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형태론개론

형태론개론 (5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전상범 田相範 , 1934-
서명 / 저자사항
형태론개론 / 전상범.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   2006.  
형태사항
xiii, 490 p. : 삽도 ; 25 cm.
ISBN
8957264043
서지주기
참고문헌(p. 451-470) 및 색인수록
000 00677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313105
005 20100805052317
007 ta
008 060918s2006 ulka b 001c kor
020 ▼a 8957264043 ▼g 93700: ▼c \25000.00
035 ▼a (KERIS)BIB000010663690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401.5 ▼2 22
090 ▼a 401.5 ▼b 2006
100 1 ▼a 전상범 ▼g 田相範 , ▼d 1934- ▼0 AUTH(211009)126514
245 1 0 ▼a 형태론개론 / ▼d 전상범.
246 1 1 ▼a (An)introduction to morphology.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6.
300 ▼a xiii, 490 p. : ▼b 삽도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451-470) 및 색인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5 2006 등록번호 1113891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5 2006 등록번호 1113891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01.5 2006 등록번호 1512557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5 2006 등록번호 1113891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5 2006 등록번호 1113891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01.5 2006 등록번호 1512557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전상범(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수료 미국 Columbia대학교 영어교육과에서 수학 (MA) 미국 Indiana대학교 언어학과에서 수학 (Ph.D.)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과 교수 역임 (1963-1997) 한국언어학회 회장 역임 한국영어영문학회 회장 역임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역임 2020년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주요 저서] Phonological Aspects of Late Middle Korean, 1974 生成音韻論, 1977 英語音聲學, 1985 生成形態論(역), 1987 영어의 음성체계(역), 1993 영어음성학개론, 1995 형태론, 1995 최적성이론(공저), 1997 영어학개론, 1998 음운론, 2004 고대영어, 2006 형태론개론, 2006 중세영어, 2007 라틴어입문, 2008 단편소설의 분석과 기교(공역), 2010 영미명시선(공역), 2012 문법의 철학(역), 2014 주석과 함께 읽는 햄릿, 2018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머리에 = ⅴ
일러두기 = xiii
1장 서론 = 1
 1.1 기초적인 개념들 = 1
  1.1.1. '형태소'(morpheme)와 그 밖의 술어들 = 1
  1.1.2. 형태론적 과정들(morphological processes) = 11
 1.2 언어유형론 = 17
  1.2.1. 형태론적 유형론(morphological typology) = 17
  1.2.2. 유형론과 언어변화 = 23
 1.3 생산성(productivity) = 25
  1.3.1. 생산성의 정의 = 25
  1.3.2. 생산성의 저해 요인들 = 31
 1.4 굴절(inflection)과 파생(derivation) = 35
2장 구조주의 형태론 = 47
 2.1 Harris 1942, Morpheme altemants in linguistic analysis = 47
 2.2 Nida 1949, Morphology = 51
3장 생성의미론적 형태론과 어휘론적 가설 = 63
 3.1 Lees 1960, The Grammar of English Nominalization = 63
  3.1.1. 변형에 의한 단어형성 = 63
  3.1.2. Lees에 대한 비판 = 69
 3.2 Chomsky 1970, Remarks on nominalization = 75
  3.2.1. 생성의미론과 어휘변형 = 75
  3.2.2. 동명사적 명사류와 파생명사류 = 78
  3.2.3. 어휘론적 가설 = 82
 3.3 Jackendoff 1975, Morphological and semantic regularities in the lexicon = 86
  3.3.1. 잉여규칙(redundancy rule) = 86
  3.2.2. 완전명시항목이론 = 91
4장 단어형성규칙 = 95
 4.1 Halle 1973, Prolegomena to a theory of word formation = 95
  4.1.1. 모델 = 95
  4.1.2. 요약과 검토 = 105
 4.2 Aronoff 1976, Word Formation in Generative Grammar = 113
  4.2.1. 단어어기가설 = 113
  4.2.2. 단어형성규칙의 제약 = 123
  4.2.3. 조정규칙 = 131
  4.2.4. Halle 1973, Jackendoff 1975와의 비교 = 137
5장 유순가설 = 141
 5.1 Siegel 1974, Topics in English Morphology = 141
  5.1.1. 두 종류의 접사 = 141
  5.1.2. 원소들 = 146
  5.1.3. 단계유순가설 = 149
  5.1.4. 형태규칙과 음운규칙의 혼재 = 153
