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성격 이론(일상적인 관찰에서 체계적인 이론까지)
성격을 왜 연구해야 하는가 = 29
성격의 정의 = 30
성격이 무엇이고, 어떻게 발달하며, 왜 그런 성격이 형성되었는지에 대해 답을 줄 수 있는 성격 이론 = 31
구조 = 32
과정 = 34
성장과 발달 = 36
정신병리와 행동 변화 = 44
요약 = 44
성격 이론에서의 중요한 쟁점 = 44
인간에 대한 철학적 견해 = 44
행동의 내적, 외적 결정 요인들 = 45
시간과 상황에 걸친 일관성 = 47
행동의 일관성과 자기 개념 = 48
무의식의 개념과 다양한 의식 상태 = 50
인지, 정서, 외현적 행동들 간의 관련성 = 50
행동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의 영향 = 51
요약 = 52
이론의 평가 = 53
포괄성 = 54
간결성 = 55
연구의 활용성 = 55
요약 = 56
이론과 성격의 연구 = 56
주요 개념 = 57
다시 훑기 = 58
제2장 성격에 대한 과학적 연구
성격 심리학의 자료 = 63
연구의 목표: 신뢰도, 타당도, 윤리적 고려 = 68
신뢰도 = 68
타당도 = 69
공공정책과 연구의 윤리성 = 69
연구를 위한 세 가지 일반적인 접근 = 71
사례 연구와 임상적인 연구 = 72
실험실 연구 및 실험연구 = 75
성격 질문지와 상관 연구 = 78
대안적 연구 접근들에 대한 평가 = 87
사례 연구와 임상적인 연구: 강점과 제한점 = 87
실험 연구: 강점과 제한점 = 91
상관 연구와 질문지: 강점과 제한점 = 93
강점과 제한점들에 대한 요약 = 95
성격 이론과 성격 연구 = 96
성격 측정과 Jim의 사례 = 97
주요 개념 = 99
다시 훑기 = 101
제3장 정신역동적 이론(Freud의 정신역동적 성격이론)
SIGMUND FREUD(1856-1939) = 108
인간과 사회에 대한 Freud의 관점 = 112
과학, 이론, 연구에 대한 Freud의 관점 = 114
정신 분석: 성격 이론 = 116
구조 = 116
과정 = 132
성장과 발달 = 145
사고 과정의 발달 = 146
본능의 발달 = 147
초기 경험의 중요성 = 155
주요 개념 = 158
다시 훑기 = 163
제4장 정신역동적 이론(Freud 이론의 평가와 적용)
임상적 적용 = 169
평가: 투사적 검사들 = 169
정신병리 = 177
행동 변화 = 182
사례: 꼬마 Hans = 188
JIM의 사례 = 194
로샤검사와 TAT: 정신분석 이론 = 194
투사적 검사와 정신분석 이론 = 199
관련 이론과 최근 이론 = 200
Freud에 대한 초기 두 도전 = 201
문화와 대인 관계의 강조 = 206
전통적인 정신분석 내에서의 최근 이론 = 209
임상적 평가 = 221
주요 공헌 = 222
이론의 한계점 = 222
요약 = 225
주요 개념 = 227
다시 훑기 = 228
제5장 현상학적 이론(Carl Rogers의 인간-중심 성격 이론)
CARL R. ROGERS(1902-1987): 이론적 관점 = 235
인간에 대한 Rogers의 관점 = 238
과학, 이론, 연구에 대한 Rogers의 관점 = 239
Carl Rogers의 성격이론 = 240
구조 = 240
과정 = 249
성장과 발달 = 258
결론 = 265
주요 개념 = 265
다시 훑기 = 267
제6장 현상학적 이론(Rogers 이론의 평가와 적용)
임상적 적용 = 273
정신병리 = 273
변화 = 277
사례: Mrs Oak = 282
Jim의 사례 = 285
의미미분 척도: 현상학적 이론 = 285
최근의 이론 = 288
Rogers의 강조점 전환: 개인에서 집단과 사회로 = 288
자기에 대한 관심과 내적으로 동기화된 목표들 = 288
관련 이론 = 292
인간 잠재력 운동 = 292
비판적인 평가 = 300
현상학 = 300
자기 개념 = 302
갈등, 불안, 방어 = 304
정신병리와 변화 306
요약 평가 = 307
