집적체로서의 공간 = 15
  사람도 변하고 공간도 변한다 = 17
 1.4 문화와 토대의 관계 = 18
  자연주의… 리얼리티의 차가움 = 18
  신분 상승과 몸의 상품 가치 = 20
  좌절은 비판 의식을 낳는다 = 21
 1.5 리얼리즘의 여러 얼굴 = 23
  작품이 다르면 세계도 다르다 = 23
  실제 인간들의 다양한 형상들 = 24
  길 위에서 인간은 인간으로 만난다 = 26
  참고 영화 = 29
2 영화다운 영화란 무엇인가 -〈오! 수정〉을 작가 영화로 보다- = 33
 2.1 작가 영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 33
  작가적 스타일의 집적체로서의 〈오! 수정〉 = 33
  작가 영화가 어려운 몇 몇 까닭들 = 35
 2.2 스타일로서의 작가성 = 37
  장르 영화의 공식으로 설명되지 않는 잉여분 = 37
  텍스트에 표면화되는 영화 미학적 자의식 = 39
 2.3 작가가 바라보는 시선 = 42
  작가 영화가 종종 내향적인 이유 = 42
  주관적 지식인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 45
  영화적 형식을 통한 주제의 내향화 = 46
 2.4 장면 구성에 따른 작가성의 발현 = 49
  선정적 소재의 기계적 반복 = 49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수사학적 변증법 = 51
 2.5 알레고리로서의 영화적 사건 = 54
  주제의 알레고리적 독해 = 54
  장소를 실제 이름으로 구체화한 까닭 = 55
  참고 영화 = 59
3 영화는 어떻게 분석될 수 있는가 -〈인정사정 볼 것 없다〉를 기호학으로 읽다- = 61
 3.1 기호적 체계로서의 영화 = 61
  40 계단 시퀀스의 총체성 = 61
  기호를 통한 영화적 상징 구조의 세분화 = 64
 3.2 영화로서만 의미 있는 요소들 = 66
  기호로서의 인물-동일성과 변주 = 66
  장르적 변화 그리고 자기 모방 = 68
  과장과 현란함 그 사이에 = 71
 3.3 기호적 내러티브의 창출 = 72
  인상적인 장면 이후의 문제 = 72
  하이브리드 장르를 통한 서사 구조 바꾸기 = 73
  미장센은 장르적 변화를 반영하는 디테일이다 = 75
 3.4 기호적 수사학 = 76
  주변 인물을 통한 점층법의 효과 = 76
  클라이맥스에서 터뜨리기 = 78
 3.5 기호로서 캐릭터 만들기 = 81
  기호를 통한 인물의 정형화 = 81
  기호의 상징적 활용 = 83
  참고 영화 = 86
4 우리는 왜 영화를 보는가 -〈하녀〉를 정신 분석학으로 해부하다- = 89
 4.1 억압된 욕망의 발현 = 89
  욕망을 분출하는 장(場)으로서의 영화 = 89
  주인공의 짓은 왜, 어떻게 이상한가 = 90
  꿈의 존재 논리-전이, 응축, 상징화, 파편화 = 92
 4.2 결핍된 인물 또는 타자로서의 존재 = 94
  가시화되지 않은 실재 … 타자(他者)의 숭고함 = 94
  의미의 블랙홀 …… 기차 = 97
 4.3 전이된 인물로서의 캐릭터 = 99
  순간의 그로테스크한 경제학 = 99
  불길함의 미학 = 102
 4.4 공간 분류와 상징화 = 105
  욕망에 따른 공간 배치-하녀의 방은 왜 이층인가 = 105
  욕구가 향하는 지점-그녀는 하녀(下女)다 = 106
  통과 지점으로서의 공간-하강과 상승이 공존하는 계단 = 108
 4.5 꿈 형식의 서사적 활용 = 109
  끝은 있되 시작이 없다-영원히 순환되는 고리 = 109
  반(半) 존재이자 반(反) 존재로서의 꿈 그리고 영화 = 111
  욕망의 언어는 재현이 아니라 구성이다 = 113
  참고 영화 = 115
5 무엇을 위하여 영화를 만드는가 -〈초록물고기〉를 이데올로기 비판적으로 해석하다- = 119
 5.1 이데올로기로서의 영화 = 119
  영화와 이데올로기 비판 = 119
  장르 영화로 장르 영화를 극복하다 = 120
  이데올로기 비판으로서의 〈초록물고기〉의 희소성 = 122
 5.2 몽타주와 미장센을 매개하는 '경제'의 논리 = 123
  전형적인 한국형 누아르의 구성 = 123
  몽타주와 미장센의 실전적 선택 = 125
  진정한 누아르의 진혼곡(鎭魂曲)으로…… = 128
 5.3 영웅ㆍ반영웅의 변증법적 양상 = 130
  과연 영웅이 돌아온 것인가? = 130
  누아르 요소의 리얼리즘적 활용 = 132
  소박한 꿈, 소박한 인간 = 133
 5.4 성장과 소외 = 134
  소외된 성장 = 134
  죽음의 이미지 = 136
 5.5 안으로부터의 전복: 주류적 대안 = 138
  영화적 상징으로 담아내는 동시대성 = 138
  작가와 장르가 만나다 = 140
  참고 영화 = 144
6 영화를 본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파란대문〉을 인지주의/현대장르 이론으로 열어보다- = 147
 6.1 영화 : 관객이 동참하는 퍼즐 게임 = 147
  관객은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영화를 본다 = 147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것이 곧 이해의 과정인 '이상한' 영화 = 148
  장르는 알아맞히기 퍼즐이다 = 150
 6.2 시사의 빈 칸 채워 넣기 = 151
  진아의 과거는 영화 안에서는 없다 = 151
  진아의 미래는 영화 밖에서도 없다 = 153
 6.3 장르의 새로움 = 156
  멜로 드라마의 소우주 …… 파란 대문 = 156
  정서와 정서의 폭발적 연쇄 반응 = 158
  개코는 진아를 사랑했다 = 161
 6.4 일상 속의 신화 = 162
  장르 안에 삶의 원형이 담겨 있다 = 162
  〈파란 대문〉의 신화적 측면은? = 163
  방안을 둘러보는 순간 사랑하다 = 165
 6.5 영화 읽기는 여전히 미완성이다 = 167
  다른 다섯 개의 이론 틀로 읽어보는 파란 대문 = 167
  파란 대문 앞에 선 현대 영화 이론 = 169
  참고 영화 = 17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
국가기록원. 서비스정책과 (2022)
Duras, Marguerite (2022)
四方田太彦 (2022)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22)
Eaghll, Tenza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