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행정학개론 제2판

행정학개론 제2판 (4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연호 이종호 임영제
서명 / 저자사항
행정학개론 / 박연호, 이종호, 임영제.
판사항
제2판.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2006.  
형태사항
xxvii, 473 p. ; 26 cm.
ISBN
8910452382
서지주기
참고문헌(p. 465-466) 및 색인수록
000 00709camccc200265 k 4500
001 000045311980
005 20100805045606
007 ta
008 060918s2006 ulk b 001c kor
020 ▼a 8910452382 ▼g 93350
035 ▼a (KERIS)BIB000010663870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351 ▼2 22
090 ▼a 351 ▼b 2006j
100 1 ▼a 박연호 ▼0 AUTH(211009)22397
245 1 0 ▼a 행정학개론 / ▼d 박연호, ▼e 이종호, ▼e 임영제.
246 1 1 ▼a Introduction to the public administration.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6.
300 ▼a xxvii, 473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465-466) 및 색인수록
700 1 ▼a 이종호 ▼0 AUTH(211009)34497
700 1 ▼a 임영제 ▼0 AUTH(211009)62402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06j 등록번호 1113884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06j 등록번호 1113884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2006j 등록번호 1512199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2006j 등록번호 1512199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06j 등록번호 1113884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06j 등록번호 1113884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2006j 등록번호 1512199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2006j 등록번호 1512199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원래 기존의 「행정학신론」의 축약판의 성격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본서는「행정학신론」을 단순히 요약한 것이 아님은 물론, 2000년에 나온 초판을 이번에 6년 만에 새롭게 개정하는 계기를 맞이하여 이 책만으로도 행정학의 이론 및 실제에 대해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도록 내용을 대폭 수정,보완하였다.
그동안 새롭게 대두된 주요 이론들을 모두 포함하였으며, 새롭게 바뀐 제도 및 정부조직에 맞추어 내용을 대폭적으로 개정하였다. 이번에 개정을 하면서 새롭게 추가되거나 기존 원고가 개정된 주요부분은 다음과 같다.
제1편에서는 정보사회와 행정,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등을 추가하여 최근 행정학의 주요 이론동향을 모두 포함하여 서술하였다. 제3편 행정조직론에서는 e-조직과 유비쿼터스조직, 조직효과성 평가모형, 네트워크조직과 가상조직 등을 포함한 정보사회에서의 새로운 조직모형 등을 추가하였다. 제5편 행정조직행태론에서는 갈등관리유형을 수정하였고, 리더십론 중 변혁적 리더십과 슈퍼리더십에 관한 내용을 보완,추가하였으며, 조직정치를 새롭게 포함시켰다. 제6편 인사행정론에서는 개방형직위, 외국의 중앙인사기관, 중앙인사위원회, 고위공무원단, 공무원노조, 보수 및 연금제도 등 그동안 새롭게 바뀌거나 신설된 제도를 중심으로 대폭 수정,보완하였다. 제7편 재무행정론은 거의 새로운 원고로 대체하였다. 특히 한국의 재무행정조직, 국가회계법 및 국가재정법 등을 포함한 재무행정의 법적 기초, 예산의 기능, top-down방식을 소개한 예산편성, 예산집행과정, 결산 및 회계검사 부분 등을 집중적으로 보완하였다. 제8편 행정정보체계론은 제1편 정보사회와 행정으로 내용을 통합하면서 삭제하였고, 제9편의 행정통제와 행정개혁 역시 새롭게 바뀐 법령과 제도를 중심으로 내용을 일부 손질함과 동시에 범위를 줄인다는 취지에서 행정과 PR부분은 삭제하였다. 제2편 정책론과 제4편 행정관리론은 오탈자와 문장이 불분명한 부분을 바로잡고 수정하였다. 또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각주는 일체 생략하고 저술에 도움이 된 문헌은 참고문헌에 수록한 것은 제1판과 동일하다.
