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청년심리학의 학문적 배경
제1장 청년심리학의 기초
Ⅰ. 청년기의 정의 = 15
1. 생리학적 정의 = 15
2. 법적 정의 = 16
3. 사회학적 정의 = 16
4. 최근의 경향 = 17
Ⅱ. 청년기 특징에 대한 시각 = 18
Ⅲ. 발달의 일반적 원리 = 21
Ⅳ. 청년심리학의 연구방법 = 23
1. 청년심리 연구의 목적 = 24
2. 시간-변인 연구 설계 = 25
3. 자료수집 방법 = 27
4. 연구의 접근법 = 30
제2장 청년심리학의 이론
Ⅰ. 정신분석이론 = 35
1.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36
2. 안나 프로이트와 청년기 정신적 갈등 = 42
Ⅱ. 심리사회적 이론 = 44
1. 에릭슨의 자아정체감 획득 = 44
2. 설리번의 대인관계이론 = 45
3. 해비거스트의 발달과업 = 48
Ⅲ. 인지발달이론 = 51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51
2. 콜버그의 인지이론 = 54
Ⅳ. 학습이론 = 55
1.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 56
2.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 57
Ⅴ. 인본주의이론 = 58
1. 매슬로의 자아실현 욕구 = 59
2. 로저스의 자아개념 = 63
Ⅵ. 생태이론 = 64
제2부 청년기 발달 특성
제3장 청년기 신체발달
Ⅰ. 일반적인 신체발달 = 75
1. 성장급등 = 75
2. 운동발달 = 79
Ⅱ. 성적 성숙 = 80
1. 내분비선의 변화 = 80
2. 성적 성숙 = 81
Ⅲ. 신체발달과 심리적 적응 = 82
1. 청년기 신체상 = 82
2. 성적 성숙과 심리적 적응 = 84
3. 조숙과 만숙 = 87
제4장 청년기 지적ㆍ인지적 발달
Ⅰ. 지능 = 93
1. 지능의 정의 = 94
2. 지능의 이론 = 95
3. 지능검사 = 110
4. 지능에 관한 쟁점 = 115
Ⅱ. 창의성 = 117
1. 창의성의 개념 = 117
2. 창의성의 특징 = 119
3. 창의성의 사고과정 = 119
4. 창의성, IQ, 성격의 관계 = 120
Ⅲ. 인지발달 = 122
1. 형식적 조작사고의 발달 = 122
2. 청년기 자아중심성 = 126
3. 청년기 사회인지 = 128
제5장 자아의 발달
Ⅰ. 자아개념 = 135
1. 자아개념의 정의 = 135
2. 자아개념의 발달 = 136
3. 자아개념의 구성 = 137
4. 청년기 자아개념의 특징 = 139
5.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41
Ⅱ. 자아존중감 = 143
1. 자아존중감의 개념 = 143
2.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43
3. 자아존중감의 발달 = l46
4.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 = 147
5. 자아존중감 향상 방안 = 148
Ⅲ. 자아정체감 = 149
1. 에릭슨의 자아정체감 = 149
2. 마샤의 정체감 상태 = 156
3. 정체감 발달 관련 요인 = 160
제6장 도덕성 발달
Ⅰ. 도덕성 발달이론 = 168
1. 정신분석이론 = 168
2. 사회학습이론 = 171
3. 인지발달이론 = 173
Ⅱ.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88
1. 부모 = 188
2. 친구 = 190
3. 대중매체 = 191
Ⅲ. 친사회적 행동 = 193
1. 이타행동 = 193
2. 공격성 = 196
제7장 성역할 발달
Ⅰ. 성역할 발달의 주요 개념 및 이론 = 204
1. 성역할 발달의 주요 개념 = 204
2. 성역할 발달이론 = 206
Ⅱ. 성차와 성역할 고정관념 = 215
1. 심리적 특성의 성차 = 215
2. 성역할 고정관념과 스트레스 = 220
Ⅲ. 청년기 성역할 발달 및 관련 요인 = 223
1. 청년기 성역할 발달 = 223
2. 성역할 발달 관련 요인 = 225
Ⅳ. 새로운 성역할의 개념 = 234
1. 심리적 양성성 = 234
2. 전통적인 남성성과 청소년 비행 = 237
제8장 직업선택
Ⅰ. 직업의 의미 변화 = 244
1. 직업세계의 변화 = 244
2. 직업의 심리 사회적 기능 = 245
Ⅱ. 직업발달이론 = 246
1. 긴즈버그의 절충이론 = 247
2. 홀랜드의 성격특성이론 = 249
3. 슈퍼의 자아개념이론 = 252
Ⅲ.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54
1. 개인의 심리적 요인 = 255
2. 부모의 영향 = 257
3. 사회계층 = 259
Ⅳ. 여성의 직업선택 = 259
1. 여성의 직업선택 경향 = 259
2. 여성 직업선택의 저해요인 = 260
Ⅴ. 직업교육과 직업상담 = 263
1. 직업교육 및 직업상담의 내용 = 263
2. 직업심리검사 및 정보제공 = 266
제9장 청년기 우정과 사랑
Ⅰ. 청년기 우정관계 = 273
1. 친밀감발달이론 = 273
2. 청년기의 친밀감과 애착의 발달 = 277
3. 친구의 형성 요인 = 279
4. 친구관계의 기능 = 280
5. 친구집단과 사회적 관계 = 282
6. 집단따돌림 = 286
Ⅱ. 청년기 사랑 = 290
1. 이성교제의 기능 = 291
2. 이성애(異性愛)의 발달 = 292
3. 사랑이론 = 295
4. 사랑의 유형 = 299
5. 사랑의 학습 = 304
6. 결혼 = 311
제10장 청년기 부적응
Ⅰ. 청소년 비행 = 319
1. 청소년 비행의 정의 = 320
2. 청소년 비행의 실태 및 경향 = 321
3. 청소년 비행과 관련된 요인 = 321
4. 청소년 비행의 발달 = 329
5. 청소년 폭력 = 330
6. 청소년 비행의 예방과 선도 = 333
Ⅱ. 약물남용 = 335
1. 약물사용 원인 = 336
2. 약물남용 청소년의 특성 = 338
3. 남용되는 약물 = 338
Ⅲ. 청년기 심리적 장애 = 344
1. 심리적 장애의 진단 기준 = 345
2. 청년기의 주요 심리적 장애 = 346
참고문헌 = 365
찾아보기 =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