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사회와)유아교육 개정판

(현대사회와)유아교육 개정판 (Loan 1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최기영.
Title Statement
(현대사회와)유아교육 / 최기영 지음.
판사항
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교문사 ,   2006.  
Physical Medium
xii, 386 p. : 삽도 ; 26 cm.
ISBN
893630815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74-377) 및 색인수록
000 00675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311776
005 20100805045309
007 ta
008 061023s2006 ulka b 001c kor
020 ▼a 8936308157 ▼g 93590
035 ▼a (KERIS)BIB000010684350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6h
100 1 ▼a 최기영. ▼0 AUTH(211009)142532
245 2 0 ▼a (현대사회와)유아교육 / ▼d 최기영 지음.
246 1 1 ▼a Changing societ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교문사 , ▼c 2006.
300 ▼a xii, 386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374-377) 및 색인수록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h Accession No. 1113883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h Accession No. 1113883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개정판은 유아의 삶에 영향을 주는 미시적인 환경에서부터 거시적인 환경까지 국내의 관련 연구결과를 거칠게나마 반영하고자 하였고, 급격한 변화의 와중에서 유아교육을 위해 근본적으로 지녀야 할 태도를 찾아보고 미래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1세기에 들어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행?재정적 지원도 향상되었으나 유아라는 존재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의식은 여전히 낮다고 생각되어, 유아의 삶을 그의 것으로 돌려줄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고 독자와 함께 유아교육의 문제를 고민하고자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최기영(지은이)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있다. 주요논문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초기 사회화과정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연구>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사회 문화적 환경과 유아교육 = 1
 1. 사회 문화적 환경에서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 2
 2. 유아와 사회 문화적 환경 = 5
  1) 철학ㆍ역사적 접근과 사회 문화적 환경 = 5
  2) 심리학적 접근과 사회 문화적 환경 = 7
  3) 교육적 접근과 사회 문화적 환경 = 8
 3. 유아교육의 전개 과정과 사회 문화적 배경 = 9
  1) 서구 유아교육의 전개 과정과 사회 문화적 배경 = 9
  2)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전개 과정과 사회 문화적 배경 = 11
  3) 유아교육 전개 과정과 사회 문화적 배경의 특성 = 12
 4. 유아교육과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환경 = 13
  1) 유아교육과 정치 = 14
  2) 유아교육과 경제 = 20
  3) 유아교육과 문화 = 24
 5. 유아교육의 사회 문화적 관계 모형 = 26
제2장 아동의 사회화에 대한 제 관점 = 33
 1. 아동의 사회화 = 34
 2. 사회화의 제 이론 = 35
  1) 사회학적 관점 = 36
  2) 심리학적 관점 = 40
  3) 사회심리학적 관점 = 46
 3. 사회화에 관한 이론의 주요 논쟁점 = 48
  1) 아동의 능동성과 수동성 = 48
  2) 생래적 특성에 대한 긍정적ㆍ부정적 이해 = 50
제3장 사회적 변화와 가정의 사회화 = 55
 1. 가정의 사회화 과정과 사회 문화적 환경 = 56
 2. 한국 가정의 사회화 = 59
  1) 전통사회 가정의 사회화 = 59
  2) 현대사회 가정의 사회화 = 64
