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1. 약선 = 13
1) 약선의 정의 = 13
2) 약선의 발전사 = 13
3) 약선의 기본원칙 = 16
4) 약선식품의 성질과 작용 = 17
2. 중국약선과 건강 = 19
1) 약식동원과 한약재 = 19
2) 중국의학의 이론과 처방원칙 = 20
3) 중국의학과 사상 = 20
4) 약선과 영양학 = 21
5) 영양성분과 유효성분 = 22
6) 약물성분과 음식의 작용 = 23
3. 음양오행 = 25
1) 음양오행이란 무엇인가 = 25
2) 음양오행설에 있어서의 5체질은 어떤 것일까 = 28
4. 인체에 대한 식품의 성미와 식품의 색소 = 45
1) 식품의 사성 = 45
2) 성질에 따른 식품의 분류 = 45
3) 인체에 대한 기미와 오미(五味)의 작용 = 46
4) 식품 색소의 분류 = 49
5. 사상체질에 맞는 음식 = 53
1) 태양인(太陽人)과 관련된 음식 = 54
2) 태음인(太陰人)과 관련된 음식 = 54
3) 소양인(少陽人)과 관련된 음식 = 55
4) 소음인(少陰人)과 관련된 음식 = 56
6. 보양식품 = 65
1) 보양식품의 원리 = 65
2) 보양식품의 종류 = 66
(1) 보기식품 = 66
(2) 보혈식품 = 66
(3) 보양식품 = 66
(4) 보음식품 = 67
7. 약선재료 = 69
1) 구멍장이버섯과 = 69
(1) 적지(赤芝) = 69
(2) 화균지(樺菌證) = 69
(3) 송삼영지(松杉靈芝) = 70
2) 마디풀과 = 70
(1) 호장(虎杖) = 70
(2) 하수오(何首烏) = 71
(3) 산대황(山大黃) = 71
3) 삼백초과 = 71
(1) 어성초(魚腥草) = 71
(2) 삼백초(三白草) = 72
(3) 나삭(裸삭) = 72
4) 중국고사리과 = 72
(1) 금분궐(金粉蕨) = 72
(2) 통경초(通經草) = 73
5) 풀고사리과 = 73
(1) 망기(芒箕) = 73
6) 실고사리과 = 73
(1) 해금사(海金沙) = 73
(2) 소엽해금사(小葉海金沙) = 74
(3) 장엽해금사(掌葉海金沙) = 74
7) 마황과 = 74
(1) 목적마황(木賊麻黃) = 74
(2) 초마황(草麻黃) = 75
(3) 반자마황(斑子麻黃) = 75
8) 후추과 = 75
(1) 소엽구(小葉구) = 75
(2) 초호초(草胡椒) = 75
(3) 대엽구(大葉구) = 76
9) 쇠비름과 = 76
(1) 토인삼(土人參) = 76
(2) 마치현(馬齒見) = 76
(3) 가인삼(假人蔘) = 77
10) 미나리아제비과 = 77
(1) 북오두(北烏頭) = 77
(2) 철선련(鐵線蓮) = 77
(3) 승마(升麻) = 78
11) 육두구과 = 78
(1) 육두구(肉豆寇) = 78
12) 양귀비과 = 78
(1) 계향속(계향粟) = 78
(2) 각회향(角茴香) = 79
(3) 화릉초(花菱草) = 79
13) 돌나물과 = 79
(1) 경천(景天) = 79
(2) 백경천(白景天) = 80
14) 콩과 = 80
(1) 아랍백교(阿拉伯膠) = 80
(2) 가목두(假木豆) = 80
(3) 향화애두등(香花崖豆藤) = 81
15) 고추나무과 = 81
(1) 야아춘(野鴉椿) = 81
(2) 성고유(省沽油) = 81
(3) 상홍등(霜紅藤) = 82
16) 포도과 = 82
(1) 과산용(過山龍) = 82
(2) 분등과(粉藤果) = 82
(3) 편담등(扁擔藤) = 83
17) 물레나물과 = 83
(1) 황우다(黃牛茶) = 83
(2) 망종화(芒種花) = 83
(3) 관악토연(寬악土蓮) = 84
18) 두룹나무과 = 84
(1) 삼가피(三加皮) = 84
(2) 통초(通草) = 84
19) 참깨과 = 85
(1) 흑지마(黑芝麻) = 85
20) 박과 = 85
(1) 황과(黃瓜) = 85
21) 벼과 = 85
(1) 황금간벽죽(黃金間碧竹) = 85
(2) 부소맥(浮小麥) = 86
(3) 곡아(穀芽) = 86
22) 파인애플과 = 86
(1) 봉리(鳳梨) = 86
23) 마과 = 87
(1) 산약(山藥) = 87
(2) 황산약(黃山藥) = 87
(3) 점산약(점山藥) = 87
24) 미나리과 = 88
(1) 장회향(藏茴香) = 88
25) 굴과 = 88
(1) 습모려(褶牡蠣) = 88
(2) 대련만모려(大連灣牡蠣) = 88
(3) 밀린모려(密鱗牡蠣) = 89
26) 오징어과 = 89
(1) 만씨무침오적(曼氏無針烏賊) = 89
(2) 해표소(海표소) = 89
27) 바다거북과 = 90
(1) 대모(玳瑁) = 90
(2) 휴구(휴龜) = 90
(3) 해구(海龜) = 90
28) 꿩과 = 91
(1) 오골계(烏骨鷄) = 91
