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1 영화는 현실을 어떻게 담아내야 하는가 -〈티켓〉에서 리얼리즘을 체험하다- = 1
1.1 살아 있는 체험으로서의 영화 현실 = 1
영화 리얼리즘의 두 계보 : 다큐멘터리와 비판적 사실주의 = 1
리얼리즘 미학의 척도는 궁극적으로 생동감이다 = 3
진정한 휴머니즘을 통한 소재주의의 극복 = 4
총체성은 궁극적으로 수평관계를 지향한다 = 6
1.2 리얼리즘 영화의 인물 묘사 = 7
주인공들의 희노애락이 무엇인지 자세히 살펴보라 = 7
사물에 사람의 마음이 담긴다 = 10
다채로운 욕망은 입체적 캐릭터의 기본이다 = 11
1.3 리얼리즘 영화의 공간 활용 = 12
공간의 리얼리즘적 의미 = 12
극적 기능으로 구분되는 공간의 구조 = 14
자의식의 집적체로서의 공간 = 15
사람도 변하고 공간도 변한다 = 17
1.4 문화와 토대의 관계 = 18
자연주의… 리얼리티의 차가움 = 18
신분 상승과 몸의 상품 가치 = 20
좌절은 비판 의식을 낳는다 = 21
1.5 리얼리즘의 여러 얼굴 = 23
작품이 다르면 세계도 다르다 = 23
실제 인간들의 다양한 형상들 = 24
길 위에서 인간은 인간으로 만난다 = 26
참고 영화 = 29
2 영화다운 영화란 무엇인가 -〈오! 수정〉을 작가 영화로 보다- = 33
2.1 작가 영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 33
작가적 스타일의 집적체로서의 〈오! 수정〉 = 33
작가 영화가 어려운 몇 몇 까닭들 = 35
2.2 스타일로서의 작가성 = 37
장르 영화의 공식으로 설명되지 않는 잉여분 = 37
텍스트에 표면화되는 영화 미학적 자의식 = 39
2.3 작가가 바라보는 시선 = 42
작가 영화가 종종 내향적인 이유 = 42
주관적 지식인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 45
영화적 형식을 통한 주제의 내향화 = 46
2.4 장면 구성에 따른 작가성의 발현 = 49
선정적 소재의 기계적 반복 = 49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수사학적 변증법 = 51
2.5 알레고리로서의 영화적 사건 = 54
주제의 알레고리적 독해 = 54
장소를 실제 이름으로 구체화한 까닭 = 55
참고 영화 = 59
3 영화는 어떻게 분석될 수 있는가 -〈인정사정 볼 것 없다〉를 기호학으로 읽다- = 61
3.1 기호적 체계로서의 영화 = 61
40 계단 시퀀스의 총체성 = 61
기호를 통한 영화적 상징 구조의 세분화 = 64
3.2 영화로서만 의미 있는 요소들 = 66
기호로서의 인물-동일성과 변주 = 66
장르적 변화 그리고 자기 모방 = 68
과장과 현란함 그 사이에 = 71
3.3 기호적 내러티브의 창출 = 72
인상적인 장면 이후의 문제 = 72
하이브리드 장르를 통한 서사 구조 바꾸기 = 73
미장센은 장르적 변화를 반영하는 디테일이다 = 75
3.4 기호적 수사학 = 76
주변 인물을 통한 점층법의 효과 = 76
클라이맥스에서 터뜨리기 = 78
3.5 기호로서 캐릭터 만들기 = 81
기호를 통한 인물의 정형화 = 81
기호의 상징적 활용 = 83
참고 영화 = 86
4 우리는 왜 영화를 보는가 -〈하녀〉를 정신 분석학으로 해부하다- = 89
4.1 억압된 욕망의 발현 = 89
욕망을 분출하는 장(場)으로서의 영화 = 89
주인공의 짓은 왜, 어떻게 이상한가 = 90
꿈의 존재 논리-전이, 응축, 상징화, 파편화 = 92
4.2 결핍된 인물 또는 타자로서의 존재 = 94
가시화되지 않은 실재 … 타자(他者)의 숭고함 = 94
의미의 블랙홀 …… 기차 = 97
4.3 전이된 인물로서의 캐릭터 = 99
순간의 그로테스크한 경제학 = 99
불길함의 미학 = 102
4.4 공간 분류와 상징화 = 105
욕망에 따른 공간 배치-하녀의 방은 왜 이층인가 = 105
욕구가 향하는 지점-그녀는 하녀(下女)다 = 106
통과 지점으로서의 공간-하강과 상승이 공존하는 계단 = 108
4.5 꿈 형식의 서사적 활용 = 109
끝은 있되 시작이 없다-영원히 순환되는 고리 = 109
반(半) 존재이자 반(反) 존재로서의 꿈 그리고 영화 = 111
욕망의 언어는 재현이 아니라 구성이다 = 113
참고 영화 = 115
5 무엇을 위하여 영화를 만드는가 -〈초록물고기〉를 이데올로기 비판적으로 해석하다- = 119
5.1 이데올로기로서의 영화 = 119
영화와 이데올로기 비판 = 119
장르 영화로 장르 영화를 극복하다 = 120
이데올로기 비판으로서의 〈초록물고기〉의 희소성 = 122
5.2 몽타주와 미장센을 매개하는 '경제'의 논리 = 123
전형적인 한국형 누아르의 구성 = 123
몽타주와 미장센의 실전적 선택 = 125
진정한 누아르의 진혼곡(鎭魂曲)으로…… = 128
5.3 영웅ㆍ반영웅의 변증법적 양상 = 130
과연 영웅이 돌아온 것인가? = 130
누아르 요소의 리얼리즘적 활용 = 132
소박한 꿈, 소박한 인간 = 133
5.4 성장과 소외 = 134
소외된 성장 = 134
죽음의 이미지 = 136
5.5 안으로부터의 전복: 주류적 대안 = 138
영화적 상징으로 담아내는 동시대성 = 138
작가와 장르가 만나다 = 140
참고 영화 = 144
6 영화를 본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파란대문〉을 인지주의/현대장르 이론으로 열어보다- = 147
6.1 영화 : 관객이 동참하는 퍼즐 게임 = 147
관객은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영화를 본다 = 147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것이 곧 이해의 과정인 '이상한' 영화 = 148
장르는 알아맞히기 퍼즐이다 = 150
6.2 시사의 빈 칸 채워 넣기 = 151
진아의 과거는 영화 안에서는 없다 = 151
진아의 미래는 영화 밖에서도 없다 = 153
6.3 장르의 새로움 = 156
멜로 드라마의 소우주 …… 파란 대문 = 156
정서와 정서의 폭발적 연쇄 반응 = 158
개코는 진아를 사랑했다 = 161
6.4 일상 속의 신화 = 162
장르 안에 삶의 원형이 담겨 있다 = 162
〈파란 대문〉의 신화적 측면은? = 163
방안을 둘러보는 순간 사랑하다 = 165
6.5 영화 읽기는 여전히 미완성이다 = 167
다른 다섯 개의 이론 틀로 읽어보는 파란 대문 = 167
파란 대문 앞에 선 현대 영화 이론 = 169
참고 영화 =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