  3) 1990년대 이후 가정의 사회화 변화 특성 = 71
  4) 조부모의 양육 참여와 앙육 태도 = 75
  5) 변화하는 사회 속의 가정의 사회화 의의 = 76
제4장 지역사회의 특성과 아동의 사회화 = 81
 1. 지역사회와 아동의 사회화 = 82
 2. 도시 지역 아동의 사회화 = 84
  1) 도시 지역의 특성 = 84
  2) 도시 지역 유아의 생활 = 85
  3) 도시 지역 유아의 사회화 특성 = 88
 3. 농촌 지역 아동의 사회화 = 91
  1) 농촌 지역의 특성 = 91
  2) 농촌 지역 유아의 생활 = 93
  3) 농촌 지역의 실정과 유아교육 정책 = 95
  4) 농촌 지역 유아의 사회화 특성 = 96
 4. 도서ㆍ벽지 지역 아동의 사회화 = 99
  1) 도서ㆍ벽지 지역의 특성 = 99
  2) 도서ㆍ벽지 지역 유아의 생활 = 101
  3) 도서ㆍ벽지 지역 유아의 사회화 특성 = 101
 5. 지역사회의 특성과 유아교육 = 104
  1) 지역별 유아발달과 유아 생활 비교 = 104
  2) 지역사회의 특성에 대한 유아교육의 반영과 실천 = 107
제5장 유아교육기관의 사회화 과정 = 111
 1. 유아교육기관의 사회화 기능 = 112
 2. 유아교육기관의 사회화에 대한 순기능적 이해 = 113
 3. 유아교육기관의 사회화 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115
  1) 주체적 교육 경험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회화 과정의 문제 = 115
  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회화 과정의 통제적 기능 = 117
  3) 교육 활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새로운 방향 = 128
제6장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활동을 통한 사회화 과정 = 135
 1. 유아교육기관의 일상적 일과 활동 = 136
  1) 유치원 등원과 자유놀이 = 137
  2) 대집단으로 이야기 나누기 = 138
  3) 간식 = 139
  4) 자유 선택 활동 = 139
  5) 작업 활동 = 140
  6) 귀가 = 141
 2.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활동을 통한 사회화 과정 = 142
  1) 생태학적 환경을 통한 초기 사회화 과정 = 142
  2) 교사-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초기 사회화 과정 = 146
  3) 유아교육기관의 초기 사회화 과정의 의미 = 151
 3. 유아교육기관 생활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사회 문화적 맥락의 이해 = 152
  1) 관계 형성과 규범의 내면화를 통한 사회적 존재화 = 153
  2) 개인적 특성에 따른 사회화의 개별성 = 154
  3) 교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통제의 필요성 = 154
  4) 사회 문화적 환경이 반영된 놀이 활동 = 156
 4. 아동의 자율성 신장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활동 = 158
제7장 사회계층과 아동의 삶 = 161
 1. 사회계층의 사회적 의미 = 162
 2.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가치관과 자녀 양육 태도 = 163
  1)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부모의 가치관 = 165
  2)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 양육 및 교육 태도 = 165
 3.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아동발달 = 171
  1)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신체 발달 = 171
  2)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인지발달 및 학업 성취 = 173
  3)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언어 발달 = 175
  4)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사회ㆍ정서 발달 = 178
  5)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교육 활동 = 182
 4.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교육기관 경험 = 182
제8장 문화실조와 보상교육 = 191
 1. 문화실조 환경과 유아교육적 관심 = 192
  1) 문화실조의 개념 = 193
  2) 문화실조의 개념에 대한 비판 = 194
  3) 문화실조 현상을 일으키는 요인 = 196
  4) 문화실조아의 일반적 특성 = 198
