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교육과정 이론 = 9
1. 교육과정 개념 = 11
1) 교육과정의 의미 = 11
2) 교육과정의 정의 = 18
2. 교육과정 이론의 발달 = 26
1) 교육과정 전문가들이 등장하기 이전의 교육과정 = 26
2) Bobbitt 이론 = 28
3) Tyler 이론 = 32
4) Schwab 이론 = 41
3. 교육과정 설계 이론 = 50
1) 교육과정의 설계의 개념 = 50
2) 교육과정 설계 유형 = 61
4. 한국의 교육과정 이론 = 86
1) 실학파의 교육과정 이론 = 86
2) 개화기의 교육과정 이론 = 89
3) 21C 교육과정 이론 = 94
4) 한국 교육과정 이론의 문제점 = 105
5. 해방 이후의 한국 교육과정 변천사 = 112
1) 미군 정기와 정부수립 초기의 교육 = 112
2) 교육과정기 = 114
제2부 교육과정 유형 = 137
1. 학문중심 교육과정 = 139
2. 교과중심 교육과정 = 144
3. 아동중심 교육과정 = 148
4. 사회중심 교육과정 = 154
5. 기술중심 교육과정 = 161
제3부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 자료 = 167
1. 현대 사회의 특성 = 169
1)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 자료 연구의 의의 = 169
2) 현대 사회의 특성 = 170
3) 기술의 변화 = 171
4) 사회조직 = 177
5) 사회의 가치 체계 = 179
2. 지식의 본질 = 181
1) 산업사회의 과학적 지식 = 185
2) 고도 산업사회의 지식 = 190
3. 인간성의 연구 = 196
1) 인간의 다면성 = 196
2) A. Maslow의 인간 연구 = 201
제4부 교육과정 구성 = 219
1. 교육목적 설계 방법 = 222
1) 교육목표 설정의 기초 자료인 학습자에 대한 연구 = 224
2) 학교 밖의 현대 사회에 대한 연구 = 231
3) 교과 전공자들이 제시하는 교육목표 = 237
4) 목표 선정에 있어서의 철학의 활용 = 243
5) 목표 선정에 있어서의 학습심리의 활용 = 246
6) 학습경험의 선정이나 교수방법의 선택에 도움이 되는 목표 진술방법 = 248
2. 학습경험 선정 방법 = 261
1) 학습경험이라는 용어의 의미 = 261
2) 학습경험 선정의 일반적 원칙 = 263
3) 목표 달성에 유용한 학습경험의 예 = 265
3. 학습경험의 조직 방법 = 276
1) '조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276
2) 효과적인 조직의 기준 = 277
3) 조직에 필요한 요소 = 279
4) 조직의 원리 = 286
5) 조직의 구조 = 287
6) 조직의 단위를 설계하는 과정 = 289
4. 학습경험의 평가방법 = 291
1) 평가의 필요성 = 291
2) 평가에 대한 기본 개념 = 292
3) 평가절차 = 295
4) 평가결과의 활용 = 302
5) 평가절차의 활용과 가치 = 304
5. 교사들의 교육과정 설계에의 참여방법 = 306
제5부 교수와 학습지도 이론 = 309
1. 학습지도 = 311
1) 공학적 관점 = 313
2) 인간주의적 관점 = 315
3) 학문적 관점 = 317
4) 사회 재건주의적 관점 = 318
2. 교수와 학습지도 = 321
1) 교수와 학습지도의 개념 = 322
2) 교수이론 = 323
3) 학습이론 = 356
3. 교수방법 = 361
1) 강의법 = 362
2) 토의법 = 365
3) 집단협동 학습법 = 368
4) 역할놀이 교수법 = 371
5) 감수성 훈련법 = 372
6) 게임법 = 372
7) OJT = 373
8) 인턴 십 = 373
4. 개별학습 = 374
1) 개별학습의 개념 = 375
2) 통합교육과정 = 376
3) 개별학습의 유형 = 379
제6부 교육평가 = 391
1. 교육평가 = 393
1) 교육평가의 개념 = 395
2) 교육평가의 유형 = 396
3) 평가도구의 제작 = 407
2. 교육과정 평가 = 424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424
2) 교육과정 평가 영역의 수준 = 451
3) 교육과정 평가의 일반적 절차 = 455
참고문헌 = 465
찾아보기 =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