이 책을 통하여 초심자들이 행정학을 손쉽게 이해하고 체계를 잡을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연호(지은이)

미국 하와이대학원에서 행정학(인사관리)을 연구하고 프랑스 국제행정대학원을 졸업한 후 프랑스 파리대학교(제2대학, 제7대학)에서 국가법학박사학위(행정학전공)와 문학박사학위를 차례로 취득하였다. 중앙공무원교육원 교수, 명지대학교 법정학부장, 경희대학교 법과대학장·행정대학원장·기획관리실장, 가톨릭대학교 부총장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인간관계학회를 창설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저서] 현대조직관리론(법문사, 1982, 1996, 공저) 현대사무관리론(법문사, 1983, 2000, 공저) 교사와 인간관계론(법문사, 1984) 조직행동론(박영사, 2000) 행정학개론(박영사, 2000, 2006, 2010, 공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기초이론
 제1장 행정국가와 현대정부
  제1절 국가관의 변천과 행정국가의 특성 = 3
  제2절 현대행정의 기능과 행정관료의 역할 = 6
  제3절 행정의 과정 = 10
  제4절 행정과 환경 = 11
  제5절 정보사회와 행정 = 15
 제2장 행정의 개념
  제1절 행정개념의 다양성 = 17
  제2절 공행정과 사행정의 비교 = 18
  제3절 공공행정의 기본적 속성 = 20
 제3장 행정활동의 유형
  제1절 행정활동의 유형분류 = 30
  제2절 규제행정 = 31
  제3절 급부행정 = 33
  제4절 정부중재와 행정지도 = 35
 제4장 행정학의 발달
  제1절 행정학의 이론적 특성 = 37
  제2절 관방학과 슈타인의 행정학 = 38
  제3절 미국행정학의 발달 = 39
  제4절 비교행정론 = 44
  제5절 발전행정론 = 46
  제6절 신행정론 = 48
  제7절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 = 50
 제5장 행정학의 체계와 접근방법
  제1절 행정학의 구성 = 55
  제2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 58
 제6장 현대사회와 행정수요의 관리
  제1절 행정수요의 의의와 관리 = 69
  제2절 행정수요측정과 사회지표 = 71
  제3절 행정서비스의 민영화 = 72
 제7장 행정이념
  제1절 행정이념의 의의 = 75
  제2절 행정이념의 내용 = 75
  제3절 행정이념간의 우선순위 = 81
 제8장 현대행정과 관료제
  제1절 관료제의 의의 = 82
  제2절 이념형 관료제 = 85
  제3절 베버이론의 수정 = 87
  제4절 관료제의 병리 = 90
 제9장 행정문화
  제1절 행정문화의 의의 = 98
  제2절 행정문화의 내용 = 99
  제3절 행정문화의 쇄신 = 102
제2편 정책론
 제1장 정책문제의 중요성과 정책학의 등장
  제1절 정책문제의 중요성 = 107
  제2절 정책연구의 특징 = 108
  제3절 정책학의 등장 = 109
 제2장 정책의 본질
  제1절 정책의 개념과 특성 = 110
  제2절 정책과정 = 112
  제3절 정책유형론 = 115
 제3장 정책순환과 정책환경
  제1절 정책순환과 행정활동 = 117
  제2절 정책과 정책환경 = 119
 제4장 정책분석
  제1절 정책분석의 의의 = 123
  제2절 정책대안의 현실성 = 125
 제5장 정책의제설정
  제1절 정책의제 = 128
  제2절 정책의제설정모형 = 130
  제3절 정책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33
  제4절 정책의제설정자 = 134
 제6장 정책결정
  제1절 정책결정의 의의 = 138
  제2절 정책결정자 = 139
  제3절 정책결정과정 = 141
  제4절 정책결정모형 = 142
 제7장 정책집행
  제1절 정책집행의 의의 = 154
  제2절 정책집행자 = 155
  제3절 정책집행의 유형 = 156
  제4절 정책집행과 순응 = 158
 제8장 정책평가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와 과정 = 162
  제2절 정책평가의 기법 = 164
 제9장 정책변동
  제1절 정책변동의 내용과 유형 = 167
  제2절 정책승계의 내용과 유형 = 169
  제3절 정책종결의 내용과 유형 = 171
  제4절 정책변동의 원인과 한계 = 172
제3편 행정조직론
 제1장 조직이론의 발전
  제1절 조직의 의의 = 179
  제2절 조직의 유형 = 181
  제3절 조직이론의 변천 = 183
 제2장 조직의 목표
  제1절 조직목표의 의의 = 187
  제2절 조직목표의 유형 = 188
  제3절 목표와 효과성 평가 = 189
  제4절 목표의 수와 과다측정 = 194
  제5절 조직목표의 변동 = 194
  제6절 목표에 의한 관리 = 195
 제3장 행정조직의 구조와 형태
  제1절 조직의 원리 = 199
  제2절 부성편성의 원리와 기준 = 200
  제3절 조직의 구조와 형태 = 202
 제4장 집권과 분권
  제1절 집권화와 분권화 = 209
  제2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212