(2) 죽계(竹계) = 91
(3) 자고(자고) = 91
29) 동충하초과 = 92
(1) 용충초(용蟲草) = 92
30) 느타리과 = 92
(1) 아측이(亞側耳) = 92
31) 송이과 = 92
(1) 밀환균(蜜環菌) = 92
32) 석이과 = 93
(1) 석이(石耳) = 93
33) 전복과 = 93
(1) 양포(羊鮑) = 93
34) 잉어과 = 94
(1) 이어담(鯉魚膽) = 94
35) 실고기과 = 94
(1) 일본해마(日本海馬) = 94
36) 남생이과 = 94
(1) 중화화구(中華花龜) = 94
37) 호저과 = 95
(1) 호저(豪猪) = 95
38) 고양이과 = 95
(1) 사리(사리) = 95
39) 사슴과 = 96
(1) 소궤(小궤) = 96
40) 오리과 = 96
(1) 회안(灰眼) = 96
41) 멧돼지과 = 96
(1) 야저담(野猪膽) = 96
42) 감과 = 97
(1) 이감(泥감) = 97
43) 진주조개과 = 97
(1) 주모패(珠母貝) = 97
44) 학꽁치과 = 97
(1) 침어(침魚) = 97
8. 한국의 민간약초와 식용버섯 = 99
1) 민간약초 = 99
2) 식용버섯 = 112
9. 수험생의 성적을 올리는 약선음식 = 117
1) 황기 대합찜 = 119
2) 갈근 삼합초 = 121
3) 마 꽁치튀김 = 123
4) 박하 어만두 = 125
5) 된장소스 인삼 안심스테이크 = 127
6) 대추 삼색양갱 = 129
10. 스테미너에 좋은 약선음식 = 131
1) 음양곽 편수 = 133
2) 마늘 대하찜 = 135
3) 구기자 수삼 닭찜 = 137
4) 녹차 장어 = 139
5) 인삼 경단 = 141
6) 천문동 양파전 = 143
7) 산수유 오징어 파강회 = 145
8) 사물 초교탕 = 147
9) 한방 무지개 두부선 = 149
10) 닭흑미밥말이 = 151
11) 새송이 한방 스테이크 = 153
12) 한방 콘소메 젤리 = 155
13) 인삼즙을 곁들인 찬 숭어요리 = 157
14) 문어 다리를 올린 된장 리조또 = 159
15) 맥문동 배숙 = 161
16) 구기자 알쌈 = 163
17) 오리약밥말이 = 165
18) 꿀에 절인 돼지껍질과 구기자 계피소스 = 167
19) 대추, 인삼, 은행으로 속을 채운 안심스테이크와 한방소스 = 169
20) 밤, 표고, 대추옷을 입은 닭가슴살과 한방소스 = 171
11. 피부미용에 좋은 약선음식 = 173
1) 하수오 오이 뱃두리 = 175
2) 느타리 은행볶음 = 177
3) 삼색밀쌈 = 179
4) 약선 고추장을 첨가한 새싹 비빔밥 = 181
5) 청경채 쑥가루볶음 = 183
6) 한방 복어튀김 = 185
7) 한방 복어된장갈비 = 187
8) 복어껍질 젤리 = 189
9) 가지로 싼 대구와 유자 바질소스 = 191
12. 다이어트에 좋은 약선음식 = 193
1) 의이인 오징어순대 = 195
2) 감초 규아상 = 197
3) 의이인 죽순채 = 199
4) 둥글레 임자수탕 = 201
5) 복령 장떡 = 203
6) 홍합 칵테일과 크림소스 = 205
7) 복령 꿀편, 찰편 = 207
8) 단호박 카스테라 = 209
9) 채소 연어쌈과 달래 간장소스 = 211
10) 버섯 꽃찜 = 213
13. 노화방지에 좋은 약선음식 = 215
1) 숙지황 두부선 = 217
2) 호두 은행장아찌 = 219
3) 오미자, 두충, 쑥 원소병 = 221
4) 오미자소스를 곁들인 닭안심테린 = 223
5) 황기 닭다리구이 = 225
6) 해삼 배채소볶음 = 227
14. 중국약선음식 = 229
1) 과소계 = 231
2) 미미연향계 = 233
3) 청증가자미 = 235
대만 약선식보
4) 산약용하냉반(山藥龍蝦冷盤) = 236
5) 영지황기돈갑어(靈芝黃耆燉甲魚) = 237
6) 청증산약명일엽갑어(靑蒸山藥明日葉甲魚) = 238
7) 구기갑어충(拘杞甲魚忠) = 240
8) 파고자증농어(破布子증농魚) = 241
9) 통천비주계(通天비酒계) = 242
10) 귀침저마계(鬼針苧麻계) = 243
11) 금선연돈죽계(金線蓮燉竹계) = 244
12) 자소계사반(紫蘇계絲拌) = 245
13) 산소계사반(山蘇계絲拌) = 246
14) 도두후두고먼계육(刀豆후頭고계肉) = 247
15) 석곡맥동향란초사과(石斛麥冬香란沙絲瓜) = 248
16) 어성초계란(魚腥草계卵) = 249
17) 맥문동하엽반(麥門冬荷葉飯) = 250
18) 산약구기자죽(山藥枸杞子粥) = 251
19) 목숙아만두(목숙芽饅頭) = 252
참고문헌 = 253
찾아보기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