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7
머리말 = 19
1. 서론 = 23
2. 보족어와 첨가어, 의무적 결합가와 수의적 결합가 = 139
2.1 들어가는 말 = 39
2.2 의무적 보족어와 수의적 보족어 = 41
2.2.1 의무적 보족어 = 44
2.2.2 수의적 보족어 = 47
2.2.3 의무성과 의미 필수성 = 51
2.3 보족어와 첨가어 변별을 위한 실험 = 57
2.3.1 의미 필수성의 검증을 위한 실험 = 58
2.3.2 하위범주화 실험 = 63
2.4 보족어와 첨가어 변별을 위한 기준 = 65
2.4.1 의미 필수성 = 65
2.4.2 하위범주화 = 70
2.4.3 한정성 = 72
2.4.4 한정성 또는 의미 필수성? = 77
2.5 "Grundz u ·· ge einer deutschen Grammatik"에서 보족어와 첨가어 의무적 결합가와 수의적 결합가 = 80
2.6 결합가와 문장모형 = 82
2.6.1 통사적 문장모형 = 82
2.6.2 의미적 문장모형 = 87
2.7 요약 = 88
3. 확대된 결합가 모형 = 91
3.1 Gerd und Babara Wotjak의 보족어화 모형 = 91
3.2 기본 결합가와 기본 결합가의 축소 및 확대 = 99
3.2.1 결합가 축소 = 111
3.2.2 결합가 확대 = 112
3.2.3 결합가 교체 = 116
3.2.4 전환(수동)과 기본 결합가 = 118
3.2.5 조어와 결합가 = 121
3.2.6 자유 여격 = 123
3.3 자유 첨가어를 결합가 기술에 포함시키기 위한 제안들 = 127
3.3.1 결합가 보유어로서 전치사와 접속사 = 129
3.3.2 Bondzio의 제2 단계 결합가 = 131
3.3.3 수의적 동사 보충어로서 자유 첨가어 = 134
3.4 화용 결합가 = 144
3.5 요약 = 147
4. 상위 이론의 문제 = 151
4.1 결합가 이론과 형식 논리 = 151
4.1.1 결합가 이론과 관계 논리학 = 152
4.1.2 결합가 이론과 논리 통사 = 156
4.2 성분 분석과 결합가 = 159
4.3 결합가의 층위 = 162
4.4 어휘부와 문법 = 176
4.5 결합가 구조와 종속 구조, 구성성분 구조 = 182
5. 결합가와 품사 = 189
5.1 형용사 결합가 = 192
5.1.1 양적 결합가 = 194
5.1.2 질적 결합가 = 196
5.1.3 비교급 = 199
5.1.4 부사어 용법의 형용사와 서술적 부가어 = 201
5.1.5 과정의 목표에 대한 부가어적 관계 = 208
5.1.6 완전 동사에 대한 보족어로서 형용사 = 210
5.1.7 분사의 결합가 = 214
5.2 명사 결합가 = 216
5.2.1 비어휘화된 동사 파생명사 = 221
5.2.2 어휘화된 동사 파생명사 = 230
5.2.3 사건 지칭과 보족어 지칭 = 238
5.2.4 본래 명사의 결합가 문제에 대하여 = 243
5.3 조동사와 결합가 = 246
5.4 요약 = 268
6. 격 이론 = 271
6.1 Fillmore의 구상 = 271
6.2 결합가 이론과 격 이론 = 279
6.3 여러 학문분야에서 격 이론의 효용성 = 284
6.4 Fillmore 격 이론의 개정 = 288
6.4.1 명제와 양상부의 변별 = 293
6.4.2 명사의 본유적 의미자질과 의미역의 변별 = 293
6.4.3 격 위계 = 297
6.4.4 격 자질 = 297
6.4.5 의미역의 동사 의미에 종속 = 299
6.4.6 격 역할의 외연적 규정 또는 내포적 규정ㆍ관점의 문제 = 310
6.4.7 격 역할의 원형적 규정 = 317
6.5 요약 = 335
7. 기능적 결합가 개념과 격 개념 = 337
7.1 기능적 문제제기 대 생성 의미론적 문제제기 = 337
7.2 결합가와 보족어의 순서 = 342
7.3 요약 = 353
약어표 = 354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