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심리학의 역사 = 21
1. 심리학의 어원 = 21
2. 심리학의 연혁 = 22
3. 심리학의 연구부분과 기초부분 = 28
4. 인간 이해를 위한 심리학적 접근 = 29
1) 초기 심리학의 접근 = 29
2) 현대 심리학의 접근 = 29
5. 각 심리학의 연구 분야 = 34
1) 동물심리학(動物心理學) = 34
2) 아동심리학(兒童心理學) = 34
3) 청년심리학, 노인심리학(靑年心理學, 老人心理學) = 34
4) 미개인 심리학 = 35
5) 성격 심리학(personality psychology) = 35
6)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 36
7) 응용심리학 = 36
8)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 = 37
9) 경제심리학(psychology of economic behavior) = 38
10) 경험심리학(empirical psychology) = 38
11) 계량(측정)심리학(psychometrics) = 39
12)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 41
13) 교정심리학(correctional psychology) = 42
14) 기능심리학(functional psychology) = 42
15) 내용심리학(content psychology) = 43
16) 뉴룩심리학(Newlook psychology) = 44
17) 능력심리학(faculty psychology) = 44
18)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 45
19) 비교심리학(比較心理學, comparative psychology) = 46
20) 사고심리학(思考心理學, psychology of thing) = 47
21)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 48
22) 산업심리학(industrial psychology) = 49
23) 색채심리학(color psychology) = 50
24) 생리심리학(physiological psychology) = 50
25) 이상심리학(abnormal psychology) = 51
26) 정신병리학(psychopathology) = 52
27) 정신분석(psychoanalysis) = 53
6. 심리학적 연구방법접근 = 59
1) 과학적 연구 = 59
2) 실증적 연구 = 61
7. 심리학에 있어서의 감각과 지각 = 65
1) 감각(sensation) = 65
2) 지각(perception) = 66
3) 지각적 해석(perception interpretation) = 70
4) 기억이론(memory theory) = 72
5) 망각이론(forgetting theory) = 73
제2장 성격심리학 = 79
1. 성격의 정의 = 79
2. 성격심리학희 학문적 특성 = 87
3. 성격심리학의 특성 = 88
4. 성격심리학의 주제 = 89
1) 성격의 특질 차원 = 89
2) 성격의 역동성 = 89
3) 성격의 정서 및 동기 요소 = 89
4) 성격의 인지적 측면 = 90
5) 유전과 환경 = 90
6) 성격의 발달 = 92
7) 자기의 발달과 역할 = 92
8) 성격과 정신 및 신체적 건강 = 92
9) 성격의 평가 = 92
10) 공격성과 범죄 = 93
11) 성과 애착 및 사랑 = 93
12) 창의성 = 93
5. 성격심리학 영역의 확장 = 94
6. 성격의 측정 = 95
제3장 정신분석학적 이론 = 103
1. 프로이드(S.Freud)의 정신분석 = 103
1) 프로이드의 성격구조이론 = 105
2) 성격의 구조이론 = 107
3) 성격발달이론 = 112
4) Freud의 성격구조 주요개념 = 120
5) 불안의 생물학적 이론 = 123
6) 불안의 심리학적 이론 = 124
7) 불안의 제이론(不安의 諸理論) = 130
8) 생물정보적 이론 = 131
9) 현실불안(reality anxiety) = 133
10) 신경증 불안(neurotic anxiety) = 134
11)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 134
12) 방어기제의 위계서열 = 138
13) 욕구이론 = 142
14) 성격 평가방법 = 147
15) 성격이론의 적용 = 149
제4장 정신분석적 제학자 성격이론 = 153
1. Alfred Adler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 153
1) Alfred Adler의 주요 개념 = 154
2) 성격의 발달(development of personality) = 160
3) 성격의 유형 = 161
4) Adler의 이론과 Freud 성격이론의 차이점 = 163
2. 분석심리학에서의 융의 성격이론 = 163
1) 융, 성격구조이론의 주요개념(personality structure) = 166
2) 정신의 구조 = 181
3. Erik H Erikson의 심리사회적 성격이론 = 193
1) Erikon의 주요 개념 = 194
2) 성격관계의 범위 = 197
4. 신Freud학파의 성격이론(Neo-Freud personality theory) = 199
1) 카렌 호나이(Karen Horney) = 199
2) 성격발달 = 206
3) 성격이론의 적용 = 208
5. 에릭 프롬(Erich Fromm) = 209
1) Fromm의 주요 개념 = 210
2) 성격의 유형 = 211
3) 성격이론의 적용 = 213
6. 해리 스택 실리번(Harry Stack Sullivan) = 214
1) 성격 본질 = 214
2) 불안(不安, anxiety) = 216
3) 자아체계(self-system) = 216
4) 성격양상 = 217
5) 성격 방어 = 219
6) 성격발달 = 220
7) 성격평가 방법 = 220
7. Murray의 욕구 및 동기이론 = 222
1) Murray의 주요개념 = 223
8. 인본주의적 이론 = 232
1) 기본적 개념 = 232
2) Gordon Willard Allport의 특질이론 = 233
3) 인본주의적 관점에서의 Maslow 자아실현 = 241
9. 행동주의적 성격이론 = 246
1) 성격형성 = 247
10. Rogers의 자기이론과 현상학적 이론 = 248
1) 자기이론의 특징 = 248
2) 주요개념 = 250
11. 실존주의적 접근 = 254
1) 키에르케고르(Kierkegaard) = 255
2) Nietzsche = 256
3) Heidegger = 256
4) May = 257
12. 실존과 실존주의의 이해 = 258