  5) 문화실조 현상의 극복 = 200
 2. 보상교육으로서의 헤드 스타트 프로젝트 = 201
  1) 헤드 스타트 프로젝트의 전개 과정 = 201
  2) 헤드 스타트 프로젝트의 목적 및 운영 = 202
  3) 헤드 스타트 교육 프로그램 = 206
  4) 헤드 스타트 프로젝트의 25년간 활동에 대한 평가 = 209
  5) 1990년대 이후의 평가 작업과 권고 사항 = 212
 3. 우리나라의 유아 보상교육 실시와 그 의의 = 215
  1) 새마을유아원의 설립과 그 의미 = 215
  2) 1990년대 이후 보상교육의 실시와 그 의미 = 217
제9장 유아교육의 불평등 현상 = 225
 1. 유아교육의 불평등 현상에 대한 문제 제기 = 226
 2. 교육 평등관의 변천 = 227
  1) 허용적 평등 = 227
  2) 보장적 평등 = 228
  3) 과정적 평등 = 228
  4) 결과적 평등 = 229
  5) 교육 평등관에 대한 새로운 시각 = 230
 3. 교육 평등에 대한 부정적 시각 = 230
 4. 우리나라의 교육 평등에 대한 평가 = 231
 5. 외국의 유아교육 평등에 대한 논의 = 233
  1) 외국의 유아교육 기회 분배 상황 = 233
  2) 외국 유아교육의 과정적 평등 = 236
  3) 외국 유아교육의 결과적 평등 = 237
 6.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불평등에 대한 논의 = 238
  1)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기회 불평등 현상 = 238
  2)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과정적 불평등 = 249
  3)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결과적 불평등 = 254
  4) 우리나라 유아교육 불평등 현상의 특성 = 255
제10장 사회 변화와 유아교육 정책 = 263
 1. 유아교육 정책과 사회 문화적 환경 = 264
 2. 외국의 영유아 보호 및 교육 정책 = 265
  1) 1990년대 이전 미국의 영유아 보호 및 교육 정책 = 265
  2) 1990년대 이후 외국의 영유아 보호 및 교육 정책 = 271
 3. 우리나라의 영유아 보육 및 유아교육 정책 = 274
  1)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의 영유아 보호 및 유아교육 정책 = 275
  2)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의 영유아 보호 및 유아교육 진흥을 위한 정책 = 279
  3) 1990년대 중반 이후 영유아 보육 및 유아교육 정책 = 285
 4. 영유아 보육 및 유아교육 정책의 사회적 의미와 지향해야 할 방향 = 301
제11장 현대사회의 변화 그리고 가정의 아동 양육과 교육 문제 = 307
 1. 현대사회의 변화와 가정 = 308
 2. 가족 형태의 변화와 자녀 양육 및 교육 = 308
  1) 가족 형태에 따른 자녀 양육 및 교육 = 310
  2) 미래의 가족 형태와 자녀 양육 및 교육 = 313
 3. 취업모의 증가와 자녀 양육 및 교육 = 316
  1) 현대사회와 주부 취업 = 316
  2) 취업모 환경 = 318
  3) 어머니의 취업과 자녀의 성장 발달 = 319
  4) 어머니의 취업과 탁아 = 324
  5) 가정, 기관,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육아 = 328
 4. 이혼 가정의 증가와 자녀 양육 및 교육 = 329
  1) 이혼 가정의 증가 추세 = 329
  2) 이혼 가정의 문제와 자녀 양육 및 교육 = 329
 5. 한부모 가족의 증가와 자녀 양육 및 교육 = 331
  1) 한부모 가족의 증가 추세 = 331
  2) 한부모 가족의 문제와 자녀 양육 및 교육 = 331
 6. 만혼 경향과 저출산 현상 = 332
  1) 저출산 현상 = 332
  2) 저출산 현상의 사회 문제와 대책 = 334
제12장 현대사회의 생활환경과 아동 성장 = 341
 1. 현대사회의 생활환경 = 342
 2. 아동의 성장을 억압하는 사회환경 = 343
  1) 기계적 효율성 추구의 폐해 = 343
  2) 성장을 재촉받는 아동 = 343
 3. 유아와 대중매체 = 354
  1) 대중매체의 아동에 대한 영향 = 355
  2) 바람직한 대중매체의 수용 자세 = 363
  3) 광고 홍수 속의 아동 = 365
 4. 유아와 컴퓨터 = 366
  1) 컴퓨터와 유아교육 = 366
  2) 인터넷과 유아교육 = 367
 5. 아동의 성장환경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 = 369
  1) 사회적 부모의 필요 = 369
  2) 마을이 살아 있는 현대사회 = 370
 6. 인간성 회복을 위한 유아교육계의 노력 = 372
  1) 인간성 회복을 위한 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 = 372
  2) 자연성 존중으로의 회귀 = 373
찾아보기 = 37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