주요 개념 = 309
다시 훑기 = 310
제7장 성격에 대한 특성 접근(ALLPORT, EYSENCK, CATTEL)
특성 개념 = 315
특성이란 무엇인가? = 315
특성 이론가들이 공유하는 기본적인 관점 = 317
Gordon W. Allport의 특성 이론(1897-1967) = 318
특성, 상태, 활동 = 319
특성의 종류 = 320
기능적 자율성 = 321
개별사례 연구 = 321
Allport에 대한 추가 설명 = 322
Hans J. Eysenck의 3요인 이론(1916-1997) = 323
특성 측정: 요인분석 = 323
성격의 기본적인 차원 = 325
정신병리와 행동변화 = 332
Eysenck에 대한 평가 = 334
Raymond B. Cattell의 요인-분석적 특성 접근(1905-1998) = 335
Cattell의 과학관 = 336
Cattall의 성격 이론 = 338
Cattell에 대한 논평 = 346
특성 이론: Allport, Eysenck, Cattell = 347
주요 개념 = 348
다시 훑기 = 351
제8장 특성 이론(5요인 모델; 성격에 대한 특성 접근의 평가와 적용)
성격의 5요인 모델 = 358
질문지와 자연 언어를 사용한 특성 용어들의 분석 = 359
Big Five에 대한 이론적 모델 = 369
성장과 발달 = 371
모델의 적용 = 376
JIM의 사례 = 380
16 P.F. 질문지: 특성, 요인 분석 이론 = 380
성격의 안정성: 5년 후와 20년의 후의 Jim = 383
평가: 개인-상황 논쟁 = 389
종단적인 안정성 = 390
상황에 따른 안정성 = 391
결론 = 392
특성 접근의 전체적인 평가 = 393
이론의 강점 = 393
이론의 제한점 = 397
주요 개념 = 401
다시 훑기 = 402
제9장 성격의 생물학적 토대
기질: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심신관련성에 대한 견해 = 408
체격과 기질: 초기 견해 = 408
체격과 기질: 종단적인 연구 = 412
체격과 기질: 억제적인 아동과 비억제적인 아동에 대한 Kagan의 연구 = 414
체격과 기질: 요약 = 416
성격과 진화론: 현대의 통합, 1부 = 417
배우자 선호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차이 = 419
질투 원인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차이 = 421
진화론과 Big Five 성격 차원들 = 422
진화론적 설명: 논평 = 423
유전과 성격: 현대의 통합, 2부 = 426
행동 유전학 = 427
환경과 유전-환경 상호작용 = 436
신경과학과 성격 = 442
뇌기능의 국제화: 편도체 = 442
좌, 우반구 우세성 = 444
신경전달물질의 기능: 도파민과 세로토닌 = 446
신경 생물학과 세 가지 주요한 기질적 영역 = 447
가소성 : 생물학적 과정들은 원인이자 결과이다 = 451
요약 = 453
생물학과 사회정치적 쟁점 = 453
주요 개념 = 455
다시 훑기 = 457
제10장 성격의 학습론적 접근법
인간과 과학에 대한 학습론적 관점 = 463
Watson의 행동주의 = 464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 = 466
이론적 관점 = 466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 = 467
정신병리와 변화 = 471
꼬마 Hans 사례의 재해석 = 479
이후의 발달 = 481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 483
이론적 관점 = 483
Skinner의 성격 이론 = 486
자극-반응 이론: Hull, Dollard, Miller = 500
이론적 관점 = 500
성격의 자극-반응 이론 = 502
학습론적 접근법과 이전 이론의 비교 = 508
비평적 평가 = 509
학습론적 접근의 강점 = 509