 5.2 Allen 1978, Morphological Investigations = 157
  5.2.1. 확대유순가설 = 157
  5.2.2. 의미해석을 위한 두 조건 = 167
  5.2.3. 과잉생성 형태론(Overgenerating Morphology) = 174
6장 어휘형태론 = 179
 6.1 Kiparsky 1982b, From cyclic phonology to lexical phonology = 179
  6.1.1. 모델 = 179
  6.1.2. 품사전환 = 186
  6.1.3. 합성과 굴절 = 193
 6.2 어휘형태론에 대한 비판 = 196
  6.2.1. Aronoff/Sridhar 1983, Morphological level in English and Kannada or Atarising Reagan = 197
  6.2.2. Szpyra 1989, The Phonology-Morphology Interface = 199
  6.2.3. Goldsmith 1990, Autosegmental and Metrical Phonology = 204
  6.2.4. 괄호매김 모순 = 215
7장 통사론적 형태론 = 229
 7.1 Roeper/Siegel 1978, A lexical transformation for verbal compounds = 229
  7.1.1. 합성어의 양면성 = 229
  7.1.2. 종합합성어 = 232
  7.1.3. 합성어규칙 = 235
  7.1.4. 어휘규칙으로서의 합성어규칙 = 238
  7.1.5. 표면상의 예외들 = 239
  7.1.6. 비판 = 241
 7.2 Lieber 1980, On the Organization of the Lexicon = 249
  7.2.1. 어간 이형태(stem allomorphy) = 249
  7.2.2. 형태어휘규칙(morpholexical rule) = 253
  7.2.3. 어휘삽입 = 255
  7.2.4. 삼투규약(Percolation Convention) = 258
  7.3.5. 어휘의미론 = 262
8장 핵심어계층이론과 형태론 = 265
 8.1 Selkirk 1982, The Syntax of Words = 265
  8.1.1. 단어통사론과 문장통사론 = 265
  8.1.2. 핵심어계층이론(X-bar theory) = 267
  8.1.3. 1순위 투사조건(First Order Projection Condition) = 272
 8.2 Williams 1981a, On the notions "lexically related" and "head of a word" = 276
  8.2.1. 핵심어(head) = 276
  8.2.2. 인접조건과 원자조건 = 281
  8.2.3. 어휘적 관련성 = 286
9장 반형태론적 형태론 = 289
 9.1 Fabb 1984, Syntactic Affixation = 289
  9.1.1. 통사부 접사첨가와 어휘부 접사첨가 = 289
  9.1.2. 종합합성어 = 299
 9.2 Lieber 1988b, Phrasal compounds in English and the morphology-syntax interface; 1992, Deconstructing Morphology = 304
  9.2.1. 구합성어(phrasal compound) = 304
  9.2.2. 삼투(percolation)와 상속(inheritance) = 310
  9.2.3. 비첨가 단어형성 = 313
10장 운율형태론 = 321
 10.1 Marantz 1982, Re reduplication = 321
  10.1.1. 비연속형태론(Nonconcatenative Morphology) = 321
  10.1.2. 중첩 = 330
  10.1.3. 과대적용(overapplication)과 과소적용(underapplication) = 335
 10.2 McCarthy/Prince 1986, Prosodic Morphology = 341
  10.2.1. 운율 단위 = 341
  10.2.2. 중첩 = 348
  10.2.3. 선율 전사원칙 = 352
  10.2.4. Mester 1989, Japanese name truncation = 356
11장 자연형태론 = 363
 11.1 Mayerthaler 1981, Morphologische Nat$$\ddot u$$rlichkeit = 363
  11.1.1. 표상성(iconicity) = 363
  11.1.2. 자연성 = 366
  11.1.3. 유표성(markedness) = 368
 11.2 Dressier 1985a, Typological aspects of natural morphology = 372
  11.2.1. 최적의 단어 길이(optimal word length) = 372
  11.2.2. 지표성(indexicality) = 374
12장 형태론의 의미론 = 379
 12.1 Bybee 1985a, Morphology = 379
  12.1.1. 관련성(relevance), 일반성(generality), 의미변화(semantic change) = 379
  12.1.2. 의미와 형태에 관한 세 가지 가설 = 384
 12.2 Beard 1987a, Morpheme order in a lexeme/morpheme-based morphology = 389
  12.2.1. 분리가설(Separation Hypothesis) = 389
  12.2.2. 형태소(접사) 배열순 = 398
13장 형태부의 독립성 = 403
 13.1 Di Sciullo/Williams 1987, On the Definition of Words = 403
  13.1.1. 형태부와 통사부 = 403
  13.1.2. 통사적 원자성(syntactic atomicity) = 413
 13.2 Shibatani/Kageyama 1988, Word formation in modular theory of grammar = 416
  13.2.1. 후통사부 합성어(postsyntactic compound)의 어휘적 특성 = 416
  13.2.2. 후통사부 합성어의 통사적 특성 = 423
14장 최적성이론 = 427
 14.1 모델 = 427
  14.1.1. 하나의 비유 = 427
  14.1.2. 최적성이론의 원리 = 432
 14.2 최적성이론과 형태론 = 436
  14.2.1. 삽입사 첨가(infixation) = 436
  14.2.2. 중첩(reduplication) = 442
 14.3. 다시 최적성이론에 대하여 = 446
참고문헌 = 451
색인 = 471
 주제 색인(한영) = 471
 주제 색인(영한) = 479
 인명 색인 = 487
 언어 색인 = 49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