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평일의 고해 : 정영 시집

평일의 고해 : 정영 시집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영 , 1975-
서명 / 저자사항
평일의 고해 : 정영 시집 / 정영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창비 ,   2006.  
형태사항
127 p. ; 20 cm.
총서사항
창비시선 ; 266
ISBN
8936422669
비통제주제어
평일 , 고해 ,,
000 00581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310902
005 20100805043320
007 ta
008 060919s2006 ggk 000cp kor
020 ▼a 8936422669 ▼g 03810: ▼c \6,000
035 ▼a (KERIS)BIB000010649155
040 ▼a 225013 ▼c 225013 ▼d 244002
082 0 4 ▼a 895.715 ▼2 22
090 ▼a 897.17 ▼b 정영 평
100 1 ▼a 정영 , ▼d 1975-
245 1 0 ▼a 평일의 고해 : ▼b 정영 시집 / ▼d 정영 지음.
260 ▼a 파주 : ▼b 창비 , ▼c 2006.
300 ▼a 127 p. ; ▼c 20 cm.
440 0 0 ▼a 창비시선 ; ▼v 266
653 ▼a 평일 ▼a 고해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정영 평 등록번호 1512179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정영 평 등록번호 1512179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0년 문학동네신인상을 수상하며 등단한 정영 시인의 첫 시집. 이 시집의 중요한 배면을 형성하는 것은 밑바닥의 고통과 아름다움이다. 시인은 세계를 고통과 상처로 가득 찬 것으로 받아들이되 그에 억눌리지 않는다. 오히려 상처를 소리침으로써 역설적으로 강인함과 따스함을 동시에 품어안는다.

시집 곳곳에서 눈에 띄는 것은 '여성성'으로 수렴할 수 있는 여성의 말과 관능이다. 이 여성들은 울기만 하지 않고 그 목소리는 가련하거나 연약하지 않다. 시인은 때로 절제되고 때로 폭로하는 어법을 적절하게 변주하면서 완성도 높은 시세계를 구축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정영(지은이)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나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2000년 문학동네신인상에 「암스테르Dam」 외 4편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평일의 고해』(2006)와 산문집 『지구 반대편 당신』(2010) 『누구도 아프지 말아라』(2012)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열두 시간의 기도 = 8
 평일의 고해 = 10
 Dakhla; 입구 = 12
 찬미들, 안녕 = 14
 못된 저녁 = 17
 쥘 라포르그의 약국 = 18
 검은 주머니 사용법 = 20
 울적한 개 = 22
 이해해요 = 24
 암스테르Dam = 26
 먼 나라 푸른 사내의 아내 = 28
 마음 아픈 낮 = 32
 생일 = 34
 저녁 = 36
 내 눈을 꺼내어 주머니에 넣고 = 38
 I'm Sunshine - 화석 = 40
 권오준씨 = 42
 낡은 도시의 사랑 = 44
 OTEL = 46
 뚤루즈로트렉의 집 = 48
 바람의 가족 = 50
 자수 = 52
 가수 - 오늘은 오늘로 충분해 1 = 54
 가수 - 오늘은 오늘로 충분해 2 = 56
 지구 동물원 = 59
 쓸쓸한 바닷가 = 60
 혼자 사는 방 = 61
 나 = 62
제2부
 화대 = 66
 떠간다 = 67
 하늘 사과밭 = 68
 자벌레와 한 자 = 70
 당신이 사준 그리움 = 72
 근황 = 74
 사방연속무늬 당신 = 76
 사랑의 한낮 = 78
 거미집 = 80
 한 사람 = 81
 깜깜한 식당 = 82
 고분벽화 = 84
 구름에 달린 마을 = 86
 그림 마을 = 88
 크리스마스 카드 = 89
 심야 로드무비 상영중 = 90
 아무리 손 내밀어도 닿지 않는 = 92
 길 위로 온 편지 = 94
 내력 = 96
 엄마가 싸준 떡 = 98
 어둡고 좁고 가파른 = 99
 오동나무 상여 = 100
 종점에 사는 집 = 102
 병든 길 = 103
해설 / 류신 = 104
시인의 말 = 126


관련분야 신착자료