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지식사회로의 진입과 고등교육의 과제 = 13
제1장 대학의 정체 = 27
역사 속의 대학 = 29
한국 대학의 지적 허무주의: 지성 대 자연의 갈등 속의 한국대학 = 31
향교와 서원, 학벌주의, 그리고 오늘날의 우리나라 대학 = 34
독일식과 미국식, 프랑스식의 대학이념과 그 변화, 그리고 한국식의 대학 현실 = 37
한국의 대학: 기관인가, 제도인가, 인습인가? = 41
대학, 그 탁월한 생존능력 = 43
대학과 토지 = 48
대학은 시설인가 단체인가 = 50
대학과 국가의 관계, 타운십으로서의 대학과 대학본부의 역할 = 55
대학의 논리와 기업의 논리, 그 상호관계 = 59
대학의 자치규범과 학칙 = 62
대학자치문서로서의 대학헌장-국립대학에서 헌장의 필요성 = 65
대학의 역사와 전문직 교육: 전문직(profession)과 전문교육 = 67
대학의 주인과 동업 관계, 대응투자론의 허구 = 71
대학의 핵과 구름 = 73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의 차이 = 75
사학진흥정책: 일본의 경우 = 77
사립대학경영과 이사회의 자율성, 〈개방형이사〉의 문제 = 84
대학의 국적과 정부 간 교류협력으로서의 국제교육 전통, 고등교육시장 = 89
대학과 지방자치단체: 갈등과 협력 = 92
자격으로서의 학위 = 95
제2장 대학구성원의 신분과 지위 = 99
교수ㆍ학생의 소속ㆍ신분의 분할과 그 성격, 학부제 = 101
직업으로서의 대학교수와 그 사회적 지위 = 104
교수 수급 방식 차이의 연원과 교수임용제도, 임용과정 = 107
대학관료제의 대안: 대학 내의 교수지위와 교수조합의 기능성 = 110
교수사회 내의 경쟁 도입의 방법론: 업적평가 대 고객/동료의 선택 = 112
교수들의 경력 발전과 교수자원의 부문 간 이동 촉진 = 115
대학교수의 사회참여: 전문성과 일반교양 = 118
대학과 연구기관 간, 교수와 연구원 간 적절한 역할 분담 = 120
대학 시간강사의 지위와 비정규 교수요원 문제 = 123
보수와 진보 대립의 주무대: 대학 이사회와 대학지배구조 = 126
대학의 학생 선발권과 한국인의 의식ㆍ문화수준 = 130
학생선발에 었어서 대학 내의 분권화 필요성 = 132
학내ㆍ외의 대학생 지위 = 134
대학생 인구의 증가와 학생생활-대학생의 진로와 직업 = 137
학생단체의 변화와 대학의 무력화-현 학생운동의 지난 약사(略史)와 전망 = 142
대학행정사무직원의 지위와 역량의 문제점 = 147
대학행정관리직 개발정책과 대학행정전문직단체 = 153
제3장 대학의 조직과 과정 = 159
대학의 설립유형과 설립과정 = 161
대학총장의 역할과 리더십, 총장 직선제와 대학 내 민주주의 = 165
대학의 중핵기술로서 강의 계획수립과 대학의 조직구성 = 168
교무위원회와 대학 내 위원회들, 교수회의: 대학 내의 합의 문화와 그 한계 = 170
대학 내의 의사결정과 쓰레기통 모델 = 174
대학의 학사조직: 학과와 학부, 교수부, 단과대학과 대학원 = 176
대학 내의 조직과 시장: 대학자율화의 또 다른 차원 = 178
교수와 학생에 대한 투자의 생산성과 대학의 본질로서의 여가 = 180
대학의 기능과 그 활동중심 원가계산에 의한 경비배분 필요성 = 182
자금지원기관-대학-대학교수의 상호관계-교수개인별 계좌 필요성 = 188
대학재정에의 무임승차자들과 그에 따른 혼란 문제 = 192