학습적 접근의 한계 = 510
주요 개념 = 513
다시 훑기 = 517
제11장 성격의 인지이론(George A. Kelly의 성격에 대한 개인구성개념 이론)
GEORGE A. KELLY(1905-1966): 이론적 관점 = 525
인간에 대한 Kelly의 관점 = 526
과학, 이론, 연구에 대한 Kelly의 관점 = 528
George A. Kelly의 성격이론 = 531
구조 = 531
과정 = 543
성장과 발달 = 549
임상적 적용 = 550
정신병리 = 550
변화 = 555
사례 : Ronald Barret = 562
Jim의 사례 = 565
Rep Test : 개인구성개념 이론 = 565
관련된 관점과 최근의 이론적 발달 = 568
비평적인 평가 = 570
이론의 제한점과 장점 = 570
주요 개념 = 574
다시 훑기 = 577
제12장 사회인지이론(Bandura and Mischel)
이론적 개관 = 584
ALBERT BANDURA(1925-) = 584
WALTER MISCHEL(1930-) = 585
인간관 = 588
과학, 이론, 연구에 대한 관점 = 589
성격에 대한 사회인지 이론 = 590
구조 = 590
과정 = 595
성장과 발달 = 603
주요 개념 = 611
다시 훑기 = 614
제13장 사회인지이론(적용과 평가)
임상적 적용 = 619
정신병리 = 619
변화 = 624
Jim의 사례 = 631
사회인지 이론 : 목표, 강화, 자기 효능감 = 631
최근의 이론적 발전 = 634
비교 분석 = 635
사회인지 이론과 정신분석 이론 = 635
사회인지 이론과 현상학적 이론 = 636
사회인지 이론과 개인구성개념 이론 = 637
사회인지 이론과 특성 이론 = 637
사회인지 이론과 학습 이론 = 638
비판적 평가 = 639
이론의 강점 = 639
이론의 제한점 = 641
주요 개념 = 646
다시 훑기 = 647
제14장 성격의 인지적, 정보 처리적 접근
인지적 구조 = 654
범주 = 654
인과적 설명과 귀인 = 667
암묵적 성격 이론 = 670
요약 = 671
임상적 적용 = 672
스트레스와 대처 = 673
병리와 변화 = 676
Jim의 사례 = 681
정보처리 이론: 인지와 대처 전략 = 681
일반적인 인지 양상과 귀인, 역기능적 사고 = 682
대처 전략 = 684
요약 = 684
최근의 이론적 발달 = 685
인지에서 감정과 동기로 = 685
의식적 인지에서 무의식적 인지로 = 686
사고에서 행동으로 = 687
일방적인 서구적 자기에서 비교 문화적 자기로 = 687
정보처리 이론과 전통 성격 이론과의 관계 = 689
비판적 평가 = 691
접근법의 강점 = 691
접근법의 한계 = 693
주요 개념 = 695
다시 훑기 = 697
제15장 성격 이론, 측정, 연구에 대한 개관
과학적 진보의 이론과 역사 = 705
과학적 발전의 단계 = 705
성격 이론을 분류하는 논쟁점들 = 711
인간에 대한 철학적 견해 = 711
인간행동의 내적, 외적 원인들 = 712
시간과 상황에 따른 행동의 일관성 = 713
행동의 통합성과 자기 개념 = 715
자각의 다양한 상태와 무의식의 개념 = 717
인지, 정서, 행동의 관계 = 718
과거, 현재, 미래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719
"What, How. Why"에 대한 해답으로서의 성격이론 = 720
성격 구조 = 720
과정 = 722
성장과 발달 = 724
정신병리 = 725
변화 = 726
생물학적 기초와 해석 수준 = 728
이론과 측정, 연구 사이의 관계 = 730
Jim의 사례 = 731
각 이론들에 따른 측정 자료들 간의 비교 = 731
시간에 따른 일관성과 변화 = 732
검사결과에 대한 Jim의 평가 = 732
요약 = 733
최종 요약 = 734
다시 훑기 = 735
용어정리 = 737
참고문헌 = 756
색인(주제) = 788
색인(인명) = 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