  제3절 일선기관 = 215
  제4절 광역행정 = 217
 제5장 조직환경과 기술
  제1절 조직과 환경 = 219
  제2절 조직과 기술 = 223
 제6장 조직변화
  제1절 조직변화의 의의 = 226
  제2절 조직변화(혁신)의 단계와 담당자 = 227
  제3절 조직변화의 저항과 극복 = 228
  제4절 정보사회에서의 새로운 조직모형 = 229
제4편 행정관리론
 제1장 행정관리의 기초이론
  제1절 행정관리의 의의와 과정 = 235
  제2절 행정관리의 계층 = 236
  제3절 행정관리의 신동향 = 237
 제2장 기획
  제1절 기획의 의의 = 243
  제2절 기획과정과 효과적 기획의 원칙 = 245
  제3절 기획의 제약 = 247
 제3장 관리통제
  제1절 관리통제의 의의 = 249
  제2절 관리통제의 원칙 = 250
  제3절 관리통제의 절차 = 252
 제4장 의사결정과 의사소통
  제1절 의사결정 = 255
  제2절 의사소통 = 259
 제5장 조정
  제1절 조정의 개념과 기능 = 266
  제2절 조정의 과정과 유형 = 267
  제3절 조정의 방법 = 269
제5편 행정조직행태론
 제1장 개인과 동기부여
  제1절 개인행동의 이해 = 275
  제2절 동기부여의 개념과 이론 = 280
  제3절 동기부여의 실제 = 283
 제2장 집단역학
  제1절 집단의 의의와 유형 = 287
  제2절 집단역학 = 290
 제3장 갈등관리
  제1절 갈등의 의의 = 291
  제2절 갈등의 기능과 유형 = 292
  제3절 갈등상황과 갈등유발요인 = 295
  제4절 갈등의 관리방안 = 298
 제4장 권위와 권력 및 조직정치
  제1절 권위의 의의 = 301
  제2절 조직권력 = 303
  제3절 조직정치 = 305
 제5장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의 의의 = 308
  제2절 리더십의 차원분류 = 310
  제3절 리더십의 상황이론 = 312
  제4절 리더십 이론의 새로운 경향 = 314
 제6장 조직발전과 조직문화
  제1절 조직발전의 의의 = 317
  제2절 조직발전의 과정 = 318
  제3절 조직발전의 기법 = 319
  제4절 조직문화 = 321
제6편 인사행정론
 제1장 정부인사관리(인사행정)의 개념과 발달
  제1절 정부인사관리(인사행정)의 의의 = 325
  제2절 정부인사관리의 발달 = 326
 제2장 정부인사관리(인사행정)의 기초
  제1절 중앙인사기관 = 334
  제2절 공직분류와 공무원제도 = 339
 제3장 신규채용
  제1절 모집 = 351
  제2절 시험 = 352
  제3절 임명 = 354
 제4장 능력개발과 경력관리
  제1절 교육훈련 = 356
  제2절 공무원평정 = 361
  제3절 인사이동 = 363
 제5장 보수와 연금
  제1절 보수 = 366
  제2절 공무원연금 = 367
 제6장 사기와 인간관계관리
  제1절 사기 = 370
  제2절 인간관계관리 = 371
  제3절 공무원단체 = 373
 제7장 복무와 근무규율
  제1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의무ㆍ충성 = 375
  제2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376
  제3절 공직자윤리 = 377
  제4절 징계와 소청 = 378
제7편 재무행정론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이론
  제1절 재무행정의 개념 = 383
  제2절 재무행정의 법적 기초 = 385
 제2장 예산의 일반이론
  제1절 예산의 개념 = 389
  제2절 예산제도의 발달 = 394
  제3절 예산원칙 = 395
  제4절 예산분류 = 398
 제3장 예산과정
  제1절 예산편성 = 402
  제2절 예산심의 = 405
  제3절 예산집행 = 407
  제4절 결산 및 회계검사 = 410
 제4장 예산제도개혁
  제1절 성과주의예산제도 = 415
  제2절 계획예산제도(PPBS) = 417
  제3절 영기준예산제도(ZBB) = 420
  제4절 일몰예산과 감축관리 = 422
  제5절 자본예산제도 = 424
제8편 행정통제와 행정개혁
 제1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제1절 행정책임에 관한 일반이론 = 429
  제2절 행정책임의 본질 = 431
  제3절 행정책임의 확보방안 - 행정통제 = 433
 제2장 시민의 행정참여
  제1절 행정참여의 개념 = 441
  제2절 행정참여의 유형 = 443
  제3절 행정참여의 한계 = 444
  제4절 한국의 행정참여의 실태 = 445
 제3장 정보공개제도
  제1절 정보공개와 국민의 알 권리 = 451
  제2절 한국의 정보공개 = 452
 제4장 행정개혁
  제1절 행정개혁의 의의 = 455
  제2절 행정개혁의 필요성 = 456
  제3절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 457
  제4절 행정개혁의 과정 = 459
  제5절 행정개혁과 저항 = 462
  제6절 각국의 행정개혁 동향 = 464
참고문헌 = 465
색인 = 46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