연구비 중앙관리제의 허실-연구비 집행의 분권화 문제 = 195
대학 내 분규와 그 속성, 원인 = 204
대학 내의 분쟁해결 절차 = 208
대학의 질서유지와 캠퍼스경찰 = 213
대학에서의 전문경영과 기업형 관리 = 215
제4장 대학에서의 학습과 교육과정 = 219
대학에서의 교육과정과 전공 이수 = 221
학문과 예술 그리고 인문주의 = 222
대학교육의 보편화와 교양과정 교육의 변화 = 229
문리대와 사범대ㆍ교육대의 고민과 갈등 = 231
교직의 집단화, 교사의 질과 교사양성전문대학원 = 233
프랑스의 대학부설 교육전문대학원 = 237
공과대학과 공학교육: 공학은 학문(discipline)인가? 기예(Art)인가? = 240
예술대학과 예술교육: 대학교육과의 호환성과 차별성 = 242
대학과 학문의 균형발전-〈이론적 지식〉의 중요성 = 244
대학교육과정개혁과 개혁도구로서의 실라버스 = 249
대학의 Outreach교육: 샌드위치 프로그램, 인턴십과 학교기업, 협동과정 = 253
대학원중심대학과 연구중심대학 = 255
전문대학원과 특수대학원: 체제의 차이와 그 결과 = 257
학점제도, 학점은행-시간제등록과 국민교육계정 = 259
성인 학습자와 독학학위제 학점은행-대학평생교육원의 기능 = 270
고등교육의 국제화: 두 가지 접근 방식 = 274
대학과 사이버학습 = 280
제5장 대학과 사회 = 285
떠오르는 대학의 경쟁자들 = 287
대학 간의 국제교류와 협력 = 288
고등교육 시장개방과 그 쟁점들 = 289
지식의 기능으로서 문제해결과 통제, 대학의 역할 = 292
아카데미즘과 저널리즘, 대학언론과 출판저널리즘, 그리고 학술저널리즘 = 295
사회조직정책과 사회적 신뢰, 전문직의 위기와 대학의 위기 = 298
서비스경제와 국가 경쟁력, 대학의 역할 = 302
서비스무역 협정과 고등교육 시장개방 찬반론 = 305
고등학교와 대학: 교육체제 속에서의 대학 = 308
사회경제적 구조조정과 고등교육 구조조정 = 311
산학협동의 새로운 개념: 신산학협력? = 316
대학과 노동시장의 관계, 학제의 발전방향 = 325
지역사회의 재생을 위한 대학의 역할 = 327
대학과 종교, 사립대학의 건학이념 = 330
대학과 정치: 권력과 진실 = 332
학생운동과 정치발전 = 334
대학과 시민사회 = 339
지방대학위기의 원인과 처방의 담론 = 341
'대학정책실패' 또는 '수도권정책실패' 담론 = 344
지방대학서열화 담론 = 350
지방몰락 담론 = 352
대학특성화와 지방의 발전 = 356
결론: 21세기 한국 대학의 변화와 개혁의 전망 = 361
아ㆍ태지역의 고등교육 특징: 잠재적 서비스 시장 측면 = 363
한국고등교육 정체성: 이념과 추구하는 인간상 = 365
평생학습시대와 대학교육의 지향 = 368
대학과 국가혁신 = 374
대학자율화와 규제개혁, 대학개혁의 주체 = 377
대학평가 제도의 발전과 프랜차이징 = 382
대학 자체의 질 관리 시스템, 수요자 참여 = 384
대학 감독 체제의 확립 = 387
서울대 폐지론의 진전: 국립대평준화와 국립대법인화 = 389
대학자치와 지방자치, 평생학습도시 = 393
산학협력단, 산학협력조정가, 학교기업 = 397
정부출연 연구기관 체제정비와 연구관리 역량 = 400
대학의 인수ㆍ합병, 대학구조조정의 정책 논리와 그 허실 = 401
고등교육구조개혁의 올바른 방향과 방법론 = 407
고등교육 및 학술진흥법제의 개편방향 = 414
참고문헌 =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