13. 사회학습이론 관점의 성격이론 = 259
1) Rotter의 이론 = 259
2) 개인구성개념이론의 Kelly = 263
3) Ellis, Beck의 인지적 성격이론 = 268
4) Beck의 인지적 성격이론 = 273
제5장 성격장애론과 유형 = 279
1. 성격과 성격장애론 = 279
1) 성격(personality) = 281
2) 성격장애의 정의와 주요 특징 = 282
3) 성격장애의 진단 기준(DSM-IV) = 283
4) 성격장애의 유형과 분류 = 284
5) 성격장애 그룹의 군(群)별 분류 = 288
2. 보드라인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289
1) 문제상황 = 289
2) 진단기준 = 290
3) 성장배경 = 291
4) 이론근거 = 292
3. 히스트로닉 성격장애(Histronic personality disorder) = 293
1) 문제상황 = 293
2) 진단기준 = 294
3) 성장배경 = 295
4) 이론근거 = 296
4. 나르시즘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 297
1) 문제상황 = 297
2) 진단기준 = 298
3) 성장배경 = 299
4) 이론근거 = 299
5. 경계선(borderline)의 성격장애 = 301
1) 신경증과 정신증 경계선 = 301
2) 성격조직으로서의 경계선 = 303
3) 치료하기 어려운 환자 경계선 = 305
4) 경계선에 대한 현대의 견해 = 306
5) 경계선 성격장애의 진단 = 306
6)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 307
7) 경계선 성격장애의 진단 기준(DSM-IV) = 307
8) 인관관계 패턴 = 307
6. 반사회적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 312
1) 문제상황 = 312
2)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세분화 = 312
3) 진단기준 = 313
4) 성장배경 = 314
5) 이론근거 = 315
7. 강박적 성격장애(Obsessive 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 316
1) 문제상황 = 316
2) 진단기준 = 318
3) 성장배경 = 318
4) 이론근거 = 319
8. 회피적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 321
1) 현재상황 = 321
2) 진단기준 = 322
3) 성장배경 = 323
4) 이론근거 = 323
9. 의존적 성격장애(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 325
1) 현재상황 = 325
2) 진단기준 = 325
3) 성장배경 = 326
4) 이론근거 = 327
10. 편집증의 성격장애에 대한 역사적 조망 = 328
1) 편집성의 특징 = 328
2) 편집증(paranoia)의 역사 = 329
3) 근대적 관점 = 330
4) 최근 연구동향 = 332
11. 편집증 성격장애의 특성 = 333
1) 공통적 특성 = 333
2) 행동과 태도 = 335
12. 편집증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 339
1) 현재상황 = 339
2) 진단기준 = 340
3) 성장배경 = 340
4) 이론근거 = 342
13. 자아분열 성격장애(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 343
1) 현재상황 = 343
2) 진단기준 = 344
3) 성장배경 = 344
4) 이론배경 = 345
14. 자아분열 타입 성격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 346
1) 현재상황 = 346
2) 진단기준 = 347
3) 성장배경 = 348
4) 이론근거 = 349
15. 해리성격장애 = 350
1) 해리와 히스테리 = 350
2) 신해리 이론 = 350
3) 해리장애의 진단체계 = 351
4) 해리성 기억상실 = 352
16. 성도착증(paraphilia)의 역사 = 354
1) 성도착증의 유형과 특징 = 354
2) 성도착증과 다른 장애의 구분 = 356
3) 성도착증의 원인 = 357
4) 성도착증의 치료 = 357
5) 성도착증의 진단 기준(DSM-IV) = 358
17. 연극성 성격장애의 특성 = 359
1) 연극성 특성 = 359
2) 연극성 성격장애의 진단기준(DSM-IV) = 362
18. 정신분열증과 정신병(schizophrenia and psychosis) = 363
1) 정신분열증의 기원 = 364
2) 초자연적인 힘의 견해 = 364
3) 자연적인 힘의 견해 = 365
4) 조발성 치매와 정신분열증 = 365
5) 정신분열증의 증상 = 366
6) 정신분열증의 종류와 유형 = 369
19. 정상적 우울과 병적 우울 = 373
1) 정상적 우울과 병적 우울의 구분 = 373
2) 우울증의 진단기준 = 375
3) 우울증의 증상과 유형 = 377
4) 우울증의 신체적 원인 = 382
5) 우울증의 치료법 = 386
20. 성격장애의 심리치료 = 395
1) 현재상황 = 395
2) 치료범위 = 395
3) 심리치료의 장애물 = 396
4) 심리치료의 과정 = 397
21. 성격장애 측면에서 대인관계론(theory of interpersonal relation) = 493
1) 대인관계 형성과 주요인 = 494
제6장 Gestalt 심리학의 연구방법론 = 501
1. 연구방법 = 501
2. Gestalt 심리학의 공헌 = 504
3. 인지심리학(cognitive psychology) = 505
4. 생물심리학 = 506
5. 정서(emotion) = 507
6. Gestalt 학파 = 508
7. 합성적 전체성 개념 = 509
8. 발생학적ㆍ심리학적 전체성 개념 = 512
9. Gestalt의 법칙 = 516
10. 착시와 잔상 = 517
1) 기하학적 착시〔錯視, optical illusion〕 = 517
2) 눈의 운동이론(eye movement theory) = 519
3) 감정이입이론(empathy theory) = 520
4) 장요인 = 520
5) 조망이론 = 520
6) 대비와 혼돈이론(confusion theory) = 521
7) 도형 여파에 관한 포화이론 = 522
11. Kohler의 통찰학습 = 524
12. 베르트하이머의 이해학습 = 525
13. 코프카(Koffka)의 흔적이론 = 527
14. Lewin의 場 이론 = 528
〔부록〕 용어해설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