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23namccc200361 k 4500 | |
001 | 000045312786 | |
005 | 20100805051521 | |
007 | ta | |
008 | 061207s2005 ulk b 001a kor | |
010 | ▼a 2006375508 | |
020 | ▼a 8959330418: ▼c \15000 | |
024 | 3 1 | ▼a 9788959330416 ▼d 93900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3 | ▼a a-kr--- | |
050 | 0 0 | ▼a DS915.37 ▼b .C4535 2005 |
082 | 0 4 | ▼a 951.9/02 ▼a 327.519009/034 ▼2 22 |
085 | ▼a 953.059 ▼a 327.53009034 ▼2 DDCK | |
090 | ▼a 953.059 ▼b 2005ze | |
100 | 1 | ▼a 최덕수 , ▼d 1952- ▼0 AUTH(211009)32338 |
245 | 1 0 | ▼a 대한제국과 국제환경 : ▼b 상호인식의 충돌과 접합 / ▼d 최덕수. |
250 | ▼a 초판. | |
260 | ▼a 서울 : ▼b 선인 , ▼c 2005. | |
300 | ▼a 297 p. ; ▼c 23 cm. | |
440 | 0 0 | ▼a 비교역사문화총서 ; ▼v 4 |
504 | ▼a 참고문헌(p. [265]-287)과 색인(p. [289]-297) 수록 | |
536 | ▼a 이 책은 2005년도 BK21 고려대학교 한국학교육연구단 지원에 의해 간행되었음. | |
651 | 0 | ▼a Korea ▼x Foreign relations ▼y 1864-1910. |
651 | 0 | ▼a Korea ▼x History ▼y 1864-1910. |
900 | 1 1 | ▼a Ch`oe, Tok-su , ▼d 1952- |
940 | ▼a Taehan Cheguk kwa kukche hwan'gyong : sangho insik ui ch`ungdol kwa chophap | |
945 | ▼a KINS | |
949 | ▼a Pigyo yoksa munhwa ch`ongso ; ▼v 4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5ze | 등록번호 1113910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5ze | 등록번호 1113910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목차
목차 1부 1894년 조선과 동아시아 = 11 1장 1894농민전쟁과 열강의 동향 = 13 1. 머리말 = 13 2. 보은ㆍ금구취회와 열강 = 15 3. 농민군의 전주입성과 열강 = 21 4. 집강소시기 열강의 동향 = 29 5. 맺음말 = 39 2부 대한제국기 조선인의 타자인식 = 49 2장 독립협회의 정체론 및 외교론 :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 51 1. 머리말 = 51 2. 정체개혁론 = 54 3. 외교론 = 72 4. 맺음말 = 93 3장 민영환의 대외인식과 개혁론 연구 = 99 1. 머리말 = 99 2. 한국근대사상사 연구와 민영환 = 103 3. 민영환의 대외인식과 개혁론 = 107 4. 맺음말 = 125 4장 러일전쟁 전후 지식인의 대외인식 = 129 1. 머리말 = 129 2. 영일동맹의 성립과 조선인의 대외인식 = 131 3. 러일전쟁 이후 일본유학생의 대외인식 = 146 4. 맺음말 = 168 3부 대한제국기 타자의 조신인식 = 175 5장 청일전쟁과 일본의 조선지배정책론 = 177 1. 머리말 = 177 2. 이권확보론 : 방곡령사건기 = 181 3. 보호국화론 : 청일전쟁기 = 189 4. 친일기반확보론 : 아관파천기 = 199 5. 맺음말 = 212 6장 대한제국기 일본 대외강경파의 조선론 = 215 1. 머리말 = 215 2. 고노에아츠마로와 조선 = 217 3. 황인종동맹론 = 219 4. 군사동맹론 = 232 5. 맺음말 = 239 7장 개항기 서양이 바라본 한국과 한국역사 = 241 1. 머리말 = 241 2. '서세동점'과 조선 = 243 3. 서양이 바라본 한국인ㆍ한국역사 = 246 4. 맺음말 = 260 참고문헌 = 265 찾아보기 =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