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행정의 개념과 기초 = 11
1. 교육행정의 개념 = 11
2. 교육행정의 내용 = 14
3. 교육행정의 특수성 = 15
4. 교육행정의 기초 = 17
5. 교육행정의 조직과 운영 = 25
제2장 유아교육과 초등교육 = 33
1. 유아교육 = 33
2. 초등교육 = 39
제3장 중등교육 = 55
1. 중등교육의 개념 = 55
2. 중학교 = 56
3. 고등학교 = 58
제4장 고등교육 = 77
1. 고등교육의 성격 = 78
2. 각급 고등교육기관의 현황 = 80
제5장 특수교육과 특수재능교육 = 105
1. 특수교육 = 105
2. 특수재능교육 = 111
제6장 사회교육과 평생교육 = 133
1. 사회교육 = 133
2. 평생교육 = 139
3. 사회ㆍ평생교육진흥을 위한 정책방향 = 145
제7장 교원 및 교원인사행정 = 177
1. 교원인사행정의 개념 = 178
2. 교원 인사행정제도의 개관 = 179
3. 교원인사행정의 문제점 = 184
4. 교원인사행정 개선의 방향 = 186
5. 교육개혁위원회 및 참여정부의 처방 = 193
6. 교원단체 = 200
제8장 교육시설ㆍ환경ㆍ사무관리 = 249
1. 교육시설 및 환경관리 = 249
2. 사무관리 = 254
제9장 교육재정 = 271
1. 재정의 일반적 성격 = 271
2. 교육재정의 개념 = 272
3. 교육재정의 실태와 문제점 = 277
4. 교육재정정책의 개선방안 = 280
5. 맺는 말 = 282
제10장 사학 = 309
1. 사학의 교육적 의의 = 309
2. 사학의 발전과정 = 310
3. 중등 사학의 현황 = 312
4. 고등교육에서의 국ㆍ사립 격차 = 314
5. 외국의 사학정책 = 315
6. 사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책과 전망 = 317
제11장 다른 나라의 교육 개혁 동향 = 335
1. 미국의 교육행정제도 = 336
2. 미국의 학제 = 337
3. 미국의 교원교육제도 = 346
4. 미국의 교육재정제도 = 351
5. 미국의 영재교육 및 특수교육제도 = 352
6. 미국 교육제도 개혁의 최근 동향 = 355
제12장 새로운 세기의 한국교육행정의 발전과제 = 371
1. 무엇을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가? = 372
2. 교육행정 패러다임의 변화 = 376
3. 교육행정조직과 구조의 개편 = 379
4. 교육행정 기능의 변화 = 382
5. 교육행정 담당자의 전문성 신장 = 384
6. 맺는 말 = 387
참고문헌 = 389
찾아보기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